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사 도시 덮친 악마 바람]
[불만 나면 화르르... ]
천사 도시 덮친 악마 바람
바람이 정상적으로 불지 않아도 큰 문제다. 작년 11월 유럽에서는 ‘둥켈플라우테(Dunkelflaute)’ 현상이 발생했다. 독일어로 ‘어둡고 고요한 상태’라는 말인데 바람도 불지 않고 햇빛도 거의 없는 현상을 말한다. 이 현상이 며칠 지속되면서 태양광과 풍력 발전량이 급감했다. 그 여파로 신재생에너지에 의존도가 높은 독일 전기 도매 요금은 평소에 비해 20배 이상 폭등했다.
▶황사는 바람의 거대한 에너지를 실감하게 하는 현상이다. 중국과 몽골에서 발생한 황사는 수천km 날아와 한반도에만 한 번에 약 8만t의 흙먼지를 쏟아놓는다. 15t 덤프트럭 5000대 분량이다. 황사는 부정적 영향이 크지만 긍정적 영향도 없지 않다. 이 흙먼지가 산성화하는 우리나라 표토층을 중화해 주고 바다의 적조 현상도 줄여주는 것이다. 그 경제적 가치가 연간 수천억 원이라고 한다.
▶알프스산맥에선 산 위에서 골짜기로 고온의 바람이 불어 내릴 때가 있다. 지중해 쪽 습한 공기가 알프스를 넘어 독일과 스위스를 지나갈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 바람을 ‘푄(Föhn)’이라 불렀는데, 고트어로 ‘뜨거운 불’이라는 뜻이다. 습기를 머금은 바람이 산을 타고 올라가면 100m마다 약 0.5도씩 기온이 떨어진다. 어느 정도 올라가면 수증기가 뭉쳐 비나 눈으로 내린다. 습기가 빠진 건조한 바람은 온도 변화가 커지고, 산을 내려갈 때는 100m마다 약 1도씩 오른다. 이 때문에 산을 타고 내려오며 뜨겁고 건조한 바람으로 변하는 것이다.
▶이 현상은 악동처럼 세계 곳곳에서 바람 재앙을 일으키고 있다. 우리나라 양간지풍(襄杆之風·양양과 간성에 부는 강한 바람)도 이 현상 때문에 생긴다. 바람이 서쪽에서 태백산맥을 넘으면 고온 건조한 강풍으로 돌변한다. 양간지풍은 자주 대형 산불을 일으키는데 2005년 낙산사 화재가 대표적이다. 반대로 봄철 동해에서 태백산맥을 넘어온 높새바람은 너무 고온 건조해 농작물에 피해를 줄 정도다.
▶미국에서는 태평양에서 로키산맥을 넘어 동쪽으로 부는 바람을 치누크(Chinook), 동쪽에서 서부에 영향을 주는 바람을 샌타애나(Santa Ana)라고 부른다. 지금 미국 LA를 잿더미로 만들고 있는 바람이 바로 샌타애나다. 이 바람은 주기적으로 큰 피해를 주고 사람을 공격적으로 만든다고 ‘악마의 바람(Diablo Wind)’이라고도 부른다. 악마의 바람이 ‘천사의 도시’를 공격하고 있는 셈이다. LA 산불이 더 이상 큰 피해 없이 잦아들기를 바란다.
-김민철 논설위원, 조선일보(25-01-11)-
______________
불만 나면 화르르...
양양~강릉, 양양~간성 구간 강풍
봄철 발생… 초속 20m 태풍급
소나무 단순림 많아 피해 커
강원도 강릉·삼척 등지에서 발생한 산불을 키운 건 초속 20m를 넘나드는 강풍이었다. 지난 6일 강릉에 분 바람의 순간 최대 풍속(순간적으로 획 분 바람의 최대 풍속)은 초속 23.8m, 삼척은 21.3m로 기록됐다. 태풍급 바람이 산불 현장에 분 것이다. 초속 20m 이상 강풍은 사람이 가만히 서 있기 어렵고, 우산을 폈을 경우엔 완전히 망가질 정도의 세기다. 이 같은 강풍으로 산불이 순식간에 번지며 피해가 커졌고, 불씨가 사방으로 퍼져 진화하는 데도 애를 먹었다.
이번 강풍은 봄철 강원 영동 지방에 자주 나타나는 특이한 기상 현상이다. 양양~고성·간성, 양양~강릉 구간 사이에서 국지적으로 부는 강풍이라는 의미로 '양간지풍(襄杆之風)' 또는 '양강지풍(襄江之風)'으로 불린다. 기상청 관계자는 "2005년 4월 천년 고찰 낙산사를 잿더미로 만들었던 양양 지역 산불도 당시 초속 32m까지 불었던 양간지풍으로 피해가 컸다"면서 "이 바람은 불을 불러온다는 의미의 '화풍(火風)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정식 학술 용어는 아니다"고 말했다.
'이상 강풍'의 원인은 봄철 기압 배치와 강원도를 동서로 가른 산악 지형 때문이다. 온난한 성질의 이동성 고기압이 중국에서 우리나라로 이동하면 태백산맥 위 해발 1500m 상공에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오히려 기온이 올라가는 역전층이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태백산맥을 넘는 차가운 서풍은 기온 역전층과 태백산맥 산등성이 사이의 좁은 틈새로 지나가야만 해 공기가 압축되면서 공기 흐름이 빨라진다. 이렇게 가속된 공기가 산맥 경사면을 타고 영동 지방으로 내려가면서 강한 바람이 불게 되는 것이다. 바람의 세기는 중형 태풍 수준인 초속 40m(1983년 4월 27일 강릉 41.6m, 1980년 4월 19일 속초 46m)를 넘긴 적도 있다. 양간지풍은 초여름 영동 지방에서 부는 동풍이 태백산맥을 넘으면서 가열돼 영서 지방의 고온 건조한 날씨를 유발하는 푄 현상과는 다르다.
최근 강원도 지역에 지속된 '마른 날씨'도 산불을 키웠다. 산불이 난 강원과 삼척의 한낮 습도는 20% 초반에 그칠 정도로 메마른 상태다. 영동 지역에 불에 잘 타 산불에 취약한 소나무 단순림이 많은 것도 원인으로 꼽혔다.
-손장훈 기자, 조선일보(17-05-08)-
========================
'[산행] > [산-산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극 횡단… 아문센 시대보다 무게는 절반, 따뜻함은 두 배로] .... (2) | 2025.01.24 |
---|---|
[산..!] [25] 만행산(萬行山)(전북 남원) (0) | 2025.01.18 |
[산..!] [24] 작약산(芍藥山)(경북 상주) (0) | 2025.01.11 |
[산..!] [23] 가조(加祚)들판-..-박유산(朴儒山)(경남 거창) (2) | 2025.01.04 |
[산..!] [22] 괘관산(掛冠山)(경남 함양) (1) | 2024.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