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조장' 골든타임 15초]
[분노조절 장애]
'분조장' 골든타임 15초
알렉산더 대왕은 그리스부터 페르시아·인도에 이르는 광대한 땅을 정복했지만 정복하지 못한 것이 있었다. 바로 자신의 마음이었다. 그가 28세 때 페르시아를 정복한 다음 부하들과 만찬을 함께 할 때 심복 중 한 명이 교만하지 말라고 직언했다. 격분한 왕은 위병의 창을 빼앗아 심복을 향해 던졌다. 창은 가슴을 관통했다. 왕은 곧바로 자신이 한 일을 후회하며 사흘 밤낮을 방에서 나오지 않았지만 이미 늦은 뒤였다. 요즘으로 치면 분노 조절 장애를 의심해야 할 일이다.
▶서울 한 아파트에서 불을 지른 용의자가 숨지고 주민들이 크고 작은 부상을 당했다. 60대 방화 용의자가 윗집 주민과 층간 소음 갈등을 겪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분노 조절 장애를 겪었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뿐 아니라 인터넷에 ‘홧김에’라는 단어를 치면 방화, 차량 돌진, 우발적 칼부림 같은 분노 폭발 범죄 사례가 쏟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인간 뇌의 앞부분 전두엽은 충동 억제, 감정 조절, 판단 등 고도의 기능을 담당하며 사람을 사람답게 해주는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곳이다. 이 전두엽에 이상이 생기거나 기능이 약해지면 분노 같은 감정 신호를 적절히 제어하지 못하는 분노 조절 장애가 생긴다. 대구 한 대학 병원 간호사가 신생아를 돌보며 “분조장(분노 조절 장애) 올라오는 중”이라는 표현을 쓰다 파면당한 후 ‘분조장’이 유행어처럼 되기도 했다.
▶미국의 한 남성이 1848년 공사장에서 쇠막대기가 머리를 관통해 한쪽 전두엽이 없어지는 사고를 당했다. 생명엔 이상이 없었지만 온순한 성격이 분노를 참지 못하는 성격으로 변했다. 유전적인 요인, 호르몬 이상, 과도한 스트레스 등이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노년에 기억력은 문제없는데 불같이 화를 내는 성격 변화가 나타날 때 진단하는 ‘전두엽 치매’도 같은 종류의 장애다. 분노 조절 장애로 치료받은 사람은 2020년 1800여 명에서 2023년 2200여 명으로 늘었다. 그러나 정신과 진료를 기피하는 풍토를 고려하면 환자는 훨씬 많을 것이다.
▶순간적으로 치미는 분노를 어떻게 제어해야 할까. 전문가들은 부정적 감정이 정점을 찍고 한 단계 내려오는 데 걸리는 시간이 15초라고 했다. 일단 자기만의 분노 신호를 알아둔 다음, 신호가 나타나면 3초는 아무런 생각을 하지 말고 12초 동안은 심호흡을 하면서 참으면 일단 급한 불은 끌 수 있다고 했다. 15초가 분노를 가라앉히는 ‘골든타임’인 셈이다. 그래도 안 된다면 치료를 받아야 한다.
-김민철 논설위원, 조선일보(25-04-24)-
______________
분노조절 장애
정신과 환자에 스스로 머리카락을 뽑는 발모광(拔毛狂)이 있다. 발모벽(癖) 환자라고도 부른다. 이들은 두피가 보일 정도로 머리숱이 드문드문 비어 있다. 머리카락이 군데군데 지저분하게 빠져 있어 원형 탈모증과는 모양새가 다르다. 스트레스를 못 견디고 제 머리카락을 잡아채서 그렇다. 10대 소녀에게 흔한 충동 조절 장애다. 정서적으로 결핍하거나, 불안과 스트레스를 견디는 조절 능력에 문제가 있어 생긴다.
▶홧김 방화, 차량 돌진, 우발적 칼부림 같은 것을 보통 분노 조절 장애라고 부른다. 정신의학에서는 '간헐성 폭발성 장애'라는 진단명을 쓴다. 크게 봐서 충동 조절 장애다. 사소한 화에도 아드레날린을 비롯한 스트레스 흥분 호르몬이 지나치게 분비된 상황이다. 상황에 맞지 않는 분노를 지나치게 표출하면서 이성적 판단을 하는 전두엽 기능을 마비시킨다. 자기 행동이 미칠 결과를 예측 못하고 폭력을 휘두르고 물건을 부순다. 그러고는 후련해하거나 후회한다.
▶30대 남자가 고속도로에서 끼어들기를 하다 다른 차가 양보하지 않자 분을 참지 못했다. 터널 안에서 그 차를 세우고 앞 유리창과 보닛을 삼단봉으로 박살 냈다. 삼단봉은 짧은 막대가 3단으로 접혀 손잡이 부분 안에 밀려 들어가 있는 호신용 무기다. 피해자 차의 블랙박스에 찍힌 동영상을 보면 그의 행동은 분노 발작에 가깝다. 이럴 때 상대방을 설득해봐야 소용없다. 술에 만취한 사람과 같아 일단 피하는 게 상책이다.
▶'땅콩 회항'을 일으킨 대한항공 조현아 전 부사장도 분노 조절에 실패한 사례라는 게 한 정신과 의사 분석이다. 성장기에 적절한 욕구 충족과 좌절이 엇갈려야 인격이 성숙한다. 바라는 게 웬만큼 이뤄져야 긍정의 심리가 생긴다. 거기에 적절한 좌절도 겪어봐야 세상이 자기 맘대로 되지 않는다는 걸 터득한다. 좌절 없이 충족만 누리면 존재감은 극대화하고 세상을 얕보게 된다. 결국 어쩌다 자기 성에 안 차면 극도의 분노를 드러낸다. 젊어 고생은 사서도 하라는 말이 그래서 나온다.
▶경찰청 통계로는 폭행·상해·협박·공갈·약취·감금 범죄의 절반 가까운 46%가 우발적 범행이다. 충동 조절 장애 환자도 지난 5년 사이 두 배 늘었다. 지나친 생존 스트레스, 속으로 삭이다 폭발하는 소통 부족, 자녀 과잉보호, 폭력 게임과 자극적인 드라마를 원인으로 꼽는다. 분노 발작 뒤에는 패가망신이 기다린다. 모든 화(火)는 자기에게 화(禍)로 돌아오기 마련이다.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공감하게 가르치는 심성(心性) 교육이 절실하다.
-김철중 의학전문기자, 조선일보(14-12-23)-
========================
'[세상돌아가는 이야기.. ] > [健康-疾患]'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 노인 ‘지갑’ 속에 154조 원] [치매 머니] (2) | 2025.05.07 |
---|---|
[선크림] [구름 낀 날에도 얼굴이 타는 이유] [디오게네스와 선크림] (0) | 2025.04.30 |
[수명 연장을 택할 것인가, 건강수명을 늘릴 것인가] .... (3) | 2025.04.24 |
[그 입 다물라] [코가 건조해지는 계절.. ] [코가 막히면.. ] (0) | 2025.04.20 |
[명상·운동으로 면역력 증진… ] [뇌 기능 10%밖에 못 쓴다고?… ] (2)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