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를 낳고 나라를 구하라!]
[실패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이 중매를 찾는 이유]
아기를 낳고 나라를 구하라!
오랜만에 케이블 방송을 틀었다. 요즘은 케이블 볼 일이 잘 없다. 뉴스는 스마트폰으로 본다. 영화는 OTT로 본다. 뉴진스 방송 영상은 스마트폰으로 재생한 뒤 티브이에 송출해서 본다. 요즘 티브이라는 물건은 집에서 가장 큰 ‘윈도우’에 더 가깝다.
오랜만에 케이블을 틀었더니 꽤 재미가 있었다. 공중파는 단가가 높아 케이블로 몰려간 중소기업들이 저렴하게 제작한 광고를 보는 재미가 있었다. ‘세상을 바꾸는 건 지식이 아니라 예수님의 사랑’이라는 광폭한 문구를 자랑하던 대학교 광고는 오랜만에 바뀌었다. 이젠 ‘(애를 낳아서) 가정을 살려야 한다’고 엄포하는 중이다.
내가 무슨 죄를 지었다고 티브이를 보면서 설교를 들어야 하나. 예수님만 나라 걱정하는 게 아니었다. 한 타이어 회사 광고는 냅다 “아기를 낳고 나라를 구하자”고 외치고 있었다. 과학적 근거가 있을 것이다. 출산율이 높아져야 운전자가 늘어나고 타이어도 많이 팔릴 거라는 당연한 예측? 백년 미래를 내다보는 광고주다.
모두가 나라 걱정이다. 어딜 가도 출산율 이야기다. 다들 진심일 것이다. 모든 건 지나치게 진심이 되면 좀 웃겨지기 시작한다. 평상시와 지나치게 다른 목소리로 지나치게 장엄한 연설을 하는 정치인을 볼 때처럼 말이다. 출산율 이야기도 웃겨지기 시작했다. 케이블 광고가 학위와 타이어 팔겠다고 써먹는 순간부터다.
반세기 사는 동안 슬로건도 많이 변했다. ‘하나 낳아 젊게 살고 좁은 땅 넓게 살자’는 시대에 태어나 ‘자녀에게 물려줄 최고의 유산은 형제입니다’ 시대를 통과했더니 ‘아기를 낳고 나라도 구하자’는 시대에 도달했다. 낳으랬다 말랬다 정신이 없다. 애를 국가가 낳는 줄 알겠다.
나는 이 글을 대구시가 출산율 상승을 위해 110억 세금을 들여 만드는 프러포즈 공간에서 첫 공개 프러포즈를 할 커플에게 바친다. 여러분이 아이를 낳을지는 모르겠다. 여러분처럼 대담무쌍한 사람이라면 뭐가 됐든 나라를 구할 수는 있을 것이다.
-김도훈 문화칼럼니스트, 조선일보(24-07-24)-
______________
실패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이 중매를 찾는 이유
[벗드갈 한국 블로그]
얼마 전 필자는 남편으로부터 30대 후반에 결혼하지 않은 지인 이야기를 들었다. 그 남자분은 결혼하고 싶은 마음에 결혼정보업체에 등록해 최근 세 번 정도 ‘선’을 보러 나갔는데 다 실패했다고 한다. 그 과정이 모두 다 외국인인 필자가 듣기에는 신기한 것이었다.
남편의 말에 따르면 첫 번째 여성분은 30대 중반이었다. 선을 보는 그 자리에서 다짜고짜 “결혼 날짜를 언제로 정할까요?” 하고 물었다고 한다. 매우 부담스러웠기에 다음 데이트 약속을 정하지 않고 끝을 냈다고 한다. 두 번째로 만난 여성분이 마음에 들어 세 번 정도 더 데이트했는데, 상대방이 세 번째 만남에서 이런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사실 과거 연인과 2년간 동거하고 부부로 지냈다”고. 혼인신고는 안 했다지만 솔직하게 말해줘서 고맙다고 해야 할지, 다른 남자와 할 거 다 해봤다고 화를 내야 할지 마음이 갈팡질팡했다고 한다. 결국엔 그 여성분과도 헤어졌다.
마지막 여성분은 매우 마음에 들어 여덟 차례 정도 데이트를 함께 즐겼다고 한다. 하지만 남편의 지인에게 모든 데이트 비용을 부담하게 했고, 여덟 번째 데이트에서조차 식사 후 커피까지 사달라고 했다. “다음번에는 꼭 사드리겠다. 오늘은 지갑을 두고 왔다”는 말과 함께. 그것으로 남편 지인은 그 여성과 더 만나고 싶은 마음이 사라졌다. 이렇게 세 번의 선은 아무런 성과 없이 마무리됐다. 그 남자분이 지독히도 운이 없었던 걸까?
사실 선과 중매로 인생의 배우자를 만날 가능성이 얼마나 높을지 잘 모르겠다. 남편 지인의 에피소드를 들으며 필자는 한국의 중매, 선 문화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았다. 어렸을 때 재미있게 본 ‘내 이름은 김삼순’이라는 드라마에서 처음 선보는 모습을 접했다. 다 큰 남녀가 서로에 대해서 전혀 모르는 상태로 커피를 마시고 서로에 대해서 견적 보듯이 정보를 캐는 장면은 무척 신기하면서도 이상했다. 선을 볼 때 ‘학벌, 학연, 출신, 직업’ 등이 중요하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그 당시엔 이해하기 어려웠는데 이제는 왜 그런 게 중요한지 안다.
한국에서는 이런 소개 문화가 널리 퍼져 있다. 연세가 지긋한 어르신들은 미혼인 젊은 사람을 보면 꼭 “누구 만나 볼래?” 하고 묻는다. 젊은 사람들에게 이것저것 정보를 캐내어 이어줄 사람을 찾으려 애쓰시는 것도 여러 번 목격했다. ‘한국 사람들은 짝지어 주는 것을 매우 좋아하는구나’ 하고 생각했다. 이런 사회 분위기 때문에 소개팅이나 선 같은 문화도 자연스러운 것 같다. 오죽하면 그런 걸 다루는 짝짓기 예능 프로그램까지 인기일 정도다.
과연 이런 문화는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한 드라마에 따르면 과거 조선 시대에는 서른 살이 넘도록 결혼하지 않으면 잡혀갈 수도 있었다고 한다. 즉, 범죄자가 되었다는 이야기다. 이 드라마의 내용이 사실인지 알아보다가 추가로 더 재미있는 내용도 찾았다. 그땐 노총각과 노처녀가 국가 차원에서 구제해야 할 불쌍한 사람들로 여겨져 나라에서 혼례비용을 보조하거나 콩을 혼수 삼아 결혼을 장려했다는 이야기였다.
이런 전통이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는 걸까. 결혼중개업체, 중개 사이트는 물론 중개 프로그램까지 성행한다. 과거보다 훨씬 스마트하고 발전한 시대에 사는 만큼 서로의 조건을 맞춰 짝을 소개해 준다.
그러나 모든 중매가 성공적인 것은 아니다. 온 사회가 나서 중매를 서주는 경우가 있으니 바로 국제결혼이다. 국제결혼 중매의 결과는 썩 좋지 못하다. 국제결혼을 통해서 결혼한 이들의 대부분이 불행 속에서 살고 있다고 감히 말하고 싶다. 언어와 문화를 전혀 모른 채 한국 땅에 온 외국인 여성은 한국의 가난한 노총각에게 시집가서 아이를 낳는다. 아이는 한국 아이로 길러져서 엄마는 아이와도 제대로 소통할 수 없고 아빠와는 서먹서먹한 사이로 산다. 감히 남의 삶이 다 이렇다고 평가하긴 그렇지만, 주변에 다문화 지인들과 가족이 많아서 국제결혼을 통해 이뤄진 다문화가족의 이야기를 많이 듣고 있다.
그럼에도 남편의 지인은 중매로 배우자를 찾으려 했다. 그러고 보면 이런 생각도 든다. 중매결혼의 여러 단점을 알면서도 또 중매를 찾을 수밖에 없는 건 그만큼 결혼하기 힘들기 때문이 아닐까 하고 말이다. 물론 중매 결혼으로 좋은 배우자를 찾고 행복한 가정을 이루는 분도 많을 테니 오해는 말았으면 좋겠다. 그저 혼인 건수가 늘고 출산 건수도 늘어서 한국의 저출산이 조금은 해소되길 바라는 마음뿐이다.
-벗드갈 몽골 출신·글로벌 비에이 유학원 대표, 동아일보(24-07-24)-
=======================
'[세상돌아가는 이야기.. ] > [國內-이런저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닻 내림 효과] (0) | 2024.07.28 |
---|---|
[태풍] [허리케인? 태풍? 사이클론?.. 뭐가 다를까] (0) | 2024.07.25 |
[기상망명족] [19세기까지 神의 영역이던 일기예보.. ] .... (0) | 2024.07.23 |
['역사 유산' 소록도] [소록도 ‘작은 할매’ 잠들다] (0) | 2024.07.22 |
[노인의 이동권도 고민해야 한다] [고령자 운전, 면허 반납만이.. ] (1) | 2024.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