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작가, 무거운 노벨상 가볍게 받았으면… ]
[한강이 물길 튼 ‘한국 문학 세계화’ 이제부터가 진짜다]
한강 작가, 무거운 노벨상 가볍게 받았으면…
[강천석 칼럼]
노벨상 受賞 작품 '原書'로 읽게 해 준 한강의 기적
창창한 작가 나이, 더 깊고 넓은 작품 세계 기다리게 해
‘딸이 노벨상을 먼저 받게 되면 기분이 어떨 것 같습니까’. 기자의 이런 실없는 소리에 아버지는 그냥 ‘허허허’ 웃고 말았다. 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을 막 받고 난 뒤였다. 조선일보가 후원하는 ‘임방울 판소리 축제’ 뒤풀이 자리였다. 임방울 재단 김중채 이사장은 ‘한강 작가의 아버지 한승원 작가’라고 소개했다. 판소리 애호가 수준이 아니라 준(準)소리꾼 경지라고 했다.
아버지는 언제까지 ‘작가 한승원의 딸’일 것 같던 딸이 어느 날 자신을 ‘작가 한강의 아버지’로 만들어버린 사태 변화가 익숙하지 않은 듯했다. 한강 작가의 수상 소식에 노벨상 수상 작품을 번역판이 아니라 원서(原書)로 읽게 됐다는 감회에 겹쳐 10여 년 전 이 장면이 떠올랐다.
소설가 한강은 나를 몇 번이나 무릎 꿇게 한 작가다. ‘소년이 온다’는 중간 부근에서 더 나가지 못하고 덮었다. 장편이라지만 중편(中篇) 두께 길이다. 문장도 유리처럼 맑고 투명했다. 등장인물이 많지도 않다. 맑고 투명한 문장이라서 그 문장이 드리운 무거운 그림자에 더 숨이 막혔던 듯하다. 소설 무대가 나와 무연(無緣)한 곳이 아니라서 더 그랬을지도 모른다. 2차 시도도 실패했다. 그래서 ‘소년이 온다’의 끝은 아직도 나에겐 미제(未濟) 상태다.
‘채식주의자’도 중도하차(中途下車)했다. 벌어진 상처의 아가리를 뚫어져라 응시(凝視)하는 작가의 눈길이 당해내기 버거웠다. 다음엔 초기 단편을 묶은 ‘여수의 사랑’과 시집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부터 정규 코스를 밟아 도전해 볼 생각이다. 책꽂이 어딘가 꽂혀 있을 것이다.
소설이 쓰인 원어(原語)로 읽는 독자가 벅찰 정도라면 이 소설을 영어·불어로 옮긴 번역가의 수고가 만만치 않았을 것이다. 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는 1968년 일본 작가로선 최초로 노벨상을 받았다. 공교롭게 메이지(明治)유신 백년이 되는 해라서 일본 전체가 들썩거렸다.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눈의 고향이었다’는 문장으로 시작하는 ‘설국(雪國)’의 작가다.
그해 12월 스톡홀름 수상식 연설에서 가와바타는 동행한 영어 번역가 사이덴스티커를 가리키며 ‘내 소설 절반은 사이덴스티커가 쓴 거나 마찬가지’라고 감사를 표시했다. 가와바타는 지금도 ‘일본 소설가 중 가장 아름다운 글을 썼던 작가’로 평가받는다. 번역이 쉬운 일이 아니었을 텐데 사이덴스티커의 말은 달랐다. “뜻이 분명하고 조리 있는 문장은 흥미가 당기지 않아요. ‘작가님, 이 문장은 무슨 뜻입니까’라고 물어야 할 곳이 많은 글에 끌립니다”. 한강의 번역가도 이런 마음이었을 것이다. 작가의 복(福)이다.
역사는 역사가에 의해 정리되지 않는다. 작가를 기다려야 한다. 어느 역사가는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侵攻)은 무엇을 남겼는가’라고 스스로 묻고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를 내놨다’고 답했다. 2차 세계대전은 독일에 하인리히 뵐과 귄터 그라스의 ‘휴가병열차’ ‘양철북’을 남겼고, 피로 범벅된 발칸의 역사 속에서 이보 안드리치의 ‘드리나강의 다리’가 태어났다. 그런 뜻에서 6·25는 지금도 종결을 기다리는 전쟁이다. ‘5·18′ ’4·3′을 피해자가 섰던 자리에서 바라보는 한강의 시선을 불편해하는 독자도 있을 것이다. 그건 하늘을 더 높이 나는 새의 눈을 가진 또 다른 작가를 기다리면 되는 일이다.
걱정도 태산이랄지 모르지만 작가 나이가 걱정된다. 노벨상은 다른 상보다 무겁다. 기쁨이 지나면 중압감(重壓感)이 내리누른다. 일흔이나 여든에 받는 게 무난하다. 가와바타는 노벨상 이후 몇 편의 단편소설을 썼을 뿐이다. 펜의 무게를 더 느꼈던 듯하다고 했다. 한 해 걸러 작품을 내놓다 1957년 43살 한창 나이에 수상한 알베르 카뮈도 수상 이후 유작(遺作) ‘최후의 인간’이란 미완성 작품을 매만지다 세상을 떴다. 한강 작가가 무거운 상을 가볍게 받았으면 좋겠다. 언젠가 ‘이젠 역사 현장으로부터 조금 거리를 둬야겠다’는 뜻을 비쳤는데 그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한강은 수상 소감으로 ‘Thanks, thanks, thanks’ 하고 문학의 새 영토를 개척해 온 선배들에게 공을 돌렸다. 맞춤한 답변이다. 한강 덕분에 이제 선배 작가들도 노벨상 발표 때가 닥치면 전화통을 떠나지 못하던 옹색스러운 처지를 벗게 됐다. 1968년 가와바타 수상 다음 일본 수상자가 나올 때까지 26년이 걸렸고 2012년 모옌(莫言) 수상 이후 중국 수상자는 더 나오지 않았다. 상(賞)에 곁눈질 않고 쓴 작품이 상을 물고 돌아오는 법이니 더 좋은 작품을 기대해 볼 만하다.
-강천석 고문, 조선일보(24-10-12)-
_______________
한강이 물길 튼 ‘한국 문학 세계화’ 이제부터가 진짜다
도쿄=이상훈 특파원
소설가 한강(54)의 노벨 문학상 수상은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의 중심에 진입했음을 보여주는 쾌거다. 영국 가디언지는 한 작가를 “매우 중요한 목소리와 놀라운 인간성을 가진 작가”라고 평가했고, 이코노미스트지는 “한국의 카프카”에 비유했다. 국내는 물론 해외 서점가에서도 ‘한강 신드롬’이 일고 있다.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의 베스트셀러 목록과 매대가 한 작가의 작품들로 채워지고 있다는 소식이다.
한 작가의 노벨상 수상은 개인적 성취일 뿐 아니라 1922년 ‘구운몽’의 영어 번역본 출간을 시작으로 102년간 한국문학을 해외에 알려온 노력이 맺은 결실이라 해야 할 것이다. 1968년 일본 작가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노벨 문학상 수상에 자극받아 시작된 번역 지원 사업이 지금까지 꾸준히 시행되고 있다. 그 결과 1990년대 이후 이청준 이승우 황석영 신경숙 조남주 정유정 김혜순 등의 작품이 해외에서 출간돼 좋은 반응을 얻거나 주요 문학상을 수상하는 경사가 이어졌다. 선배 소설가 황석영(81)의 말대로 “한강의 노벨상 수상은 고통과 수난의 치유자이자 해결자였던 한국인과 한국문학이 걸어온 길 위에서 거둔 빛나는 성과”인 것이다.
이젠 해마다 200종이 넘는 한국문학 작품이 20여 개 언어로 번역 출간되고 있다. 한 작가의 ‘채식주의자’가 2016년 한국인 작품으로는 처음으로 맨부커상을 수상한 후 정보라의 ‘저주토끼’(2022년), 천명관의 ‘고래’(2023년), 황석영의 ‘철도원 삼대’(2024년)가 연달아 최종 후보에 올랐다. 아쉽게 수상자로 호명되지는 않았지만 3년 연속으로 세계 3대 문학상 최종 후보에 오른 것은 주목할 만한 성과다. 한국문학의 외연도 넓어지고 있다. 10일에는 한국계 미국인 소설가 김주혜가 일제강점기 평범한 이들의 독립운동을 다룬 ‘작은 땅의 야수들’로 러시아 톨스토이 문학상 해외문학상을 수상했다. 한국문학의 세계적 성취가 한 작가의 노벨상 수상으로 끝나지 않을 것임을 기대하는 이유다.
한국문학은 한류의 뿌리를 넓고 깊게 내리게 하는 원천 콘텐츠로서도 가치가 높다. 한 작가의 ‘채식주의자’가 영화로 제작됐고, ‘소년이 온다’는 폴란드 연극 무대에 올랐다. 한국문학을 해외에 번역 소개하는 사업을 확대하고, 중국과 일본에 한참 못 미치는 해외 한국문학 강좌 개설도 지원해 고급 독자들을 키워야 한다. 한국문학의 세계화는 이제부터 다시 시작이다.
-동아일보(24-10-12)-
=======================
'[세상돌아가는 이야기.. ] > [時事-萬物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산대교 무료화' 취소, 법원이 제동 건 공짜 포퓰리즘] .... (9) | 2024.10.14 |
---|---|
[대통령님, 대체 뭣이 중합니까?] (4) | 2024.10.13 |
[병력 급감 속 병역 대상자 한 해 4000명 국적 포기, 문제 없나] .... (5) | 2024.10.12 |
[이시바 총리의 일본, 좋은 이웃이 될 수 있을까] .... (10) | 2024.10.12 |
[50번 중 49번 尹 1위였던 ‘명태균 여론조사] (2) | 2024.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