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산-산행이야기]

[산..!] [10] 가조(加祚)들판-오도산(吾道山).. (경남 거창)

뚝섬 2024. 10. 5. 05:34

72. 산꾼들에겐 수도지맥이 지나고, 일망무제로 펼쳐지는 조망이 있으니 가창을 찾는 이유이기도..

 

86. 가조벌판을 제대로 볼 수 있는 곳..

 

 

 

 

 

 

 

 

 

 

 

 

 

 

 

 

 

 

 

 

 

 

 

 

 

居昌郡 가조면(加祚面):

가조면은 거창군의 동부를 이루며 합천군의 서북부와 맞닿고 높은 산줄기에 둘러 쌓인 큰 분지이다. 광주-대구 고속도로가 중앙을 관통(9.8km) 하며 지방도 1099호 및 1084호가 각각 가북면과 합천군을 연결하고 있다. 표고 230~400m로 내륙 고산준령의 분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양질의 온천수가 부존하고 있다. 기후는 내륙산간지역으로 일교차(10℃~14℃)가 심하며, 토질은 사질토양으로 여름은 덥고 겨울은 추운 내륙성 기후이나 돌풍 등이 발생되고 있다.

__________________

 

 

 

 

 

 

 

 

 

스크랩(원글출처): 『旅程』  https://7daffodils61.tistory.com/

 

 

 

우두산(牛頭山):

 

1.

 

 

 

 

2. 건물 뒤로 Y출렁다리..

 

 

 

 

3. 고견사..

 

 

 

 

4. 의상봉이 코앞..

 

 

 

 

5. 우측으로 우두산 상봉은 밋밋하게 보이고, 앞서있는 암봉군이 장관을 이룬다.

 

 

 

 

6. 의상봉으로 오르는 가파른 계단..

 

 

 

 

7. 양각-수도지맥..

 

 

 

 

8. 거창의 산군들..

 

 

 

 

9.

 

 

 

 

10. 우두산 상봉에서 마장재까지의 능선..

 

 

 

 

11.

 

 

 

 

12.

 

 

 

 

13. 박유산 너머 황매, 월여, 감악산이 보일듯하면서 잡히지 않는다.

 

 

 

 

14.

 

 

 

 

15. 의상봉에서 내려와 상봉으로 가는길..

 

 

 

 

16. 바리봉부터 장군봉, 지남산을 거쳐오면 좋은데, 당일 산행이라..

 

 

 

 

17.

 

 

 

18. 마장재까지의 암릉길도 우두산에서 빼놓을수 없는 구간.. 별유산이라 부를만 하다.

 

 

 

 

19. 죽전저수지와 좌측의 매화산, 가운데 가야지맥 문수봉-미숭산.. 합천 일대의 낮선 산군..

 

 

 

 

20.

 

 

 

 

21.

 

 

 

 

22.

 

 

 

 

23. 가조면 벌판쪽으로는 미세먼지 좀처럼 벗겨지지 않는다.

 

 

 

 

24.

 

 

 

 

25.

 

 

 

 

26. 마장재()와 이후 철쭉동산을 지나 우람한 1094봉..

 

 

 

27. 가야, 남산제일봉, 매화산.. 문수봉, 미숭산 등등..

 

 

 

 

28. 지나온 길..

 

 

 

 

29. 마장재..

 

 

 

 

30. Y출렁다리..

 

 

 

 

31.

_________________

 

 

비계산(飛鷄山):

 

32. 거창휴게소(광주방면)..

 

 

 

 

33. 휴게소 뒤쪽으로 나와 좌측으로..

 

 

 

 

34.

 

 

 

 

35. 비계산, 두무산, 오도산.. 산이 많은 합천-거창의 땅에 관심을 갖게 해주던 낮익은 이름들..

 

 

 

 

36. 비계산 정상부..

 

 

 

 

37. 지나온 암릉길 너머로 오도산, 황매산, 지리산 등..

 

 

 

 

38. 이런 조망이 있을 줄이야.. 이런 날씨에 올랐다니 큰 행운이다.

 

 

 

 

39. 앞줄의 우두산은 아껴 불러보고..

 

 

 

 

40. 두무산과 오도산.. 그 사이로 의령쪽 진양기맥인 산성, 한우, 자굴산이 짚어진다. 

 

 

 

 

41. 비계산은 정상까지 짧게 이어가지만 가는 길에서 바라보는 조망은 어마어마하다.

 

 

 

 

42. 비계산에서 우두산으로 이어지는 능선..

 

 

 

 

43.

 

 

 

 

44. 황-거-금-기 능선에 현성산까지.. 함양의 산들은 또 얼마나 많은지..

 

 

 

 

45. 첩첩 산물결에 이게 웬복인가 싶다.

 

 

 

 

46.

 

 

 

 

47. 이제 가야면 쪽으로.. 죽전저수지 뒤로 이구역의 터줏대감인 가야산이 버티고 있고, 그 앞으로 낯익은 남산제일봉이 오똑하다.

 

 

 

48. 좌측은 지나온 능선, 우측은 우두산으로 이어지는 능선..

 

 

 

 

49.

 

 

 

 

50. 합천과 고령의 경계를 이루며 솟은 산 군..

 

 

 

 

51. 비계산 정상부로 오르는 철계단이 보인다.

 

 

 

 

52. 88올림픽 고속도로가 지나는 가조들판..

 

 

 

 

53. 가야산 일대는 이렇게 정리가 된다.

 

 

 

 

54. 키워보니 남산제일봉 뒤로 가야산의 만물상도 선명하다.

 

 

 

 

55.

 

 

 

 

56.

 

 

 

 

57. 내일 가게될 오도, 미녀봉, 숙성산이 여기서는 저렇게 보인다.

 

 

 

 

58.

 

 

 

 

59. 거창쪽 정상석..

 

 

 

 

60. 합천쪽 정상석..

 

 

 

 

61.

 

 

 

 

62.

 

 

 

 

63.

 

 

 

 

64.

 

 

 

 

65.

 

 

 

 

66. 700m도 안되는 나지막한 산인데도 조망은 거창 일대의 산들이 두로 보이는 산..

 

 

 

 

67. 하산하여 일각사에서 바라본 오도산과 미녀봉, 숙성산..

 

 

 

 

68. 일각사 뒤로 보이는 비계산..

_____________

 

 

오도산(吾道山):

 

69. 오도산 휴양림에서 1박하고 바로 출발..

 

 

 

 

70. 휴양림에서 오도재까지 2.7km 정도는 편안한 산책길, 이후 가파른 오름길이 이어진다. 오도산 찍고 다시 오도재로 내려와 미녀봉으로 간다.

 

 

 

71. 가파르게 올라선 임도.. 정상부에 KT 시설물이 들어서 있다.

 

 

 

 

72. 산꾼들에겐 수도지맥이 지나고, 일망무제로 펼쳐지는 조망이 있으니 가창을 찾는 이유이기도..

 

 

 

 

73.

 

 

 

 

74.

 

 

 

 

75.

 

 

 

 

76.

 

 

 

 

77. 주변 산군에서 유독 존재감이 드러나는 오도산, 과연 조망 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다.

 

 

 

 

78. 시계는 어제만큼 좋지 않지만 여기서도 합천호와 대병4악을 볼 수 있다.

 

 

 

 

79.

 

 

 

 

80.

 

 

 

 

81.

 

 

 

 

82.

 

 

 

 

83. 오도재로 돌아와 미녀봉으로..

 

 

 

 

84.

 

 

 

 

85.

 

 

 

 

86. 가조벌판을 제대로 볼 수 있는 곳..

 

 

 

 

87. 지나온 오도산과 미녀봉..

 

 

 

 

88.

 

 

 

 

89. 두개의 바위봉이 있는 유방봉에 올라섰다.

 

 

 

 

90. 지나온 805봉과 유방봉, 입바위..

 

 

 

 

91.

 

 

 

 

92. 한자 이름은 의외로 낭만적이다. 별이 잠드는 산..?

 

 

 

 

93. 오늘 산행은 숙소가 있는 휴양림 원점산행이니 산행의 피로도가 훨씬 줄어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