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생이는 겨울 남도 바다를 선명한 초록빛으로 물들이는 해조류입니다. 매생이는 '생생한 이끼를 바로 뜯는다'는 뜻이에요. 매생이가 자라는 데 적당한 온도는 섭씨 8도로 비교적 낮아요. 그래서 매생이는 12월 중순부터 2월 말까지가 수확 철입니다.
매생이는 전남 완도·강진·장흥·고흥·해남 등 청정 해역에서만 자라는 남도 지방 특산물입니다. 지방과 열량 함량은 낮으면서 식이섬유, 영양소 등이 풍부한 건강식품입니다. 하지만 1990년대까지만 해도 매생이는 천덕꾸러기 취급받았습니다. 매생이는 조류가 거칠지 않으면서 흐름이 좋은 바다에서 잘 자라는데, 김과 서식 조건이 같아요. 김 양식을 하는 어민들은 매생이를 김에 들러붙은 잡초 취급하며 제거했어요. 소비자는 매끈한 김을 선호했고, 매생이가 붙은 김은 품질이 떨어진다고 여겨 값이 내려갔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김에서 떼어낸 매생이를 모아서 끓여 먹는 매생이 국은 전남 일부 바닷가에서만 먹었죠.
남도 여행객이 늘면서 매생이 국이 차츰 소문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철분과 칼슘을 다량 함유해 중년 여성의 빈혈과 골다공증에 좋다고 알려지면서 전국적으로 매생이 열풍이 불었어요. 매생이로 억대 매출을 올리는 어민이 생길 정도로 효자 수산물이 됐습니다. 과거 김에서 매생이를 골라내던 어민들이 이제는 오히려 매생이에 붙은 김을 떼어낼 정도로 상황이 역전됐습니다.
매생이는 감칠맛이 풍부하면서 부드럽고, 목을 넘어갈 때 매끈하면서 뜨끈한 식감이 일품입니다. 매생이 칼국수, 라면, 호떡, 냉면, 과자, 막걸리 심지어 파스타까지 다양한 요리가 개발됐습니다. 그래도 매생이를 제대로 맛보려면 역시 매생이 국이 최고입니다. 매생이 국은 아무리 뜨거워도 김이 나지 않아요. 매생이가 가진 고유의 점질 때문인데요. 그래서 매생이 국을 무심코 한 숟갈 떠 넣었다간 입안이 홀랑 벗겨지기 십상입니다. '(장모가) 미운 사위에게 매생이 국 준다'는 말은 여기서 나왔답니다.
-김성윤 음식전문기자, 조선일보(21-01-05)-
=============================================
'[세상돌아가는 이야기.. ] > [餘暇-City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最古의 카페 플로리안] [스크랩] ● 신세대 유머 모음 [수녀님의 지혜] .... (0) | 2021.02.07 |
---|---|
[VIP는 명품 코너, 나머지는 온라인… 코로나 ‘공간 양극화’] (0) | 2021.01.31 |
[2020년 넷플릭스에서 제일 많이 본 드라마는?] (0) | 2020.11.15 |
[밑줄의 이력] [TV 속 멋진 그곳… 어떻게 찾았을까] [동영상 찍어 사진 뽑는다고?] (0) | 2020.11.15 |
[‘종이 지도’ 받겠다고 이틀간 6500명이 몰렸다] [종이 地圖 ] (0) | 2020.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