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경상도]

[둔덕산(屯德山)-댓골산장(경북 문경)] 대야산에서 장성봉-희양산으로 흐르는 백두대간의 조망..

뚝섬 2016. 5. 8. 20:25

[둔덕산에서의 통시바위 조망(마귀할미-손녀마귀)] 



55, 6, 7, 8..

6일의 임시공휴일을 포함한 나흘 간의 연휴 기간 중 8일이 가장 시야가 좋은 날이다.

5일은 은우-은형과 7일은 안수 생일 등을 위한 가족모임..

빗겨난 6, 8일 중 6일은 황사-미세먼지 시야 나쁨’.

연휴기간 중 시야가 가장 좋은 날을 택일했다는 마음으로

오랜만에 둔덕산-통시바위 조망처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둔덕산:

백두대간이 소백산을 지나 희양산(999m)과 대야산(930m)에서

속리산으로 넘어가기가 아쉬운 듯

아름다운 계곡과 봉우리를 많이 남겨 놓았다.


[둔덕산, 좌측의 정상과 우측의 동봉에 이어 통시바위-밀재를 거쳐 대야산으로 연결된다.. ]

     

백두대간 주능선상에는 약간 빗겨 있으나 힘있게,

그러면서도 편안한 모습으로 두 봉우리가 완만하게 보이는 둔덕산(969m)

바로 옆의 대야산과 마주 보이는 희양산 명성에 가려

등산객의 발길이 뜸한 편이다.

경북 문경시 가은읍과 농암면의 경계를 이루며 솟았으나,

정상부분은 가은읍 완장리에 속해있는 산이다

 

대야산:

경북과 충북의 도계를 이루는 대야산(930m)

백두대간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백두대간 주변 구간 중 가장 뛰어난 경치를 자랑하는 산으로

주위의 둔덕산과 마귀할미-손녀마귀통시바위, 조항산 등을 연계한 산행이 가능하다.

정상에서의 전망은 북동쪽으로 희양산과 백화산, 그 뒤로 조령산, 월악산이

시야에 들어오며 주흘산, 운달산이 동쪽으로  보인다.

또한 남서쪽으로 속리산의 장대한 능선이 시야에 들어온다. -자료정리-

 

[대야산에서 장성봉-희양산으로 흐르는 백두대간]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산행기록(16-05-08):

용추계곡주차장(10:18)-능선삼거리(12:18)-둔덕산정상(12:37)-둔덕산동봉(13:18)

-댓골산장삼거리(14:05)-댓골산장(15:25)-용추계곡주차장(16:06) [10.6 km: 5시간 48]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제수리재를 막 넘어서서.. 대야산, 좌측 정상에서 우측 중대봉으로 흐르는 능선 마루금..



  

-대야산 정상에서 촛대봉-곰넘이봉을 넘어 이곳 버리기미재를 건너 뛰어 장성봉으로 흐르는 백두대간..




-대간꾼들에게는 건너 뛸수없는 구간인데도 출입금지구간.. 국공직원이 엄중히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오늘 산행구간 둔덕산.. 좌측 정상에서 가운데 동봉을 거쳐 우측 통시바위능선을 거쳐 대야산 정상으로 흐른다..



 

-10:18, 용추계곡주차장..




-몇번 대야산-둔덕산을 왔지만 이곳 주차장을 기점으로 하기는 처음..




-둔덕산 정상 능선 마루금..




-용추계곡으로의 길을 버리고 좌측 댓골산장 방향으로..
















-둔덕산 오름길 우측 대야산..




















-오늘의 산행등로..








-며칠전 봄날의 때아닌 강풍으로 키큰 나무 몇그루가 쓰러졌다..








-관중이 있는 주변분위기..




-어디가 풍혈인지 알 수가 없다..








-백두대간의 구왕봉-희양산의 시원한 조망이 아쉽다..




-앞길을 가로질러 가는 뱀 한마리..




-둔덕산 동-서봉 능선삼거리..




-빡게게 올라온 구간..








-(들머리 10:18)-12:18.. 2시간 만에 올라섰다..





















-(들머리 10:18)-12:37




-처음으로 시야가 트였다.. 백두대간 구왕봉-희양산-이만봉-(뇌정산)-백화산.. 그 뒤로 희미한 주흘산.. 앞에는 애기암봉-원통봉.. (좌측으로)



 

-대간 장성봉과 막장봉..




-희양산-구왕봉.. 앞으로 원통봉..




-북진하는 대간능선 상의 이만봉-곰틀봉..




-(뇌정산)-백화산-황학산.. 뒤로 주흘산..




-문경의 단산이나 운달산 쯤..




-도장산 쯤 될라나..?




-운달산 쯤..?




-이곳 둔덕산 주변과 백두대간의 흐름..




-막장-장성봉과 뒤로 칠보산-




-구왕봉-희양산.. 앞으로 원통봉..




-애기암봉과 뒤로 악휘봉..




















-둔덕산 정상에서 내려오는 길.. 좌측의 통시바위와 우측의 대야산의 조망이 무척이나 아쉽다..




-답답한 조망의 대야산..




-동봉으로 오르며.. 올랐던 둔덕산 정상..




-둔덕산 정상과 희양산..




-동봉 정상..




-통시바위-대야산으로 조망은 전혀 없다..








-통시바위 방향..




-모처럼 마주친 벌깨덩굴..




-어렵게 모습을 잡은 진행좌측의 조항산..




-마귀할미통시바위..
















-댓골산장삼거리.. 둔덕산 동봉에서 거의 1시간..




 

-잠시 휴식 후.. 댓골산장으로 하산..



---[통시바위로의 진행 중 내려온 둔덕산 조망(2014년 2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댓골산장으로 하산길..




-지난 주 연어봉에서도 많이 보았던..




-물푸레나무.. 




-막장봉-장성봉..




-구왕봉-희양산..




-마귀할미통시바위 능선..




-우측으로 이어지는 대야산-촛대봉..




-오늘 산행 중 가장 좋은 조망처..




-백두대간.. 우측의 희양산에서 구왕봉-장성봉으로.. 계속 좌측으로 이어서,




-장성봉에서 곰넘이봉-촛대봉과 좌측으로,




-대야산..




-촛대봉에서 희양산까지의 백두대간..




-대야산에서 장성봉까지..



---[파노라마로.. ]---






-둔덕산..




-대야산 좌측으로 밀재..








-2~3년 전 통시바위 오를때 이 부근은 엄청 눈이 쌓였었다..




























-오르내렸던 둔덕산..




-용추계곡주차장 원점회귀.. 16:06.. 아침 10:18에 출발하여 5시간 48분, 10.6 k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