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 생태계의 수호자]
[출몰하는 뱀]
뱀, 생태계의 수호자
뱀은 혐오와 숭배, 양극단 이미지를 한 몸에 지닌 특이한 동물이다. 온기 없고 징그러운 외모, 한입에 통째로 먹이를 삼키는 엽기적 사냥 방식, 거기에 맹독까지 있으니 사랑받을 구석을 찾을 수 없다. 구약 창세기에선 이브를 유혹하는 사탄이고 그리스 신화의 괴물 메두사는 머리카락이 뱀이다.
▶어릴 적 시골 외가에 갔다가 뱀의 이미지를 깨는 일이 있었다. 1970년대 초만 해도 시골엔 뱀이 많았다. 외할머니는 뱀을 보고 놀란 손자에게 “내가 어렸을 땐 서까래 아래 앉아 있으면 뱀이 머리 위로 떨어질 만큼 많았다”며 “뱀은 재산을 지켜주는 영물이어서 내쫓으면 가세가 기운다”고 하셨다. 농경 사회에서 뱀은 곡식을 축내는 쥐를 잡아먹는 익수(益獸)여서 가뜩이나 쌀이 귀한 농가에 고마운 존재라고도 했다. 이런 믿음이 민간의 뱀 숭배로까지 발전했다는 걸 훗날 알게 됐다.
▶뱀은 이로운 짐승일 뿐 아니라 천연 방제 기능도 있다. 근대 이전 농가에는 고양이 수가 적었기 때문에 병균을 옮기는 쥐를 구제할 목적으로 일부러 독이 없는 구렁이를 집 안에 들이고 살았다. 이런 기능이 상상력을 자극해 그리스 신화에선 의술의 신 아스클레피오스가 들고 다니는 치유의 지팡이를 뱀이 칭칭 감고 있는 것으로 그려진다. 세계보건기구(WHO)를 비롯해 군의 의무 부대 마크 등에 뱀 문양이 쓰이는 이유다. 우리 역사에는 수호자 캐릭터로 나온다. 신라 경문왕이 침소에 들면서 “나는 뱀이 없으면 편히 잠잘 수 없다”고 했다는 기록이 삼국유사에 있다. 왕을 지키는 병사를 뱀에 빗댄 것으로 해석한다.
▶뱀이 인간뿐 아니라 자연의 수호자로 훼손된 생태계를 치유하는 기능도 크다는 사실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 자연계에서 뱀은 중간 포식자다. 작은 쥐나 개구리를 먹고 족제비나 멧돼지 같은 큰 짐승의 먹이가 된다. 먹이사슬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여서 뱀이 없으면 생태계 균형이 무너진다. 한반도엔 이런 뱀이 11종 서식한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대부분의 뱀이 멸종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이 2025년 뱀의 해를 맞아 제주도 비바리뱀 구조 활동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한다. 비바리라는 이름은 정수리부터 목덜미까지 검은 줄무늬가 마치 처녀의 제주도 방언인 비바리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졌다. 1981년 한라산 성판악 근처에서 처음 발견됐는데 10여 년 전부터 자취를 감추고 있다고 한다. 뱀은 다산과 생명력의 상징이다. 혼란스러운 시국에서 맞이한 새해, 우리 사회도 뱀처럼 힘찬 생명력을 발휘했으면 한다.
-김태훈 논설위원, 조선일보(25-01-02)-
_____________
출몰하는 뱀
시골 장터에서 사라진 풍경 가운데 하나가 땅꾼들의 호객이다. "자~ 이 뱀으로 말할 것 같으면"으로 운을 뗀 뒤 잡아온 뱀 이름을 줄줄이 읊고선 "애들은 가라, 보양강장제 한 번씩만 잡숴 봐"라며 입담을 걸쭉하게 풀어냈다. 서울 청계천에서도 "비~암(뱀의 사투리) 사세요, 비~암" 외치는 땅꾼들이 많았다. 이들은 뱀이 정력제로 그만이라지만 의학적 근거는 없다.
▶이탈리아 영화 '몬도 카네(Mondo Cane)'에서 따온 '몬도가네족(族)'이란 말이 한때 유행했다. 몸에 좋다면 가리지 않는 엽기적인 사람을 일컫는다. 뱀·멧돼지·까마귀는 정력제로 좋고 고라니·오소리는 신경통·관절염에 좋다는 속설이 돌면서 밀렵이 횡행했다. "멧돼지 쓸개는 수백만원, 고기 한 근(600g)에 1만원씩 팔릴 때가 있었다"(한국동물구조협회 김철훈 회장)고 한다.
▶환경부가 2004년 야생동물 포획, 유통 등을 금지하는 법 제정을 추진하자 전국의 땅꾼들이 들고 일어났다. '전땅련'(전국땅꾼연합회) 깃발을 들고 환경부가 있는 정부과천청사 앞에서 '뱀은 우리의 밥줄' '뱀 잡아 사람 피해 줄인 우리가 애국자'라며 시위를 벌였다. 야생 뱀은 종류가 무엇이든 잡지 못하고 먹지 못하게 하는 법이 결국 통과되면서 한때 1만명 수준이던 땅꾼들이 지금은 급격히 줄었다고 한다.
▶서울 도심, 농촌 비닐하우스, 골프장 등 장소를 가리지 않고 뱀 출몰이 부쩍 늘었다는 소식이 어제 보도됐다. 최근 긴 장마와 땅꾼 감소 등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뱀뿐만 아니라 멧돼지·고라니 같은 야생동물이 과거보다 크게 는 것은 '보신 식품'이라는 잘못된 사실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동물 보호 인식이 높아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런데 야생동물 전문가들이 꼽는 결정적인 요인은 따로 있다. 바로 '발기부전 치료제'의 등장이다. "비아그라가 시판되고 홍삼 같은 건강 보조 식품이 나오면서 야생동물이 정력제로 포획되는 일이 급감했다"(국립생태원 멸종위기복원센터 최태영 실장)는 것이다.
▶바다표범은 수컷 한 마리가 짝짓기 철에 암컷 수십 마리를 거느릴 정도로 정력의 대명사다. 그런데 1998년 비아그라가 출시된 이후 2년 만에 캐나다 바다표범 포획량이 최대 허용치인 25만마리에서 10만마리 이하로 줄었다는 조사가 있다. 하나에 70~100달러에 팔리던 바다표범 생식기는 비아그라가 나온 뒤 25달러 수준으로 떨어졌다. '뱀 출현을 신고했더니 뱀을 잡아서 공원에 풀어줬다'는 보도에 많은 사람이 어이없어했다. 뱀을 둘러싼 시비도 늘 것 같다.
-박은호 논설위원, 조선일보(20-07-30)-
=======================
'[세상돌아가는 이야기.. ] > [國內-이런저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을씨년스럽다' 어원 된 을사년… 갱신의 문은 그래도 열린다] (3) | 2025.01.05 |
---|---|
[美도 홀린 K뷰티… 프랑스 제치고 美 수입시장 첫 1위] .... (3) | 2025.01.03 |
[세계가 즐기게 된 한국 공기놀이] [급하니까 한국인입니다만] (2) | 2025.01.01 |
[뱀띠 해에 '성인'이 출현한다는데] [AI 무당 앞에 무릎 꿇고 물었다.. ] (3) | 2024.12.29 |
[이혼 후 친구처럼 지내기] [“우리 이혼했어요”] .... (6) | 202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