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작은정부십자군 “저항 세력에 망치가 떨어질 것”]
["트럼프가 질거라 했다며?"...실세 머스크, 베이조스 직격]
[일론 머스크의 神氣]
美 작은정부십자군 “저항 세력에 망치가 떨어질 것”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만들기로 한 ‘정부 혁신 기구’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그 조직의 공동 대표로 지명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창업자(53)와 공화당 대선 주자였던 인도계 억만장자 비벡 라마스와미(39)는 20일 신문 기고를 통해 “작은 정부 십자군”이 조직을 주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머스크가 구인 공고를 냈던 “무보수로 주당 80시간 일할 매우 높은 IQ 소유자들”이 그들이다. 12세기 전후로 십자가를 품고 이슬람 정벌에 나섰던 기독교 기사단을 뜻하는 십자군이란 표현이 눈에 띈다. 물러서지 않겠다는 머스크의 결기와 기존의 엘리트 공무원을 적대시하는 트럼프의 생각이 묻어난다.
▷머스크와 라마스와미는 재택근무 중단과 규제 개혁을 제시했다. 코로나 때 정착한 재택근무를 폐지해 주 5일 출근을 불편하게 느끼는 공직자에게 퇴직을 유도하겠다고 했다. 연방 공무원 230만 명 가운데 110만 명이 재택근무가 가능하고, 23만 명은 100% 재택근무를 해도 된다고 한다. 머스크는 또 행정 규제를 철폐해 부처마다 규제 담당자 숫자를 크게 줄이고, 연방 정부 조직을 수도 워싱턴 밖으로 옮겨 공직자 퇴직을 유도하겠다고도 했다.
▷누구나 공감하지만, 손대지 못한 것이 정부 개혁이다. 하지만 두 억만장자의 생각은 다른 듯하다. 머스크는 400개가 넘는 정부 기구를 99개로 줄일 수 있고, 국민 세금을 매년 2조 달러(약 2800조 원) 절감할 수 있다고 말해 왔다. 라마스와미 역시 주(州) 경찰 및 교육자치청과 업무가 겹치는 연방수사국(FBI)과 교육부 폐지를 요구해 왔다. 이들의 주장은 “정부는 문제를 풀 해결책이 아니라, 문제 그 자체”라는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의 취임사와 맥을 잇는 것이다.
▷미 언론 댓글에선 놀라움과 두려움이 동시에 눈에 띈다. 두 사람이 각각 전기차 혁신과 신약 개발 투자로 어마어마한 성취를 이뤘지만, 이들의 성공 공식이 정부 개혁에 그대로 적용될지 의문이 꼬리를 물었다. 머스크는 업무에 관한 한 자신에게 가혹하고, 타인의 고통에 둔감하다고 그를 2년간 관찰한 전기작가는 기록했다. 게다가 이들 둘은 남들이 나만큼 우수하지 못하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할 수 있는 천재형 창업가들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부 개혁을 “우리 시대의 맨해튼 프로젝트”로 부른다. 미국이 핵 개발에 성공하면서 전쟁과 국제 관계를 송두리째 바꿔놓은 것처럼 자신도 그만한 변혁의 주도자로 기억되고 싶은 것이다. 트럼프나 머스크나 결국 상식을 뛰어넘되 지나치지 말아야 하는 모순적 과제가 주어졌다. 머스크는 “(개혁 저항 세력에) 망치가 떨어질 것”이라고 했다. ‘망치를 가진 자에게는 무엇이든 못으로 보인다’는 미국 속담이 있다. 머스크의 성공 여부는 그가 얼마나 망치를 섬세하게 다루느냐에 달려 있다.
-김승련 논설위원, 동아일보(24-11-23)-
______________
"트럼프가 질거라 했다며?"...실세 머스크, 베이조스 직격
X에서 베이조스를 직격한 일론 머스크. /X(옛 트위터)
‘세계 최고 부자’ 타이틀을 두고 경쟁해 온 일론 머스크(53)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제프 베이조스(60) 아마존 창업자 사이에 미 대선 이후 미묘한 권력 관계가 형성되고 있다. ‘사업적 성공’이라는 척도에서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두 사람은 십 수년째 민간 우주 항공 분야에서 대등한 라이벌 관계를 형성해 왔다. 하지만 차기 트럼프 정권의 실세로 부상(浮上)한 머스크 쪽으로 권력의 중심추가 급격히 쏠리고 있다.
관계의 변화는 21일 이들이 주고받은 짧은 소셜미디어 대화에서 여실히 드러났다. 이날 머스크는 X(옛 트위터)에 “베이조스가 ‘대선에서 트럼프의 패배는 확실하며, (머스크 소유의) 테슬라와 스페이스X 주식을 모두 파는 게 좋겠다’고 말한 사실을 알게 됐다”는 글을 올렸다. 글의 마지막엔 손으로 입을 가리고 웃는 이모티콘을 붙였다. 오랜 경쟁자의 잘못된 판단을 공개적으로 비웃는 동시에, 베이조스가 트럼프의 ‘아군(我軍)’이 아니라고 명확하게 선을 그은 것이다.
베이조스는 머스크의 글에 화들짝 놀라며 “아니다. 100% 사실이 아니다”라고 극구 부인했다. 머스크는 웃음 이모티콘과 함께 “그럼 제 말이 틀렸나 보네요”라고 염장 지르는 답변을 보냈다. 뉴욕타임스는 “이런 대화가 몇 달 전에 일어났다면 그저 사소한 언쟁으로 보였겠지만, 시대가 바뀌었다”며 “짧게 오간 대화는 머스크의 압도적 존재감을 보여주며, 아마존과 블루 오리진(베이조스의 우주 항공 업체)의 사업이 수년간 험난해질 수 있음을 예고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머스크와 베이조스의 묵은 악연
두 사람은 2000년대 초 각각 스페이스X와 블루 오리진을 설립하며 민간 항공 우주 시장에서 치열하게 경쟁해 왔다. 2013년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발사대 ‘39A’를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계약을 맺으려 하자, 블루 오리진은 미국 회계감사원에 공식 항의서를 제출하며 이를 막으려 했다. 스페이스X는 결과적으로는 발사대를 임차하는 데 성공했지만, 계획이 두 달 지연되며 손실을 감수해야 했다.
이들은 로켓 해상 착륙 기술 분야에서 특허 분쟁을 겪었고, 2015년엔 한 달 간격으로 재사용을 위한 로켓 재착륙에 성공하며 서로 기술을 공개적으로 깎아내렸다. 머스크는 베이조스가 위성 인터넷 사업에 진출하기로 결정했을 때 자신의 ‘카피캣(모방꾼)’이라 비방하기도 했다.
지금까지 기술적으로 스페이스X가 블루 오리진에 앞서 있다. 스페이스X는 올해 11월까지 로켓을 118회 발사했는데, 이는 사흘에 한 번꼴이다. 블루 오리진은 2022년 9월 실패 후 15개월 동안 로켓 발사를 중단했다가 지난해 12월에야 다시 성공시켰다. 위성 인터넷 사업에서도 스페이스X는 이미 저궤도 위성 5000여 기를 발사하며 전 세계 400만명 이상에게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반면 블루 오리진은 “수년 내 저궤도 위성을 3200기 쏘아 올리겠다”는 계획만 세워 놓았다. 머스크는 과거 인터뷰에서 성과를 내지 못하는 블루 오리진과 베이조스를 저격하며 “그가 온수 욕조에서 보내는 시간을 줄이고, 블루 오리진에 더 신경 써야 한다”고 말한 적 있다.
◇베이조스, 험난한 4년 보낼까
베이조스는 예전에 트럼프와 관계가 나빴지만, 올해 대선이 가까워지면서 관계를 개선하려고 노력해 왔다. 베이조스는 대선에 앞서 자신이 소유한 친민주당 성향의 워싱턴포스트(WP)가 공개적으로 특정 후보를 지지하지 못하도록 압력을 넣은 것으로 알려졌고, 트럼프 당선 후에는 즉시 축하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
하지만 베이조스와 트럼프 사이에 머스크가 끼면서 관계 개선은 요원해졌다는 평이 나온다. 뉴욕타임스는 “차기 정부에서 정부효율부의 수장을 맡게 된 머스크는 연방정부와 베이조스 회사의 관계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고 했다. 향후 스페이스X는 로켓 발사와 관련된 규제가 완화되면 사업이 더 빠르게 확장할 수 있지만, 블루 오리진은 곳곳에서 조사와 규제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실리콘밸리=오로라 특파원, 조선일보(24-11-23)-
_____________
-조선일보(24-11-23)-
______________
일론 머스크의 神氣
[조용헌 살롱]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AFP 연합뉴스
어떻게 도박 수준의 베팅에 매번 성공하는 것일까. 일론 머스크를 보면서 드는 생각이다. 작가 월터 아이작슨이 쓴 ‘일론 머스크’를 보니까 머스크의 인간성은 아주 안 좋다고 쓰여 있다. ‘X자식’ 수준이라는 것이다. 찬사 위주의 서술이 아니고 이런 불편한 말을 대놓고 쓸 수 있다는 게 아이작슨의 내공이고, 서양 글쓰기의 수준이다.
‘X자식’은 3가지 내용으로 분석할 수 있다. 첫째는 머스크가 다른 사람의 고통과 상처에 대해서 무관심하다는 점이다. 내가 이렇게 말하고 행동함으로써 상대방이 받게 될 상처에 대해서 별로 신경 안 쓴다. 둘째는 동료나 부하 직원들이 머스크 자신의 결정에 따르기를 강요한다는 점이다. 만약 자기 결정에 순순히 따라오지 않으면 결별한다. 셋째는 리스크를 두려워하지 않는 부분이다. 리스크 둔감력이다. 스페이스X, 테슬라 전기차 사업의 시작도 이 3가지의 ‘X자식’ 기질이 작동한 결과이다.
인간적인 결함이 사업적인 성공이라는 모순적인 결과를 낳았다. 로켓 사업과 전기차도 그 시작은 모두 맨땅에 헤딩하는 사업이었다. 인류가 앞으로 화성에 가서 사는 날이 온다는 머스크의 비전에 동의할 사람이 얼마나 있었겠는가. 그런데도 현재 스페이스X 사업은 성공 중이다. 얼마 전 발사된 로켓이 다시 귀환해 발사대의 집게에 무사히 안착하는 장면은 인상적이다.
실패의 리스크를 두려워하지 않는 그의 기질은 트럼프 대선에 1억3000만달러를 베팅하도록 만들었다. 트럼프 당선 후에는 테슬라 주식이 39%가 올라 700억달러의 재산이 늘어났다. 헤지펀드의 전설 조지 소로스가 1992년 9월 영국중앙은행을 상대로 벌인 ‘환율 대결’에서 승리해 10억달러를 벌어들인 사건을 능가하는 수입이다. 선거로 정권 잡아서 머스크처럼 재미 본 사람이 누가 있을까?
머스크의 천재성은 경합주에서 트럼프 지지자를 매일 추첨해 100만달러를 지급하는 ‘정치 복권’을 창안해 냈다는 점에서 극적으로 나타난다. 이건 돈 있다고 할 수 있는 생각이 아니다. 로켓과 전기차에 버금가는 걸출한 창의력이다. 그 천재성의 근원은 무엇일까. 신기(神氣)가 아닐까. 에디슨이 말한 1%의 영감은 신기라고 생각한다. 신기(영감)가 없으면 99%의 노력도 쓸모가 없다. 그런데 신기가 강한 사람은 옆에 사람 말 잘 듣지 않는다. 이 점이 트럼프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트럼프도 재강신강(財强身强)한 팔자이고, 머스크도 재강전강(才强錢强)한 팔자이다. 용과 사자가 부딪치는 용사상박(龍獅相搏)이 될 수 있다.
-조용헌 건국대 석좌교수·문화컨텐츠학, 조선일보(24-11-18)-
=======================
'[세상돌아가는 이야기.. ] > [時事-萬物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존층(ozone layer)] [새 정부, ‘탄소 중립’ 만큼 ‘기후 위기 방어’.. ] (3) | 2024.11.24 |
---|---|
[한국 安保 최대 위협은 한국 정치다] .... [“네가 대통령이냐!”] (4) | 2024.11.23 |
[한국과 중국 유치원생이 꾸는 꿈] (3) | 2024.11.23 |
[법카 유용, 허위사실 유포 판결... 문명과 야만의 대결] .... (2) | 2024.11.22 |
[트럼프가 주한미군을 대거 일본으로 옮길 수도] .... (18) | 2024.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