[5년 만에 삼성 추월, 때릴수록 강해지는 中 화웨이] ....
[5년 만에 삼성 추월, 때릴수록 강해지는 中 화웨이]
[트럼프 “韓 일자리·공장 빼앗아 올 것”… 더 독해진 美 우선주의]
5년 만에 삼성 추월, 때릴수록 강해지는 中 화웨이
화웨이가 지난 10일 공개한 세계 최초의 트리폴드폰 메이트XT. /뉴스1
미국의 무역 제재로 위기에 빠졌던 중국 IT 기업 화웨이가 세계 최초로 3단 폴더블 스마트폰을 선보이며 삼성전자를 앞서 나가고 있다. 존폐의 기로에 놓였던 그 기업이 맞나 싶을 정도다. 2019년 미국 정부는 화웨이의 통신 장비가 중국 스파이 행위에 활용된다는 이유로 화웨이를 수출 통제 기업으로 지정했다. 화웨이는 세계 통신 장비 시장에서 강제 퇴출당했고, 매출이 30% 격감하며 위기에 봉착했다.
하지만 화웨이는 끊임없는 혁신으로 위기를 돌파했다. 매출의 25%를 연구개발(R&D)에 투자하며 기술 자립, 제품 혁신에 매진했고 절치부심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화웨이는 애플이 아이폰16 시리즈 신제품을 발표한 지난 10일, 세계 최초로 두 번 접는 트리 폴드폰 ‘메이트XT’를 선보였다. 펼치면 태블릿PC 화면 크기가 되는 이 제품은 아이폰보다 2배나 비싸다. 2019년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의 폴더블 폰을 내놨을 때, 화웨이는 “삼성전자를 추월하겠다”고 했는데, 5년 만에 현실이 됐다. 화웨이는 올 상반기 중 삼성전자를 누르고 세계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 1위를 차지했다.
화웨이는 또 자체 제작 시스템이 장착된 자율 주행차를 개발해 전기차 시장에도 진출했다. 화웨이는 상반기 중 전기차 사업에서만 2조원대 매출을 올렸다. 화웨이의 올 상반기 총매출은 78조원으로 미국 제재 이전인 2019년 상반기 매출을 뛰어넘었다. 11만명의 연구개발 인력을 보유한 화웨이는 엔비디아의 H100칩에 비견되는 고성능 인공지능 반도체칩을 개발 중이며, 대중국 수출이 금지된 ASML의 EUV(극자외선) 노광 장비를 대체할 첨단 노광 장비도 개발 중이라고 한다.
미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화웨이의 경쟁력은 오히려 더 강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금 중국에선 양자컴퓨터, 인공지능, 빅데이터, 우주항공, 도심항공교통(UAM) 등 주요 미래 산업 분야에서 화웨이 같은 혁신 기업들이 차고 넘친다. “반도체를 빼면 중국이 한국을 다 따라잡았다”고 진단한 최근 무역협회 보고서가 빈말이 아니다. 최우수 인재들이 의대로만 몰리고 규제는 최강국인 한국이 중국과의 경쟁에서 버틸 수 있겠나.
-조선일보(24-09-26)-
______________
○ PC·스마트폰 수요 줄어 반도체 경기 악화 우려, 그나마 AI용 반도체가 시장 지탱. 혼자서 열일하는 AI.
-팔면봉, 조선일보(24-09-26)-
______________
트럼프 “韓 일자리·공장 빼앗아 올 것”… 더 독해진 美 우선주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가 “다른 나라의 일자리와 공장을 미국으로 빼앗아 오겠다”며 콕 찍어 한국을 겨냥했다. 그는 24일 미국 조지아주에서 가진 유세에서 “중국에서 펜실베이니아로, 한국에서 노스캐롤라이나로, 독일에서 조지아로 대규모 제조업 엑소더스(대이동)를 보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들 3개 주는 대선 승패를 좌우할 경합주로, 노동자들의 표심을 노린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후보가 표방한 ‘신(新)산업주의’는 관세를 높여 외국 기업들이 미국에 직접 투자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한국 등 동맹국에도 예외는 없었다.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을 맺은 멕시코에도 “국경을 넘어오는 모든 자동차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다. 트럼프 후보가 당선되면 한국 역시 통상 압박의 강도가 심해질 것으로 우려되는 부분이다.
‘한국이 미국의 일자리를 빼앗아 가고 있다’는 트럼프 후보의 기존 인식은 사실과 다르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투자 약정액은 215억 달러(약 28조6000억 원)에 이른다. 미국에 가장 많은 돈을 투자한 나라가 한국이다. 올해 상반기 외국인 직접투자로 창출된 미국 일자리 7만4500개 중 17%를 한국 기업이 만들어 일자리 기여도 1위에 올랐다. 정작 국내에선 기업들의 대규모 해외 진출로 제조업 공동화와 일자리 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인데, 미국에선 ‘일자리 약탈’의 대상으로 지목받고 있다.
카멀라 해리스 민주당 대선 후보 겸 부통령이 당선되면 상황이 달라질 것이라 보기 어렵다. 치열한 대선 경쟁 속에 ‘미국 우선주의’를 강조하는 양당의 공약이 닮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해리스 후보가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를 반대하면서 표심 앞에선 미국의 최우선 동맹국도 후순위로 밀릴 수 있음을 보여 줬다.
갈수록 독해지는 미국 우선주의는 대선이 임박한 상황에서 나온 과장된 정치적 수사로만 볼 수 없다. 누가 당선되더라도 한국의 투자가 미국의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한 점 등을 강조해 한국 기업들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대응해야 한다. 미국이 제시하는 보조금, 세액공제 등의 인센티브가 바뀔 경우엔 미국 시장에 대한 투자전략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동아일보(24-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