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충청도]

[계룡산(鷄龍山)[삼불봉-관음봉](충남 공주)] 강한 지기(地氣)를 찾아..

뚝섬 2010. 11. 1. 16:42

[자연성릉.. 우측으로 멀리 갑하산과 뒤로 대전광역시.. ]




계속되는 답답함과 무기력에서 새로운 계기나 돌파구를 찾아 보고 싶었다.. 무척 중요한 시기에 마음은 조급하여져 오고..

가족과 함께 찾은 곳은 계룡산이다.

 

근간 우연히 손에 잡힌 사주명리학 이야기(조용헌)’의 내용도 계룡산을 찾은 하나의 이유가 되기도 하였다.

언감생심 하루의 산행을 통하여 나름의 지기(地氣)를 받고 큰 의미를 찾는다는 것은 절대 무리인 줄은 알지만,

마음으로 나마 흐느적거리는 일상생활의 흐름을 흔들어 보고 싶었다.

 

[천황봉-쌀개봉-관음봉-자연성릉으로 이어지는 계룡산 정상 능선.. ]

___________________

 

[‘사주명리학 이야기에서.. ]  한국의 백두대간에서 영성과 관계되는 산들은 양산이고, 그 양산들은 대부분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화강암이 노출된 산을 등산할 때 건강과 영성의 부분도 비례해서 강화되는 경향이 있다. 비전을 얻으려면 화강암 산으로 가야 한다.

계룡산은 그러한 화강암 산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계룡산은 모두 통 바위로 되어있어 강력한 지기를 발산한다. … … 명불허전(名不虛傳)이라!

계룡산은 과연 실망시키지 않는다. 미래를 알고 싶은 사람은 계룡산으로 가라! 비결과 비전을 얻고 싶은 사람은 계룡산으로 가라!

 

[화강암 바위로 이루어진 삼불봉 능선(자연성릉).. ]

____________________

 

주봉인 천황봉, 연천봉-삼불봉-관음봉-형제봉 등 20여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해발 845m), 산의 생김새가

 마치 닭벼슬을 쓴 용처럼 생겼다 해서 계룡산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계룡산 원경.. ]

 

신라 5(五嶽) 가운데 하나로 백제 때 이미 계룡 또는 계람산, 옹산, 중악 등의 이름으로 바다 건너 당나라까지 알려졌으며,

풍수지리상으로도 한국의 4대 명산으로 꼽혀 조선 초기 태조 이성계가 도읍을 정하려고 신도안(현 계룡시)을 답사하였을 당시 동행했던

무학대사가 산의 생김새를 보고 금계포란형(金鷄抱卵形)이요, 비룡승천형(飛龍昇天形)이라 했는데 여기서 두 주체인 닭과 용을 따서

계룡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삼불봉]

 

 

특히 정감록(鄭鑑錄)에는 이곳을 십승지지(十勝之地), 즉 큰 변란을 피할 수 있는 장소라 했으며 이러한 도참사상으로 인해 한때 신흥종교 및 유사종교가

성행했으나 종교정화운동으로 1984년 이후 모두 정리되었다고 한다.

_____________________ 

 

산행기록(10-10-31):

동학사-천장골입구(09:20)-문골(09:48)-장군봉삼거리(쉼터)(10:40)-큰배재(10:45)-남매탑(11:03)-삼불봉(11:34)-[자연성릉]-관음봉(13:17)-[동학사계곡]-은선폭포(14:15)

-동학사(14:46)-천장골입구(16:20) [8km: 6시간20(휴식시간: 4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09:20, 동학사계곡 보다 유순한 천장골계곡으로 오른다.. 

 

 

 

-천장골 오름 뒷편의 황적봉 능선..

 

 

 

 

 

 

 

 

 

 

 

 -진행 좌측능선..

 

 

 

-서울의 북한산-도봉산 정도의 많은 산객 들..

 

 

 

-1시간 20여분 만에 장군봉 삼거리(쉼터)

 

 

 

-좌측 남매탑으로.. 

 

 

 

 

 

 

 

 

 

 

 

 

 

 

 

-계속 남매탑 방향으로 진행..

 

 

 

 

 

 

 

 

 

 

 

 

 

 

 

-남매탑-동학사 삼거리..

 

 

 

 

 

 

 

 -저 위가 남매탑..

 

 

 

 -남매탑(일명 오뉘탑)

 

 

 

 

 

 

 

 -삼불봉으로..

 

 

 

 

 

 

 

 -저 능선 고개마루..

 

 

 

 -삼불봉과 갑사로 갈라지는 삼거리..

 

 

 

 

 

 

 

 -갑사 방향..

 

 

 

 -삼불봉으로 오른다..

 

 

 

 

 

 

 

 -삼불봉 오름길 중간에서 계룡산 정상-천황봉(출입통제) 정상능선이 시야에 들어온다..

 

 

 

-삼불봉으로의 가파른 철계단..

 

 

 

 -삼불봉 정상..

 

 

 

-올라온 방향.. 발 아래로 갑사 삼거리가 보인다..

 

 

 

-그 우측..

 

 

 

-산객으로 붐비는 삼불봉 정상..

 

 

 

 

 

 

 

-천황봉-쌀개봉-관음봉으로 이어지는 정상 주능선.. 1-3(우측으로.. )

 

 

 

 -2-3, 진행방향.. 자연성릉, 뒤로 관음봉, 문필봉, 연천봉..

 

 

 

-3-3, 계룡저수지..

 

 

 

-관음봉으로..

 

 

  

 -갑사 방향..

 

 

 

-자연성릉 길..

 

 

 

-뒤 돌아본 삼불봉..

 

 

 

 -진행방향의 정상능선..

 

 

 

-내려서는 방향..

 

 

 

 

 

 

 

-또 한번의 오름에서 조망이 시원하여 뒤돌아본 삼불봉.. 1-6(우측으로.. 한바퀴 )

 

 

 

-2-6, 동학사계곡..

 

 

 

 -3-6

 

 

 

 -4-6

 

 

 

-5-6

 

 

 

-6-6

 

 

 

-삼불봉에서 관음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오르내림..

 

 

 

 -그 우측..

 

 

 

 -갈대와 어울린 삼불봉을 뒤로하고..

 

 

 

-관음봉으로..

 

 

 

-중간의 기암..

 

 

 

 -내려온 삼불봉 방향..

 

 

 

 

 

 

 

 -삼불봉으로의 오름길.. 내려왔지만 여간 만만해 보이지 않는다..

 

 

 

 

 

 

 

 -자연성릉길..

 

 

 

 -고개마루에 올라서면..

 

 

 

-전면에 나타나는 관음봉으로의 가파른 오름길..

 

 

 

 

 

 

 

 -이제 곧 관음봉으로의 가파른 계단이..

 

 

 

 -뒤 돌아본..

 

 

 

 -오름길 방향..

 

 

 

 -관음봉..

 

 

 

-진행하고 있는 능선이 거대한 화강암 바위 덩어리..

 

 

 

 -관음봉 정상.. 기념사진 1컷 찍기가 도통..

 

 

 

 

 

 

 

 -11:34, 들머리에서 2시간 15분 정도 소요..

 

 

 

 -천황봉-쌀개봉.. 출입통제.. 1-5(우측방향으로.. )

 

 

 

-2-5

 

 

 

-3-5, 계룡산 정상 주능선, 천황봉-쌀개봉-관음봉(현 위치)에서 이어지는 문필봉-연천봉..

 

 

 

 -4-5

 

 

 

-5-5, 강력한 지기가 베어있는 자연성릉(관음봉으로 올라온 등로), 멀리 지나온 삼불봉..

 

 

 

 -천황봉-쌀개봉.. 그 좌측아래로..

 

 

 

 -동학사계곡 전면.. 하산길..

 

 

 

-저 아래, 동학사..

 

 

 

 

 

 

 

 -하산 길에 바라본 자연성릉 사면의 거대한 화강암..

 

 

 

-직진은 천황봉 방향.. 좌측으로 하산방향을 잡는다..

 

 

 

 

 

 

 

 

 

 

 

-2~300m 정도 되는 너덜지대..

 

 

 

 -경사급한 내리막 길..

 

 

 

-1976년 계룡산 초등하였들 때의 이 부근 너덜지대가 새삼 생각이 나서 다시 잡아본다..

 

 

 

-당시는 동학사-관음봉-삼불봉-갑사로 산행코스를 잡았었다..

 

 

 

 

 

 

 

-무척 특이한..

 

 

 

-고목.. 그 공간에 돌을 채워 넣은 것이 잘한 짓(?)인지..

 

 

 

 -뒤돌아본 정상부근..

 

 

 

 -은선폭포..

 

 

 

 

 

 

 

-전혀 흐르는 물은 없다..

 

 

 

-폭포 위로 바라본 정상부근의 마루금..

 

 

 

 

 

 

 

 -쌀개봉의 뿌리..

 

 

 

 -무척 경사가 급한 내리막..

 

 

 

 -내려서서 올려다보고..

 

 

 

-계곡에는 물이 전혀..

 

 

 

 -동학사 도착.. 14:46.. 이 동학사에는 1976년의 추억이 있다..

 

 

 

 -동학사-관음봉-삼불봉-갑사로 산행하였을 때의 추억..

 

 

 

-마음을 가다듬고 정성스레 대웅전에서..

 

 

  

 

 

 

 

 

 

 

 

 

 

 

 

-계속되는 답답함과 무기력에서 벗어나게 하여 주십사..~~ 정성스럽게 발원기도드렸다..

 

  

 

 

 

 

 

 

 

 

 

 

 

 

 

 

 

 

 

 

 

 

 

 

 

 

 

 

 

 

 

 

 

 -동학사 일주문.. 6시간 이상의 삼불봉-관음봉 산행을 마치고 원점회귀..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다른 산행기에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