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하늘 높고 산능선 수려하고..
9. 남덕유-서봉에서 흘러내리는 능선.. 할미봉-육십령-구시봉으로 이어지는 대간줄기..
47.
월봉산(月峰山):
경남 거창군 북상면(北上面)과 함양군 서상면(西上面)의 경계에 있는 산(1279m). 덕유산국립공원 남쪽에 위치한다. 북쪽 능선을 따라 덕유산(1614m)에 이르고, 남쪽으로는 거망산(擧網山: 1184m)에 이른다. 동쪽 비탈면은 남강(南江)의 상류인 지우천(智雨川)의 수원이 되고, 동쪽에 위치한 기백산(箕白山: 1331m)과의 사이에 계곡을 이룬다. 서쪽 비탈면은 완만하고 남강의 상류 하곡(河谷)을 이룬다. 서쪽의 장수군 장계면(長溪面)과의 사이에 육십령(六十嶺)이 있는데, 영남과 호남지방의 중요한 통로이다. 남강 하곡분지를 둘러싸고 있으며 덕유산에 이어져서 자연경관이 아름답다.
__________________
스크랩(원글출처): 『旅程』
https://7daffodils61.tistory.com/entry
1. 남령(895m)
2. 뒤돌아보면 남덕유과 덕유 주능선..
3. 하늘 높고 산능선 수려하고..
4. 오름길이 다소 거칠지만 오를수록 조망은 넓어진다.
5. 남령을 지나는 37번 지방도로..
6.
7.
8. 육십령에서 구시봉 지나 백운산까지 연결되는 대간능선도 그려본다.
9. 남덕유-서봉에서 흘러내리는 능선.. 할미봉-육십령-구시봉으로 이어지는 대간줄기..
10.
11. 할미봉..
12. 덕유 주능선..
13.
14.
15. 수리덤(칼날봉)..
16. 수리덤 초입에서 섰지만 강풍으로 바위구간 진행이 우려되어 그냥 패스..
17. 괘관산 너머로 지리산도 보이고..
18. 월봉산으로 가는 능선..
19.
20. 암릉구간을 지나며 돌아본 지나온 구간..
21. 수망령 방향과 금원-기백산..
22. 부귀산 우측 산군들은 어디일까..?
23. 수리덤에서 등뼈줄기 같은 능선을 오르락내리락 하면서 진행해왔다.
24.
25. 수리덤 뒤로 남덕유-삿갓봉-무룡산..
26.
27. 남덕유-서봉-할미봉-육십령..
28. 거친등로를 통과하면 다시 조망이 트이고 하면서..
29. 누룩덤..?
30. 월봉산..
31. 정상에서의 조망.. 먼저 오늘 한번도 보지 못했던 거망산과 황석산.. 살짝 윗부분만 보이네그려..
32. 용추계곡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는 금원-기백산..
33. 덕유산..
34. 서상면.. 뒤로 육십령-무룡고개, 백두대간..
35. 대봉산(괘관산) 뒤로 지리산 주능선..
36. 정상부 이후로는 헬기장까지 산죽밭길의 편안함..
37.
38. 멀리 지리산도 다시 봐주고..
39. 황석-거망산도..
40. 대로마을..
__________________
육십령(六十嶺):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과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계면 사이에 있는 고개(734m). 신라 때부터 요해지(要害地)로 유명하다. 예로부터 이 고개를 넘으려면 60명 이상의 무리를 지어서 고개를 넘어야 도둑떼를 피할 수 있다거나 재몬당까지 60여 굽이가 된다고 해서 붙여졌다 한다. 삼국시대에는 나제국경(羅濟國境)의 요새지로서 성터와 봉화대 자리가 지금도 남아 있다. 인근 덕유산 봉우리에는 이성계(李成桂)가 왕이 되어 등극할 때 제단을 설치하였다는 유적이 남아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육십현(六十峴),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는 육복치(六卜峙)로 기록되어 있다. 소백산맥의 남덕유산(1507m)과 그 남쪽의 백운산(1279m)과의 안부(鞍部)에 위치한다.
41. 26번 국도가 지나는 육십령..
42.
43.
44. 깃대봉 샘터..
45. 깃대봉 샘터를 지나 능선에 들어서면 구시봉(깃대봉)이 눈앞으로..
46. 진행 좌측으로 월봉산과 금원-기백이 일렬로..
47.
48.
49. 구시봉이란 명칭은 풍수가에 의해 만들어진 이름이라고..
50. 좌측으로 지나온 구시봉과 오늘 산행의 들머리 육십령(▼)..
51. 민령(▼)을 지나 영취-백운산까지..
52. 민령을 지나 북바위를 지나면 덕운봉까지 안가고 삼거리에서 영취산으로 향한다.
53. 서상면 쪽.. 대전-통영간 고속도로가 지나고..
54.
55. 민령..
56. 오동제(대곡저수지)와 논개 생가가 있는 장수군 계남면..
57. 구시봉을 넘고 민령을 지나온 능선..
58. 서상면..
59.
60.
61.
62. 멀리서 보는 장안산의 모습은 일자형..
63. 장수군 번암면 지지리 743 지방도로상의 지지터널 앞..
===================
'[산행] > [산-산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바위에서 구조 요청이 왔다, 이스라엘어·스웨덴어로] (4) | 2024.11.03 |
---|---|
[산..!] [14] 영남알프스(경남 밀양-울산 광역시.. ) (2) | 2024.11.02 |
[에베레스트산] [히말라야 14좌 모두 오른 산악인들] .... (8) | 2024.10.23 |
[산..!] [12] 복성이재-유치재-[고남산(古南山)]-여원재(전북 남원) (3) | 2024.10.19 |
[南北 백두대간 첫 종주한 뉴질랜드人] (0) | 2024.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