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물어가는 아파치]
[北 미사일 요격 레이저]
저물어가는 아파치
아파치 공격 헬기(AH-64)의 별명은 ‘전차 저승사자’다. 1991년 걸프전에선 전차 278대를, 2003년 이라크전 때는 전차 80여 대와 장갑차 140여 대, 포 250여 문을 파괴했다. 공대지미사일 헬파이어 16기와 2.75인치 로켓 76발을 탑재해 장거리에서부터 적 전차를 제압하는 위력이 대단했다. 아파치 헬기는 1986년 미 육군에 처음 도입된 뒤 40년간 최강으로 군림했다. 영화에도 단골로 등장해 위용을 과시했는데, 심지어 전투기와도 겨룰 수 있는 것으로 묘사되곤 했다.
▶아파치라는 이름은 미국 남서부에 사는 원주민 아파치족에서 따왔다. 애리조나와 뉴멕시코의 척박한 사막에 살던 아파치족은 기마술과 매복, 야간 전투에 뛰어났다. 19세기 중반 미국과 멕시코에 맞선 아파치족의 영웅이 그 유명한 제로니모다. 미 공수부대원들은 강하 작전을 할 때마다 “제로니모”를 외친다. 아파치족 전사였던 그는 용맹과 희생의 상징이 됐다.
▶아파치로 대표되는 공격 헬기가 최근 전장에선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은 ‘헬기의 무덤’이 돼버렸다. 200억원이 넘는 러시아군 Ka-52 공격 헬기가 1000만원짜리 휴대용 대공미사일에 수시로 격추됐다. 공격 헬기 Mi-28이 우크라이나군 자폭용 드론 공격을 받고 추락하는 영상도 공개됐다. 러시아군이 잃은 헬기가 300대를 넘는다고 한다. 공격 헬기는 기갑 부대 파괴에 효과적이지만, 대공 방어가 강화되면서 이런 신화도 무너지고 있다. 아파치가 과거 같은 ‘전차 킬러’의 면모를 보여줄 수 없다는 얘기가 많다.
▶지난주 국회에서 통과된 추경 예산에서 당초 본예산에 반영됐던 대형 공격 헬기 2차 사업 예산 100억원 중 97억원이 삭감됐다. 아파치 공격 헬기 36대 도입을 위한 계약 예산이었는데 사실상 없앤 것이다. 공격 헬기 퇴조는 세계적 추세이기도 하다. 미 육군은 작년 초 20억달러(약 2조7300억원)를 투자한 차세대 공격 정찰 헬기 사업을 취소했다. 일본 자위대 역시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헬기 계약을 취소하고 무인 공격기를 증강하기로 했다.
▶군 안팎에서는 아직도 “드론은 신뢰성 있는 타격이 어렵다”는 의견이 있다. 평지인 우크라이나와 달리 산악 위주인 한반도에서는 공격 헬기가 조금 더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드론으로 가는 시대의 흐름은 막을 수 없다. 인명 손실이 없고 저렴한 드론 위주의 공중 전력 재편성은 불가피한 변화다. 우크라이나에서 확인된 ‘드론 전쟁 혁명’이 아파치 헬기의 시대를 저물게 하고 있다.
-양승식 논설위원, 조선일보(25-07-07)-
______________
北 미사일 요격 레이저
2008년 4월 당시 월터 샤프 주한 미군사령관 내정자는 미 의회 인사청문회에서 "한국이 북한의 심각한 미사일 위협에 노출돼 있어 미사일 방어(MD)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샤프 사령관은 이런 북 미사일 위협 방어에 ABL(공중 발사 레이저 무기)이 효과적일 것으로 본다고 했다. 그가 언급한 ABL은 보잉 747 '점보기'에 강력한 고에너지 레이저 무기를 실어 수백㎞ 떨어진 적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는 무기였다.
▶앞서 2000년엔 미국이 은밀히 우리나라에 조사단을 파견해 한반도 대기상태를 조사하기도 했다. 레이저 무기는 기상과 대기 상태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이다. 북 미사일 요격무기가 될 뻔했던 ABL은 비용과 성능, 안전성 문제 등으로 2011년 개발이 취소됐다. 하지만 전투기와 헬기 등 소형 항공기에 레이저 무기를 싣기 위한 미국의 노력은 계속됐다.
▶2017년 6월 미 육군은 AH-64 '아파치' 공격헬기에 장착된 레이저 무기로 1.4㎞ 떨어진 표적을 파괴하는 시험에 처음으로 성공했다. 아파치 헬기는 우리 육군도 36대를 보유하고 있다. 그해 11월 미 공군은 세계 최대 방산업체인 록히드 마틴과 전투기용 레이저 무기 개발 계약을 했다. 2021년 시험을 목표로 한 것이었다.
▶지난 17일 미 국방부는 '트럼프판 스타워즈(별들의 전쟁)'로 불리는 새 미사일 방어전략을 발표했다. F-35 스텔스 전투기나 무인기에 레이저 무기를 장착해 적 탄도미사일이 발사 후 우주 공간으로 솟구쳐 올라가는 상승 단계에서 요격한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이 방어 전략 보고서는 북한의 미사일을 '특별한(extraordinary) 위협'으로 규정해 북한이 주타깃임을 분명히 했다. 동해상에서 미국을 향해 발사된 북 미사일들을 레이저 무기로 요격한다는 개념이다.
▶이처럼 미 본토를 위협하는 ICBM 대응 수단은 개발되고 있지만 대한민국 영토를 위협하는 스커드 등 북 단거리 미사일 제거에 대한 얘기는 아직 없다. 우리도 국방과학연구소를 중심으로 각종 레이저 무기를 개발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주로 무인기, 북 장사정포 등 요격용으로 미국의 수준과는 큰 차이가 있다. 패트리엇 미사일 등 한국형 미사일 방어 계획이 추진되고는 있지만 요격 미사일보다 발사 비용이 훨씬 싼 레이저 무기를 '가성비 갑(甲)' 한국형 요격 무기로 적극 개발할 수는 없을까라는 꿈을 꿔본다.
-유용원 논설위원·군사전문기자, 조선일보(19-01-21)-
========================
'[세상돌아가는 이야기.. ] > [時事-萬物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의힘 혁신, ‘언더 찐윤’과의 싸움이다] .... (4) | 2025.07.07 |
---|---|
[미국은 왜 그토록 이란을 싫어하나… 결정적인 네 장면] (0) | 2025.07.07 |
[이재명 정부 '부동산 내로남불'의 긍정적 측면] (3) | 2025.07.05 |
['나홀로 어린이' 비극] [부모 집 비운 새 또 희생된 ‘나 홀로 어린이’] (2) | 2025.07.05 |
[정권 바뀌자 대통령실 특활비 살려낸 민주당] .... (0) | 2025.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