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함백산을 오르며 바라본 백두대간..
#15 함백산 정상에서 바라본 태백산 방향..
은대봉(銀臺峰):
강원 정선군과 태백시의 경계에 있는 산(1442m). 함백산의 봉우리인 상함백산, 중함백산(1505m), 하함백산(1527m), 창옥봉(1380m) 중 상함백산을 가리킨다. 정암사를 세울 때 조성된 금탑, 은탑에서 금대봉(金臺峰)과 은대봉이라는 이름이 생겨났다고 전해진다. 바로 이웃에 있는 금대봉과 이어주는 두문동재(이전 이름은 싸리재:1268m)에서 은대봉 정상까지는 1km 거리이다. 정상에는 헬기장이 조성되어 있으며, 북쪽으로 금대봉·비단봉·천의봉, 동쪽으로 태백시와 백병산·면산·묘봉으로 이어진 낙동정맥, 남쪽으로 중함백산, 서쪽으로 백운산·두위봉 등이 보인다. 백두대간 종주코스의 한 구간을 이루며, 정상에서 내려오는 길 아래로는 죽령터널에 이어 한국에서 두번째로 긴 정암터널(4,505m)이 지나간다. 낙동강의 원류 발생지는 이곳에서 가까운 천의봉의 동쪽계곡에 자리한 너덜계곡으로 공식 인정되었지만, 은대봉의 은대샘에서 태백시 화전동쪽으로 흘러내리는 황지천(黃池川)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산자락에는 태백광업소와 한국 기차역 중 제일 높은 곳(855m)에 위치한 추전역이 있다.
함백산(咸白山):
강원 정선군 고한읍과 태백시의 경계에 있는 산(1572m). 부근은 국내 유수의 탄전지대이며, 산업선인 태백선 철도가 산의 북쪽 경사면을 지난다. 오대산(五臺山:1563m) ·설악산(雪嶽山:1708m) ·태백산(太白山:1567m) 등과 함께 태백산맥에 속하는 고봉이다. 북서쪽 사면에는 신라시대에 건립한 것으로 알려진 정암사(淨巖寺)가 있는데, 이곳에는 정암사 수마노탑(水瑪瑙塔:국보 332)과 정암사의 열목어 서식지(천연기념물 73)가 있다.
__________________
스크랩(원글 출처): 「旅程」 http://blog.daum.net/7daffodils61/15947713?category=1515951
#1. 두문동재
#2. 금대봉-대덕산-매봉산 들머리
#3. 매봉산에서 비단-금대봉을 거쳐 온길. 그 너머로 가물거리지만 귀네미마을 채소밭과 덕항산 자락.. 더 멀리 청옥-두타산까지 마음을 전해본다..
#4. 금대봉을 지나 좌측 능선 중간쯤에서 노목지맥과 금대지맥이 갈린다. 좌측 흐릿하게 이어져가는 노목지맥, 금대지맥은 우측 대덕산 쪽으로 향한다..
#5.
#6. 정암사와 고한읍..
#7.
#8. 중함백에서 보는 함백산..
#9.
#10.
#11. 중함백..
#12. 매봉산 방향..
#13. 백운산-두위봉..
#14.
#15.
#16.
#17. 만항재..
#18. 좌측 만항재와 우측으로 운탄고도 정암산 능선..
#19.
#20. 수리봉 이후 짧은 급경사를 치고 내려오니 오늘 구간의 날머리 화방재이다. 사길령으로 해서 유일사로 올랐던 기억이 언제인고, 건물 그대로 거의 변한 것이 없는데 어평휴게소 건물 페인트 색만 바랬다. 어평휴게소..
=======================
'[산행] > [산-산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 [7] 덕항산(德項山)(강원 삼척) (3) | 2024.09.14 |
---|---|
[산..!] [6] [소백산(小白山)] 민봉-신선봉(神仙峰)(충북 단양) (1) | 2024.09.07 |
[산..!] [4] 두타산(頭陀山)-청옥산(靑玉山)](강원 삼척) (0) | 2024.08.24 |
[여름에 절밥 먹기] [방호산(方壺山) 민병태] [천년을 덖은 차향기.. ] (0) | 2024.08.18 |
[산..!] [3] 청량산(淸凉山)-축융봉(祝融峰)(경북 봉화) (0) | 2024.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