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을 AI 심장으로" 선언한 젠슨황... 엔비디아·TSMC·폭스콘 뭉쳤다]
[TSMC의 웨이저자·콴타의 배리 람… 끈끈한 '대만 생태계']
"대만을 AI 심장으로" 선언한 젠슨황... 엔비디아·TSMC·폭스콘 뭉쳤다
"대만에 거대 AI 수퍼컴 구축"
엔비디아 신사옥도 짓기로
“오늘 우리는 대만의 AI(인공지능) 기반 시설과 생태계를 위해 첫 번째 거대 AI 수퍼컴퓨터를 이곳에서 건설할 것임을 발표합니다.” 아시아 최대 테크 전시회인 ‘컴퓨텍스 2025’ 개막 전날인 19일, 세계 최대 반도체 기업인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대만 타이베이 뮤직센터에서 가진 기조연설을 통해 ‘AI 패권’의 핵심이 대만에 있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대만 출신 미국 이민자인 그는 대만과의 인연을 소개하며,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 TSMC, 아이폰 등을 만드는 세계 최대 전자제품 위탁생산 기업 폭스콘이 있는 대만이 지금까지 다른 나라 제품을 대신 만들어 납품하는 국가로 알려졌다면, 엔비디아가 참여해 대만을 자생적인 AI 강국으로 만들겠다는 뜻이다.
그는 이날 엔비디아의 신사옥 ‘엔비디아 콘스털레이션(별자리)’을 타이베이 북부에 짓는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대만연합보는 “실리콘밸리에 있는 본사를 제외하고 가장 큰 규모”라고 했다.
◇“대만을 AI 심장으로” 엔비디아·TSMC·폭스콘 뭉쳤다
황 CEO는 이날 연설에서 엔비디아가 선도하는 거대한 AI 생태계가 “대만 기업들의 도움이 없이는 불가능했다”고 수차례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만은 단순히 세계를 위한 수퍼컴퓨터를 (대신) 만드는 데 그치지 않는다”며 “이제 우리가 대만을 위한 AI를 개발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AI 반도체인 ‘그레이스 블랙웰’을 소개하며 이 반도체를 만들 때 들어가는 부품을 생산하는 기업 이름을 “페가트론, 콴타, 위스트론, 폭스콘, 아수스, 기가바이트…”라고 하나씩 언급했다. 그는 이어 “150개 (대만) 기업이 이루는 생태계가 없었다면 엔비디아의 설계를 실제 제품으로 구현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이들이 시스템 설계의 복잡성을 전부 이해하고, 모든 것을 연결하는 풍부한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었기에 이런 일이 가능했다”고 했다. 대만의 반도체 관련 기업들을 계속 추켜세운 셈이다. 기조 연설장엔 관중 5000여 명이 가득 찼고, 맨 앞자리엔 폭스콘·에이수스의 회장 등 대만 재계 인사 10여 명이 앉았다. 이들은 황 CEO가 대만에 대한 ‘덕담’을 내놓을 때마다 열렬한 박수를 보냈다.
황 CEO가 공개한 대만 ‘AI 수퍼컴퓨터’ 구축엔 대만 정부와 기업이 일제히 참여한다. 반도체 제작부터 AI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센터 등도 모두 현지화하겠다는 전략이다. 황 CEO는 “TSMC는 이미 엄청난 양의 AI 연구를 수행하고 있고 폭스콘은 로보틱스 분야에서 많은 연구를 한다”며 “대만에 세계적인 수준의 AI 기반 시설이 만들어진다면 교육·과학·기술의 발전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했다.
발표의 마지막 부분은 대만에 지을 신사옥을 소개하는 데 썼다. 우주선 같은 신사옥 건물이 하늘을 날아 대만 본토에 내려앉는 영상을 상영한 후 지난해 컴퓨텍스 연설에서 언급했던 계획을 보다 구체화해 발표했다. ‘엔비디아 콘스털레이션’이라는 이름과 함께 타이베이 북부 베이터우·시린에 대형 신사옥을 지어 대만 본부로 쓰겠다며 위치도 처음 공개했다. 신사옥엔 AI 수퍼컴퓨터 시설과 함께 AI 반도체 설계 및 로보틱스·양자 컴퓨팅 같은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소도 설치할 예정이다.
신사옥은 미 실리콘밸리 본사(약 5만㎡)에 맞먹는 큰 규모로 지어질 전망이라고 대만 매체들은 보도했다. 황 CEO는 새로운 대만 본사에 최소 1000여 명의 엔지니어를 고용하겠다는 계획도 앞서 밝혔었다. 그는 “우리는 일생에 한 번뿐인 특별한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며 “AI와 로봇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갈 최적의 장소는 대만이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강조했다.
황 CEO는 대만 타이난시에서 태어난 대만계 미국인이다. 아홉 살 때 가족들과 미국으로 이민을 간 후 그곳에서 쭉 살아왔지만, 자신의 뿌리가 대만에 있음을 평소에도 강조해 왔다. 대만을 방문하면 반드시 현지 식당이나 야시장에 들러 현지 음식을 먹는 모습을 연출해 대만 사람들의 엄청난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지난 17일엔 대만 AI 기업들과 만찬을 끝낸 뒤 타이베이에서 열린 ‘월드 마스터스 게임’의 마지막 성화 주자로 깜짝 등장해 화제가 됐다. 월드 마스터스 게임은 만 30세 이상만 참가하도록 한 일반인들의 국제 스포츠 축제다. 독립된 나라 취급을 받지 못하는 대만의 경우 이런 국제 행사 개최에 큰 의미를 부여할 수밖에 없는데, 그가 이 행사 성화 봉송 마지막 주자로 참여하며 대만 사람들의 자존심을 확실히 세워준 것이다.
황 CEO가 이렇게 대만에 공을 들이는 이유가 단순히 그가 대만 출신이기 때문이어서만은 아니라는 이야기도 있다. 엔비디아가 과거 컴퓨터 부품 중 하나이자 AI 반도체의 기초가 된 그래픽카드를 만들던 시절부터 대만 중소기업들과 지속적인 교류가 있었고, 이들과 함께 바닥부터 시작해 어느새 주류의 AI 흐름을 주도했다는 자부심이 황 CEO에게 있다는 것이다. 한 테크 업계 전문가는 “많게는 부품 수만 개가 들어가는 AI 반도체의 경우 공급망을 안정화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 중 하나”라며 “오랫동안 손발을 맞춰온 대만 기업들은 황 CEO 입장에서도 절대 놓칠 수 없는 동반자”라고 했다.
-타이베이=류재민 특파원, 조선일보(25-05-20)-
______________
TSMC의 웨이저자·콴타의 배리 람… 끈끈한 '대만 생태계'
엔비디아, AI 칩 제조는 TSMC
수퍼컴퓨터·서버는 콴타에 맡겨
17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만난 젠슨 황(가운데)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웨이저자(왼쪽) TSMC 회장, 배리 람 콴타 CEO/로이터연합뉴스
지난 17일 오후 대만의 한 식당. 세계 최대 인공지능(AI) 칩 기업인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회사인 대만 TSMC의 웨이저자 CEO, 세계적 AI 서버 제조사인 콴타의 배리 람 창업자 등이 한자리에 모였다. 참석한 30여 기업인의 회사 가치가 1조달러(약 1390조원)를 훌쩍 넘어섰기 때문에 ‘조(兆)달러 연회’라고 불렸다.
두 시간가량 이어진 저녁 자리에서 황 CEO는 “대만이 앞으로 매우 바빠질 것”이라고 했다. 참석자들은 다 같이 오른손을 들어 주먹을 쥐고 서로를 격려하기도 했다. 식사 후 황 CEO는 직접 웨이저자 회장을 배웅하며 취재진 앞에서 악수도 했다.
대만을 첨단 반도체 생산기지를 넘어 ‘글로벌 AI 인프라 허브’로 만드는 것은 대만 출신 기업인들이다. 대만 타이난 출신으로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창업한 젠슨 황은 대만 기업을 중심으로 AI 칩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다.
최첨단 AI 칩의 95%를 담당하는 엔비디아는 제조를 대만 TSMC에 맡기고 있다. 이렇게 생산된 AI 칩으로 대만의 폭스콘과 콴타가 데이터센터에 들어갈 서버를 제조한다. 초고성능 수퍼컴퓨터도 대만의 콴타와 에이수스가 만들 수 있다. 이 기업들이 힘을 합쳐 칩 설계부터 패키징, 서버, 통합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대만에서 하는 것이다.
대만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대만 네트워크’는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엔비디아 같은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인 미국 AMD의 리사 수 CEO는 젠슨 황과 같은 대만 타이난 출신이다. 트럼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미국 내 ‘AI 생산 인프라’ 구축도 대만 기업이 중심이다. 엔비디아가 설계한 AI 칩을 미국 애리조나에 있는 TSMC 반도체 공장에서 생산하고, 미국 텍사스에 있는 폭스콘과 위스트론이 AI 서버를 만드는데 모두 대만 기업이다.
-강다은 기자, 조선일보(25-05-20)-
==========================
'[세상돌아가는 이야기.. ] > [業務-經營]'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반도체 동맹'에서 희미해지는 한국] .... (5) | 2025.05.15 |
---|---|
[한국 경제 활로 보여준 SK하이닉스의 혁신] .... (1) | 2025.04.25 |
[60년 '보호의 저주'에 빠진 US스틸] .... [美 자존심.. ] .... (0) | 2025.03.25 |
[이재용 “죽느냐, 사느냐 직면”.. 제2의 ‘프랑크푸르트 선언’ 되길] .... (0) | 2025.03.18 |
["美, 5년뒤 첨단 칩 생산 2위"… 한국·대만 '반도체 아성' 무너지나] (1)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