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증 난 구태 정치가 키운 맘다니]
[唯一 야당 국민의힘 이렇게 무너지나]
염증 난 구태 정치가 키운 맘다니
[특파원 리포트]
오는 11월 있을 뉴욕시장 선거 민주당 후보로 선출된 조란 맘다니 뉴욕주 하원의원. /AFP 연합뉴스
지금 미국 정계에서 가장 뜨거운 인물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아니다. 미 언론은 CNN, 폭스뉴스 등 정치 성향을 불문하고 최근 민주당 뉴욕 시장 후보로 선출된 조란 맘다니 뉴욕주 하원의원 이야기를 다룬다. 11월 뉴욕 시장 선거를 앞두고 진보 도시 뉴욕에서 민주당 후보가 된다는 것은, 당선에 성큼 다가섰다는 의미다.
맘다니가 주목받는 이유는 ‘다윗과 골리앗’ 같은 싸움의 승자라는 점이다. 그는 정치 경력 5년인 신예로, 뉴욕 주지사만 세 번 연임한 앤드루 쿠오모를 꺾었다. 맘다니는 인도계 미국인으로 무슬림 신자다. 친(親)팔레스타인 성향인 그가 세계에서 유대인이 둘째로 많은 도시 뉴욕에서 쿠오모를 이기리라고 본 사람은 적었다. 그런데 선거 날 개표가 완료되기도 전에 쿠오모는 “나는 졌고 오늘 밤은 그의 밤”이라며 ‘항복 선언’을 했고, 많은 사람이 충격을 받았다.
그런데 이 성공 스토리의 감동은 하루도 가지 못했고, 그의 급진적 공약에 관심이 쏠렸다. 공공 주택 임대료 동결, 시간당 최저임금 30달러로 인상, 시(市) 버스 요금 전면 무료, 시 운영 식료품점 개설 등 고물가에 고통받던 뉴욕 시민 마음을 설레게 하는 내용이었지만, 현실성이 떨어지고 무엇보다 시 정부 재정에 구멍을 낼 것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게다가 맘다니가 “뉴욕시에는 억만장자가 있으면 안 된다”는 말을 서슴없이 하면서 세계 자본 시장의 심장인 월가 금융사는 플로리다나 텍사스 등 자유를 중시하는 곳으로 본사를 옮기려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허무맹랑한 공약에도 맘다니라는 별종이 먹힌 이유는 몇 가지 있지만, 지난해 대선 패배 이후 혁신을 거부한 민주당 탓이 가장 크다. 민주당은 지난해 대선 때 준비도 되지 않은 카멀라 해리스 당시 부통령을 후보로 내세웠다가 트럼프에게 승리를 헌납했다. 대선 패배 이후 누구도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고 앞장서 당을 수습하는 사람도 없었다. 트럼프가 세계를 상대로 관세 전쟁을 벌이고, 국가 재정 적자 문제를 심화시킬 감세 법안을 밀어붙이지만 누구 하나 제동을 걸지 못한다. 2021년 뉴욕 주지사 시절 여성 수십 명을 성희롱한 혐의로 중도 사퇴한 구태 정치인 쿠오모를 이번 선거에서 뉴욕 시장 후보로 내세우려 했으니 이 당이 얼마나 무력하고 한심한 상황인지 짐작할 수 있다.
이 틈을 맘다니가 파고들었다. 민주당 소속 중 가장 극단적 좌파에 속하는 그는 이제 무주공산 같은 민주당을 상징하는 정치인이 되어 가고 있다. 148년 전통의 워싱턴포스트가 논설실 명의 사설에서 “민주당에는 맘다니보다 훌륭하고 덜 극단적인 차세대 정치인이 있고, 맘다니 당선은 민주당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했지만 만시지탄이다. 선거에 지고도 스스로 쇄신할 줄 모르는 정당의 꼬락서니를 미국 민주당이 보여주고 있다.
-뉴욕=윤주헌 특파원, 조선일보(25-07-05)-
______________
○전쟁·관세·입법 성과 자찬 트럼프 “지금이 美 황금기.” 거침없는 ‘글로벌 진격의 거인’, 결말이 궁금.
-팔면봉, 조선일보(25-07-05)-
______________
唯一 야당 국민의힘 이렇게 무너지나
[강천석 칼럼]
'계엄 찬성' '탄핵 반대' 黨論으론 지방선거·총선·대선 必敗 시리즈 이어질 가능성
과거라면 TK 多選 의원 몇몇은 자진해서 다음 총선 불출마 선언해 黨 숨통 틔워줬을 것
국민의힘은 사실상 국회 안 유일 야당이다. 국민의힘은 정당 족보(族譜)가 대한민국을 세운 대통령, 가난의 굴레를 깨뜨린 대통령에게 닿는 정당이다. 그 정당이 위헌 선고를 받은 비상계엄 찬성 정당, 탄핵 반대 정당이란 족쇄를 풀지 못하고 스스로 전국 정당에서 지역 정당으로 뒷걸음치고 있다.
자유민주 체제는 야당이 존재하는 정치체제다. 대통령 중심제 대통령 자리는 성인군자(聖人君子)도 독재로 헛발을 내딛게 만드는 제도다. 그래서 대통령에게 권력 행사를 절제하라는 도덕적 요구 대신 대통령을 견제하는 국회라는 제도적 견제 장치를 붙여놨다. 그러나 다수결 원리로 작동(作動)하는 국회 자체가 다수(多數) 독재의 위험을 안고 있다. 그걸 막으려면 강력한 야당이 존재해야 한다. 강력한 야당은 국민의 지지 없이는 불가능하다. 지금 이재명 대통령은 견제할 세력이 없고, 민주당은 권력의 절제를 모르고, 유일 야당 국민의힘은 국민 지지를 잃은 채 ‘미운 정당’에서 ‘잊힌 정당’으로 퇴화(退化)하고 있다. 민주정치 위기의 3박자(拍子)가 출현한 것이다.
야당이 집권 세력에게 살려 달라 할 수는 없다. 제 발로 서야 한다. 국민 지지를 회복해 제 발로 서려면 혁명적 변화가 필요하다. 이대로 계엄 찬성·탄핵 반대 모습으론 내년 지방선거를 잃고 다음 총선을 놓치고 결국 대통령 선거에서 다시 패배할 것이다. 그럼 보수적 국민은 기댈 정당이 사라지고 기댈 곳 없는 지지자들은 더 극단화되고 보수의 맥(脈)이 끊길지도 모른다.
국민의힘 재생(再生) 프로젝트를 안철수 의원이 맡았다. 안 의원을 성공할 듯하다 실패하고 다시 온 기회를 그렇게 또다시 놓쳤던 정치인으로 기억하는 국민이 많다. 그런 안 의원 이미지는 비상계엄·탄핵·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크게 바뀌었다. 계엄 반대 소신을 지키고 대선 과정에서 탄핵에 대한 견해가 다른 김문수 후보 지원에 발 벗고 나섰고, 마지막까지 이준석 후보에게 단일화를 설득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국민의힘 추락 과정에서 이미지가 개선된 유일한 다선 중진(重鎭)이다.
안철수 혁신위(革新委)는 성공하기 쉽지 않다. 권한(權限)도 애매하고, 활동 기간도 8월 전당대회까지여서 시간이 없다. 혁신위는 개혁 방안을 마련하고 실행은 비상대책위가 결정하는 체제라서 성공 가능성은 더 낮다. 혁신의 최대 장애 요소는 영남 기득권이다. 그러나 비대위는 영남 의원이 주류(主流)다. 비(非)영남 출신 의원이 몇 되지 않아 맡을 사람도 없다. 인적 자원이 바닥난 것이다. 전성시대 TK 정치인은 선거는 TK 지역에서 치러도 정치 판단은 수도권 기준으로 했다. 그런 정치인은 대가 끊겼다.
안철수 위원장은 소속 의원들과 함께 대한민국 지도 위에 인구분포표(分布表)를 올려놓고 당의 목숨이 어떻게 타들어 가고 있는지 같이 고민해야 한다. 한국 인구의 51%인 2600만명이 서울·경기·인천에 산다. 121개 의석이 걸린 수도권에서 작년 총선 국민의힘은 19석을 건졌다. 민주당은 109석을 차지했다. 2020년 총선도 비슷했다. 여기에 충청권을 더하면 국민의힘 대(對) 민주당 격차는 25대116이다. 대선에서 이기기 어렵고, 총선에선 다수당이 되기 힘든 구조다. 이재명 대통령이 크게 탈선하지 않는다면 내년 6월 3일 지방선거 성적표는 더 참담할 것이다. 대통령은 곧 친인척 비리(非理) 감시 특별감찰관 추천을 국회에 의뢰한다고 한다. 최소한 내년 지방선거까진 방심하지 않고 자기 단속과 주변 단속을 하겠다는 뜻이다.
국민의힘은 앉아서 죽을 것인가 서서 죽을 것인가를 결단할 때가 왔다. 과거 보수 정당은 중산층 대변 정당이라고 주장했고, 취업·교육·세금·주택·의료 정책도 그에 맞췄다. 지금 그 중산층이 국민 15%의 상위 중산층과 33%의 하위 중산층으로 분열됐다. 국민의힘은 어느 중산층을 대변하는가. 민주당이 상법 개정에 열심인 것은 주식 투자하는 월급쟁이 중산층 확보 전략이다. 국민의힘은 지지 기반 확대를 위한 장기 전략이 없다.
나라를 세운 대통령, 경제를 일으켰던 대통령이 이끌던 보수 정당은 목표가 같으면 혁신(革新) 세력도 과감하게 품에 안았다. 그 시대 대표 정치인들 몇몇의 해방 정국(政局)에서 전력(前歷)을 알면 국민 대부분이 깜짝 놀랄 정도다. 그런 유연한 사고(思考)가 보수가 이기는 정치 운동장을 만들었다.
다섯 명 정도의 4선 이상 중진 의원(영남 출신이면 더 좋다)이 자진해서 차기 총선 불출마 선언만 한다면 국민의힘 개혁에 불이 붙을 수 있다. 꿈 같은 소리인가. 기자가 알던 전성시대 TK 의원들이라면 분명히 그랬을 것이다.
-강천석 고문, 조선일보(25-07-05)-
========================
'[세상돌아가는 이야기.. ] > [時事-萬物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홀로 어린이' 비극] [부모 집 비운 새 또 희생된 ‘나 홀로 어린이’] (2) | 2025.07.05 |
---|---|
[정권 바뀌자 대통령실 특활비 살려낸 민주당] .... (0) | 2025.07.05 |
[김정은이 트럼프에게 눈길도 주지 않는 이유] .... (1) | 2025.07.04 |
[‘만만디 중국’은 이제 더 이상 없다] [제왕 권력의 부침] (1) | 2025.07.04 |
[李 "같은 쪽만 쓰면 전쟁" 특별감찰관 인선부터 실천을] .... (1) | 2025.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