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이 1kg이 160만원]
[송이버섯]
송이 1kg이 160만원
솔 향기 물씬 풍기는 우리 송이버섯은 대대로 귀한 대접을 받았다. 8세기 초 신라 성덕왕에게 바쳤다는 기록이 있을 만큼 오랜 임금님 진상품이었다. 중국 사신이 오면 가장 받고 싶어한 선물도 송이였다. 동의보감은 ‘맛이 향기롭고 나무에서 나는 버섯 가운데 으뜸’이라 했다. 일본은 자국 송이가 귀해지자 한국산을 수입하는데 미국이나 중국 송이 가격의 최고 10배를 쳐준다.
▶송이엔 가난 극복과 자식 교육에 모든 걸 바친 부모 세대의 땀과 눈물도 기록돼 있다. 1970년대 대학은 소 팔아 자식 등록금을 댔다 해서 우골탑(牛骨塔)이라 했다. 강원도 경상도에선 산에서 캔 송이도 그 일을 했다. 사립대 등록금이 30만~40만원이던 때, 송이는 20~30㎏을 캐면 60만원 넘게 쥘 수 있는 고소득원이었다. 그러나 송이의 연중 수확 가능 기간은 약 28일로 짧다. 그로 인해 비극도 빚어졌다. 1996년 9월 우리 군이 북한 무장공비 소탕전을 벌일 때 강원도 주민들에게 송이 채취를 금지했다. 위험 때문이었다. 하지만 일부 주민이 “이러다 송이가 다 썩는다”며 산에 갔다가 공비 공격을 받고 목숨을 잃었다.
▶국내 송이 생산량은 연평균 219t이다. 한때 연 1300t을 수확했지만 기후변화로 생장 환경이 나빠졌다. 송이 균주는 섭씨 19.5도 이하에서 성장이 시작되는데, 일단 자라게 되면 14~24도를 2주간 유지해야 한다. 송이가 나오는 9월엔 비가 충분히 와야 하는데 배수가 안 되면 썩는다. 소나무에만 붙어 자라는 데다 수령 30~40년짜리 소나무를 가장 좋아한다. 이처럼 생육 조건이 까다로워 재배가 어렵다.
▶지난달 30일 강원도 양양에서 거래된 송이 1등급품의 ㎏당 공판 가격이 160만원으로 사상 최고액을 기록했다. 156만2000원이었던 지난해도 역대 최고가였는데 두 해 연속 최고가를 경신했다. 전문가들은 폭염을 이유로 든다. 추석이던 지난달 17일 강릉 낮 최고 기온은 32도였고 송이가 자라는 지표면 기온은 이보다 5도 정도 높았으니 송이가 나올 수 없는 환경이었다.
▶송이는 반세기 전만 해도 경기도 가평과 광주, 충남 예산, 전남 담양·함평·화순에서도 났지만 지금은 경상도와 강원도에서 90%가 나온다. 고려 말 문인 이규보는 문집 ‘동국이상국집’에서 ‘솔 훈기에서 나왔기에 맑은 향기 어찌 그리 많은지/(중략)/ 듣건대 솔 기름 먹은 사람/ 신선 길 가장 빠르다네’라 했다. 1000년 넘게 이 땅의 가을을 그윽하게 물들이던 송이 향을 우리 후손들은 기록으로만 읽게 될까 걱정스러운 마음이다.
-김태훈 논설위원, 조선일보(24-10-03)-
_______________
온도·습도에 민감해 인공재배 불가능… 섭씨 17도의 소나무숲에서만 자라
송이버섯은 가을을 대표하는 별미입니다. 입안과 콧속을 가득 채우는 은은한 솔향기가 특징이죠. 고려 명종 때 문신 이인로는 '파한집(破閑集)'에서 "맛이 신비하며 이뇨 작용을 돕고 정신 안정 효과가 있는 향기가 난다"고 극찬했고, 중국에서는 불로장생의 영약(靈藥)으로 여겼어요.
송이가 단순한 버섯을 넘어 영물(靈物) 대접을 받은 건 지금까지도 인공재배가 불가능할 정도로 생장 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입니다. 우선 송이는 온도와 습도에 매우 민감합니다. 숲속 온도가 섭씨 17도, 지표 온도가 19도 내외인 상태로 일교차가 10도 정도인 날씨가 열흘 이상 지속돼야 발아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 해발 700~1100m 능선에 있는 소나무숲에서만 자랍니다. 송이가 스스로 양분을 만들지 못해 살아있는 소나무 뿌리 근처에 붙어서 탄수화물을 공급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송이(松耳)'란 이름도 이 때문에 붙었어요.
이러한 조건이 갖춰지면 3~4일이면 다 자랍니다. 하지만 48시간 안에 송이를 채취하지 못하면 특유의 맛과 향이 사라져버린다고 해요. 또 송이는 쇠가 조금만 닿아도 맛이 변질돼서 상품 가치가 뚝 떨어지기 때문에 반드시 나무 지팡이로 캐야 합니다. 이렇다 보니 송이가 비쌀 수밖에 없는데요. 송이버섯 하나 가격이 보통 3만~4만원, 최대 6만원을 호가하기도 합니다. 송이철 도둑을 막으려고 공기총을 든 일꾼이 밤샘하며 송이를 지킬 정도입니다.
생송이는 결대로 찢어 먹으면 육질이 탱탱하고 오독오독해요. 송이 몇 조각을 밥에 얹은 '송이솥밥'도 맛있지만 얇게 썰어서 숯불 등 센 불에 살짝 구운 '직화구이'는 본연의 맛을 즐기는 최고의 방법이죠. 그런데 올해는 장마가 워낙 길었던 탓에 송이를 맛보기 힘들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송이 생장조건이 갖춰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해요.
-조선일보(20-09-16)-
========================
'[세상돌아가는 이야기.. ] > [國內-이런저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버 멍석말이] [익명성과 공격성] (0) | 2024.10.05 |
---|---|
[집값 띄우기, 편법 증여… 수상한 거래들] [비교와 공정에 대하여] (2) | 2024.10.04 |
[국군 북진이 만든 창성의 변화] (0) | 2024.10.02 |
[코끼리 문제 풀기] [동물 배설물] (2) | 2024.10.02 |
[1열로 세우면 지구 12바퀴, 현대차 생산 1억 대 돌파] .... (5) | 2024.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