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산-산행이야기]

[산..!] [17] 지리산(智異山)(노고단-촛대봉-천왕봉)

뚝섬 2024. 11. 23. 05:25

 

 

 

-천왕봉에서 바라본 지리 주능선..

 

-맨 뒤쪽 노고단-반야봉에서 우측으로 흐르는 서북능선(만복대-고리봉-세걸산-바래봉-덕두산)..

 

-괘관산(대봉산, 경남 함양에서 바라본 지리 주능선..

 

 

 

 

 

 

 

 

 

 

 

 

 

 

 

 

 

 

 

 

 

 

 

 

 

 

 

 

 

 

 

 

 

 

 

 

 

지리산(智異山):

전북 남원시, 전남 구례군, 경남 산청군 ·하동군 ·함양군에 걸쳐 있는 산(1915m). ‘어리석은 사람이 머물면 지혜로운 사람으로 달라진다’하여 지리산(智異山)이라 불렀고, 또 ‘멀리 백두대간이 흘러왔다’하여 두류산(頭流山)이라고도 하며, 옛 삼신산의 하나인 방장산(方丈山)으로도 알려져 있다. 남한 내륙의 최고봉인 천왕봉(1915m)을 주봉으로 하는 지리산은 서쪽 끝의 노고단(1507m), 서쪽 중앙의 반야봉(1751m) 등 3봉을 중심으로 하여 동서로 100여 리의 거대한 산악군을 형성한다.

___________________

 

 

 

 

 

스크랩(원글출처): 旅程  http://blog.daum.net/7daffodils61/15947973?category=1515951

                                                      http://blog.daum.net/7daffodils61/15947979?category=1515951

  

 

 

1. 노고단에서.. 반야봉과 뒤로 구름에 덮힌 천왕봉..

 

 

 

 

2. 어둠 속에서 걸어온 성삼재-노고단-돼지령-임걸령 능선길을 노루목에서 뒤돌아본다..

 

 

 

 

 

3. 노고단 우측으로 고리봉, 그 너머로 천마산-견두산으로 이어지는 능선도 볼수 있다.

 

 

 

 

 

4. 좌측으로 검게 보이는 불무장등과 그 우측으로 왕시루봉도 서서히 어둠을 벗어나고 있다. 더 멀리 광양의 백운산에도 여명의 붉은 빛이 서려 있다..

 

 

 

 

 

5. 불무장등과 왕시루봉 그 너머 백운산 자락까지..

 

 

 

 

 

6. 화개재로 내려서며 가야할 토끼봉을 본다..

 

 

 

 

 

7. 토끼봉..

 

 

 

 

 

8. 명선봉 이후 천왕봉까지 오르내림을 반복하는 능선이 면면히 이어진다..

 

 

 

 

 

9.

 

 

 

 

 

10. 과남풀

 

 

 

 

 

11. 연하천 대피소

 

 

 

 

 

12. 좌측으로 삼신봉 능선, 그 다음 성제봉, 맨뒤 백운산 자락..

 

 

 

 

 

13. 진행방향의 형제봉..

 

 

 

 

 

14. 지나온 능선..

 

 

 

 

 

15. 가야할 능선..

 

 

 

 

 

16. 형제바위..

 

 

 

 

 

17. 가운데 벽소령 대피소 너머 덕평봉, 천왕봉까지..

 

 

 

 

 

18. 지나온 능선..

 

 

 

 

 

19. 벽소령 대피소

 

 

 

 

 

20. 지리산 남부능선과 백운산..

 

 

 

 

 

21. 가야할 능선..

 

 

 

 

 

22. 삼신봉 능선을 다녀온 사진이 창고에서 빛을 볼 날을 기다리고 있는데..

 

 

 

 

 

23. 저 아래 있을 ▼ 화개장터도 그려본다..

 

 

 

 

 

24. 바위 암봉 너머 영신봉..

 

 

 

 

 

25. 지나온 칠선봉..

 

 

 

 

 

26. 이제 영신봉 아래 세석대피소가 코앞..

 

 

 

 

 

27. 중앙 멀리 삼봉산..

 

 

 

 

 

28. 영신봉을 지나 세석대피소로 내려서는 길에서 촛대봉을 마주한다..

 

 

 

 

 

29.

 

 

 

 

 

30. 세석대피소가 저 아래에..

 

 

___________________________

 

 

 

 

31. 해가 떠올라 시나브로 지리의 모든 능선을 비추는 광경을 바라본다..

 

 

 

 

 

32. 지난 구간을 살펴보고..

 

 

 

 

 

33. 영신봉 우측으로 삼정산과 바래봉-덕두산 능선에도 아침햇살이 비추고 있다..

 

 

 

 

 

34. 촛대봉..

 

 

 

 

 

35. 진행방향..

 

 

 

 

 

36. 멀리 남해쪽으로 와룡산(사천) 보일듯 말듯..

 

 

 

 

 

37. 영신봉에서 분기된 낙남정맥은 삼신봉을 거쳐 외삼신봉으로 이어져간다..

 

 

 

 

 

38.

 

 

 

 

 

39.

 

 

 

 

 

40.

 

 

 

 

 

41. 좌측 바래봉-덕두산, 가운데 삼봉산, 그 너머 장안산-백운산-괘관산, 더 멀리 남덕유..

 

 

 

 

 

42. 아래는 백무동/한신계곡, 우측으로 삼정산, 그 앞으로 길게 오공능선이 이어지고 맨 뒤로 서북능선 마루금이 펼쳐진다..

 

 

 

 

 

43. 인월, 마천방향..

 

 

 

 

 

44. 1-남덕유, 2-덕유산(향적봉), 3-괘관산, 4-백운산, 5-장안산, 6-삼봉산, 7-서룡산, 8-법화산, 9-백운산, 10-금대산, 11-창암산..

 

 

 

 

 

45. 조망처 화장봉에 올라 지나온 능선길을 바라본다..

 

 

 

 

 

46.

 

 

 

 

 

47. 연하봉과 제석봉, 그리고 천왕봉..

 

 

 

 

 

48. 연하봉과 일출봉 능선..

 

 

 

 

 

49. 남해까지 넘실거리는 산자락..

 

 

 

 

 

50. 지나온 화장봉..

 

 

 

 

 

51. 장터목대피소..

 

 

 

 

 

52. 제석봉을 오르다 바라본 지나온 연하봉과 일출봉 능선..

 

 

 

 

 

53. 천왕봉..

 

 

 

 

 

54.

 

 

 

 

 

55.

 

 

 

 

 

56. 중산리.. 와룡산 너머 사량도 지리망산도 보인다. 더 멀리로는 응봉, 설흘산도???

 

 

 

 

 

57. 천왕봉 정상부..

 

 

 

 

 

58.

 

 

 

 

 

59. 중산리..

 

 

 

 

 

60.

 

 

 

 

 

61.

 

 

 

 

 

62.

 

 

 

 

 

63. 웅석봉과 달뜨기능선을 제대로 본다..

 

 

 

 

 

64.

 

 

 

 

 

65. 하산길에서도 조망은 끊이지 않고 터진다..

 

 

 

 

 

66.

 

 

 

 

 

67. 몇번을 지나쳤지만 한번도 안가본 곳..

 

 

 

 

 

68. 저곳이 그렇게 오르고 싶어하는 곳일까…

 

 

 

 

 

69. 중봉에서 써리봉으로 이어지는 암릉..

 

 

 

 

 

70.

 

 

 

 

 

71. 포만감이 들 정도로 조망을 누렸는데 하산길에서도 자꾸 멈춰서 기웃거리게 된다. 같은 모습이 아니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