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산-산행이야기]

[산..!] [15] 각흘산(角屹山)-명성산(鳴聲山)(강원 철원)

뚝섬 2024. 11. 9. 05:27

9. 진행방향의 명성산과 우측 뒤로 희미하게 종자산..

 

15. 좌측 천문대가 있는 광덕산에서 광덕고개 지나 백운산 도마치봉으로. 그리고 우측 뒤는 경기 최고봉인 화악산..

24. 명성산과 우측 각흘산..

 

 

 

 

 

 

 

 

 

 

 

 

 

 

 

 

 

 

 

 

 

 

 

명성산(鳴聲山):

강원도 철원군과 경기도 포천시의 경계에 있는 산(921m). 전설에 의하면 왕건(王建)에게 쫓기어 피신하던 궁예(弓裔)가 이 산에서 피살되었다고 하며, 궁예가 망국의 슬픔을 통곡하자 산도 따라 울었다고 하는 설과, 주인을 잃은 신하와 말이 산이 울릴 정도로 울었다고 하여 울음산이라고 불렀다는 설이 있는데, 지금의 산이름은 울음산을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광주산맥에 딸린 산으로 서울에서 동북쪽으로 84km 떨어져 있으며, 동쪽에 박달봉(800m)과 광덕산(廣德山:1046m), 남쪽에 여우봉(620m)이 솟아 있다. 전체적으로 암릉과 암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동쪽은 경사가 완만하며, 남쪽에 있는 삼각봉 동편 분지에는 억새풀이 무성하여 1997년부터 매년 9월 말부터 10월 초에 억새꽃축제가 열린다. 남서쪽 기슭에는 국민관광지인 산정호수가 있고, 북쪽 기슭에는 용화저수지가 있다.

_______________

 

 

 

 

 

스크랩(원글출처): 『효빈 길을 나서다 http://blog.daum.net/0709im/698

 

1. 강원도 철원군 서면과 경기도 포천군 이동면의 경계인 자등현..

 

 

 

 

 

2. 각흘산 정상과 뒤로 명성산..

 

 

 

 

 

3. 좌측 명성산 자락에서 뒤로는 지장산과 금학산, 너머로는 고대산까지. 저 아래 호수는 용화저수지로 명성산 가다가 하산이 가능한 곳..

 

 

 

 

4. 우측 뒷 봉우리는 대득분맥 태화산..

 

 

 

 

 

5. 헬리포트 우측 아래쪽 자등현에서 올라온 곳이고, 녹슨 안내문 너머는 각흘산 북릉..

 

 

 

 

 

6. 좌측 뒤로는 최전방이라 할 수 있는 대성산에서 우측으로는 상해봉 광덕산으로 한북정맥이 이어지게 된다..

 

 

 

 

7. 광덕산에서 뻗은 줄기는 좌측 백운산, 우측 국망봉으로 한북정맥이 이어진다. 왼쪽 맨 뒤로는 이칠봉과 응봉, 화악산도 알아볼 수 있겠다. 가운데서 우측으로 한북정맥인 국망봉, 개이빨산, 민둥산, 그리고 뒤로 명지산도 슬쩍 보여진다..

 

 

8. 앞 저 봉우리를 넘어야 정상. 뒤로는 명성산..

 

 

 

 

 

9. 진행방향의 명성산과 우측 뒤로 희미하게 종자산..

 

 

 

 

 

10.

 

 

 

 

 

11. 뒤돌아 본 각흘산..

 

 

 

 

 

12. 지나온 각흘산은 함양의 황석산과도 닮았다..

 

 

 

 

 

13. 명성산권에 진입한다..

 

 

 

 

 

14. 우측 각흘산에서 북릉따라 가운데서 좌측은 대득분맥인 태화산, 좌측 뒤로 희미하지만 둥그스름한 북녘의 오성산..

 

 

 

 

15. 좌측 천문대가 있는 광덕산에서 광덕고개 지나 백운산 도마치봉으로. 그리고 우측 뒤는 경기 최고봉인 화악산..

 

 

 

 

16. 왼쪽 맨 뒤로는 이칠봉과 응봉, 화악산 능선이 계속 따라오고 그 앞줄엔 백운산과 삼각봉, 도마치봉, 국망봉과 개이빨산, 민둥산으로 향하는 한북정맥능선..

 

 

 

 

17. 햇살이 강렬해 그렇지 이젠 명지산도 알아볼 수 있을만큼 드러났다..

 

 

 

 

 

18. 명성산 정상부가 가까워질 무렵, 뒤돌아 본 길..

 

 

 

 

 

19. 좌측 뒤 대성산과 김시습의 매월대폭포가 있는 복계산이 겹쳐 보인다..

 

 

 

 

 

20. 명성산 주능선..

 

 

 

 

 

21. 명성산 정상으로 가면서 본 궁예능선과 뒤로는 강원도 철원과 경기도 포천의 경계 지역.. 우측 금학산..

 

 

 

 

 

22.

 

 

 

 

 

23. 삼각봉. 억새군락지와 산정호수 가는 방향..

 

 

 

 

 

24. 명성산과 우측 각흘산..

 

 

 

 

 

25. 산정호수와 주변 상가단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