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일이 부릅니다 '아파트'
[브루노 마스의 '아·파·트']
[봉준호의 당당한 콩글리시]
윤수일이 부릅니다 '아파트'
신곡 '아파트'를 부르는 1982년의 윤수일. 요즘 새 앨범을 준비 중이라고 한다.
노래는 가수의 것이지만 어디서 어떻게 소비되느냐에 따라 운명이 달라질 수 있다. 윤수일(69)의 히트곡 ‘아파트’가 그렇다. 가사와 멜로디는 삭막한 도시의 애환을 그렸지만 스포츠 경기장에서는 신나는 응원가로 불린다. 이쪽에서 ‘아파트’를 떼창한다면 승리가 확정되거나 승기를 잡았다는 뜻이고, 당연히 저쪽 응원석은 침울해진다.
걸그룹 블랙핑크 로제와 미국 팝스타 브루노 마스가 함께 부른 ‘아파트(APT.)’가 세계적 신드롬을 일으키자 윤수일이 1982년 발표한 ‘아파트’도 역주행하며 인기를 얻고 있다. 부산에 산다는 윤수일은 “내 노래를 재건축해 줘 감사하게 생각한다”며 “요즘 아파트 주민들에게 축하 인사 받느라 바쁘다”고 했다. K팝이 흘러간 옛 가수를 재조명한 사례다.
주한 미군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 태어난 윤수일의 어린 시절은 혼돈 그 자체였다. 아버지는 떠났고 어머니는 재혼했다. 이국적이고 수려한 외모를 가진 윤수일은 온 동네의 불편한 관심을 받으며 성장했다. “혼혈이라 늘 외로웠다. 병역의무도 면제됐다. 내가 정말 이 나라 국민인가 하는 생각까지 했다. 그래서 음악에 더 빠져들었다.” 윤수일은 혼혈인이라는 운명을 뮤지션으로서 개성의 계기로 삼았다.
걸그룹 블랙핑크 로제와 미국 팝스타 브루노 마스가 함께 부른 ‘아파트(APT.)’ 쉽고 중독성 강한 멜로디라 조회수 3억뷰를 바라본다. 수험생들은 "수능을 앞두고 로제가 우리를 떨어뜨리려고 인터넷에 독을 풀었다"며 수능 금지곡으로 꼽는다.
1977년 ‘사랑만은 않겠어요’로 데뷔한 그는 “도시인의 고뇌, 고독에 집중한 한국 시티팝의 창시자”로 자신을 규정한다. 락뽕(락+뽕짝)스러운 전주가 흐르고 “별빛이 흐르는 다리를 건너/ 바람 부는 갈대숲을 지나~”로 시작되는 ‘아파트’는 1980년대를 강타했다. “으쌰라 으쌰~”라는 추임새까지 장착하며 응원가 겸 노래방 애창곡으로 사랑받았다.
노랫말 속 아파트는 어디에 있는 아파트일까. 여의도, 압구정, 잠실 등 추측이 무성했다. 윤수일이 논란을 깔끔하게 정리했다. “군대 갔던 친구가 휴가 나와서 여자 친구의 아파트 벨을 눌렀는데, 그 가족 모두가 이민을 가 버려 텅 비었다고 했다. 그 친구 이야기에 영감을 받아 내가 노랫말을 썼다. 다리는 잠실대교이고, 그 아파트는 잠실에 있다.”
‘아파트’의 인기에 대해 가수는 리듬과 선율이 쉽기 때문이라고 했다. 작곡도 5분 만에 끝냈다고. 온라인에서는 로제·브루노 마스의 신축 ‘아파트’와 윤수일의 구축 ‘아파트’를 섞어 제작한 영상도 인기다. 윤수일은 “젊은 친구들이 로제의 ‘아파트’를 들으면서 제 ‘아파트’가 덩달아 주목받아 기쁘다”고 했다. 쓸쓸하지 않아 다행이다. 오랜만에 유튜브로 다시 들어봤다. 윤수일이 부르는 ‘아파트’.
윤수일의 '아파트' 뮤직비디오 중 한 장면. "머물지 못해 떠나가 버린/ 너를 못 잊어~"
-박돈규 기자, 조선일보(24-11-09)-
______________
브루노 마스의 '아·파·트'
한국에서 아파트는 1930년 서울에 처음 등장했다. 1970년대 서울 용산에 들어선 한강맨션은 수도꼭지만 틀면 더운물이 쏟아지며 ‘아파트=편리함’이란 인식을 강화했다. 가수 윤수일이 1982년 ‘아파트’를 발표할 때만 해도 전체의 5%에 불과했던 아파트 주거율이 지금은 전체의 절반 이상으로 늘었다. 이러니 아파트를 빼고 한국인의 삶을 설명할 수 없다는 말이 나온다.
▶문학작품 중에 아파트를 다룬 소설이 유난히 많은 것도 한국적인 현상이다. 최인호의 ‘타인의 방’이나 박완서의 ‘마흔아홉 살’은 대도시 아파트에 사는 한국 중산층의 고독과 위선, 물욕 등을 다룬 작품들이다. 외국인도 한국을 알고 싶다면 ‘똘똘한 한 채’ 같은 단어가 지닌 의미를 이해해야 한다. 한국식 재테크, 교육열, 중산층 문화를 분석하는 ‘아파트 공화국’이란 책을 낸 프랑스인도 있다.
▶한국을 처음 접하는 이들은 ‘아파트’라는 한국식 공동주택 이름을 낯설어한다. ‘아파트먼트’라는 영어 단어가 있기는 하지만 누가 이를 줄여서 ‘아파트’라고 했는지는 모르겠다. 이런 형태의 주택을 영국에선 플랫(flat), 미국은 콘도(condo)라 한다. ‘아파트’는 외국인들이 발음하기도 어렵다. 특히 영어는 단어 끝에 ‘으’ 발음이 없다. ‘데이빗(David)’이라고 하지, ‘데이비드’라고 하지 않는다.
▶걸그룹 블랙핑크 가수 로제가 지난주 세계적인 팝스타 브루노 마스와 듀엣으로 낸 곡 ‘아파트(APT.)’가 세계 젊은이들의 귀를 사로잡고 있다. 한국에선 브루노 마스가 정확한 발음으로 ‘아~파트, 아파트’를 반복해 외친 것이 화제가 됐다. 마스뿐 아니라 그 노래에 매료된 전 세계 청년들이 한국 발음으로 ‘아파트’라고 따라 하는 동영상도 퍼지고 있다. 이 노래에 나오는 ‘건배 건배’ ‘소맥’처럼 한국의 음주 문화와 관련된 어휘, 로제와 마스가 두 손을 겹쳐가며 재현한 한국의 아파트 게임 밈(meme·유행 동영상)도 번지고 있다.
▶과거 한국인이 외국에 나갈 때면 ‘아파트’는 콩글리시라 쓰지 말라는 말을 들었다. 그런데 어느덧 외국인이 한국식 명칭을 이해하고 발음도 한국인처럼 하려 애쓴다. 미국의 패션 월간지 ‘보그’도 최근 로제를 인터뷰한 기사에 “이 곡은 로제가 한국 태생이란 사실을 존중하기 위해 처음부터 끝까지 한국식 ‘apateu’로 발음한다”는 설명과 ‘아파트’라는 한글을 병기했다. 외국인이 알아야 할 한국 항목에 아파트 명칭과 발음법도 포함됐다. K컬처가 전 세계로 얼마나 뜨겁게 퍼지는지 보여주는 문화 현상이다.
-김태훈 논설위원, 조선일보(24-10-25)-
_____________
봉준호의 당당한 콩글리시
해외무대서 거침없이 토종 영어… 할리우드 스타도 귀 기울여
영어 스킬보다 내용이 더 중요, 언어는 문화에 기생한다
"SKY(스카이)가 높다 한들 하늘 아래 대학이로다/ 점수 오르고 또 오르면 못 갈 리 없건마는/ 사람이 제 아니 노력하고 SKY 못 간다 하더라."
영어 학원 전단에 적힌 글귀를 보고 쓴웃음 지었다. 시조 '태산이 높다 하되…'가 어쩌다 학원 광고 문구로 전락했나. 가슴은 세속적 패러디에 거부반응 일으켰지만, 조급함에 잠식당한 학부모 머리는 쉽게 투항했다. 방학 특강에 아이를 욱여 넣었다.
영 마음이 찜찜한데 요즘 영어로 화제인 인물이 떠올랐다. 봉준호 감독의 통역 담당 최성재(영어명 샤론 최)씨. 디테일까지 한 올 한 올 살려내 통역하며 러닝메이트처럼 봉 감독과 함께 '아카데미 레이스'를 펼치고 있다. 봉 감독이 지난달 8일 전미비평가협회(NBR) 외국어영화상을 받는 자리에서 영어로 감사를 표할 정도였다. "I don't know how she can do this.…She really destroyed the language barrier(어떻게 이걸 할 수 있는지 모르겠어요. 그녀가 진짜 언어의 장벽을 무너뜨렸어요)." 통역하려던 최씨가 당황했다. 신선한 탈선이었다.
최씨 통역 못지않게 영어를 대하는 봉 감독의 자세가 눈에 띄었다. 당당하고 거침없다. 주저 없이 한국말과 토종 영어를 휙휙 오간다. 미국 배급사인 '네온' 톰 퀸 대표에게 영어로 설명하다가 꼬이자 넉살 좋게 한국어로 말해 버린다. 그것도 반말로. "당신이 얘기해봐. 내가 내 입으로 말하려니 잘 모르겠어." 평생 영어 울렁증 달고 살다 대물림까지 하는 한국 사람에겐 쾌감마저 준다.
센스 넘치는 콘텐츠 앞에서 언어 장벽은 맥을 못 춘다는 것도 증명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영화비평가협회(AAFCA) 외국어영화상을 받고는 대학 시절 친구들끼리 자막 단 경험을 영어로 말했다. "The movie I did subtitle was 'Jungle Fever' and 'Do The Right Thing'(내가 자막 단 영화가 '정글 피버'와 '똑바로 살아라'였어요)." 어색한 콩글리시였지만 박장대소가 터졌다. 아프리카계 미국 감독 스파이크 리의 작품을 콕 집은 게 웃음 포인트였다. 한국말로 "영어에 다양한 욕이 있는 줄 처음 알았다. 스파이크 리 감독 덕에 공부 많이 했다"는 위트도 잊지 않았다. 할리우드 비평가협회(HCA) 각본상을 탔을 땐 "조용한 커피숍을 찾아다니며 시나리오를 썼는데 영화 개봉 때 가보면 거의 문을 닫았더라"며 망한 커피숍 주인들에게 상을 바쳤다. TPO(time· place·occasion, 시간·장소·상황) 딱딱 맞춘 화술은 언어의 허들을 뛰어넘어 할리우드 톱스타도 귀 쫑긋 세우게 했다.
이쯤 되면 영어 스킬이 능사가 아니란 생각이 든다. '기생충'만이 할 수 있는 이야기가 자막을 극도로 싫어하는 미국 관객을 스크린 앞으로 이끌었듯 대체 불가능한 내용이 있으면 아쉬운 쪽에서 언어 장벽을 걷어내고 다가온다. 통역사 지인이 말했다. "발음이 후지니 영어 하기 두렵다는 사람은 많아도 콘텐츠가 빈약해 영어 하기 겁난다는 사람은 드물다. 정작 듣는 사람은 발음보다 콘텐츠를 따지는데."
'기생충'이 세계적 붐을 일으킨 데는 역설적으로 한국어의 힘이 컸다고 본다. 전작 '설국열차' '옥자'에선 영어와 한국어가 삐걱거리며 낸 엇박자가 거슬렸지만 기생충은 모국어로 일상의 미세 주름, 모공까지 살려내 자연스럽다. 언어는 문화에 기생하고, 문화는 언어에 기생한다. 오는 9일(현지 시각) 봉 감독이 '로컬 행사'라고 뒤튼 아카데미는 '로컬 언어' 한국어를 최고봉에 세울까.
-김미리 주말뉴스부 차장, 조선일보(20-02-01)-
========================
'[세상돌아가는 이야기.. ] > [國內-이런저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딸이 된 아들] [남성 염색체 가진 여자 선수] (4) | 2024.11.13 |
---|---|
[언제까지 ‘특검의 늪’에서 허우적거려야 하나] .... (0) | 2024.11.11 |
['채식주의자' 36초 요약, 영화는 2배속… 짧아서 좋다고?] (4) | 2024.11.10 |
[근대적 시간 관념] [‘코리안 타임] (0) | 2024.11.10 |
[식품업계 이젠, 간편식 꽁꽁 얼린다] .... (0) | 2024.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