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 쌀밥 두 그릇]
[개망초 된장국, 찔레꽃 국수… 그가 지은 밥상은 자연의 칸타타]
흰 쌀밥 두 그릇
“어차피 이 세상에 올 때 아무것도 안 가지고 왔기 때문에 갈 때 아무것이 없어도 상관없다. 점심·저녁에 먹을 흰 쌀밥 두 그릇이면 하루가 충분하다. 당뇨가 있어서 가끔은 한 그릇만 먹는다.”
홍콩 배우 주윤발(周潤發·저우룬파)이 최근 한국에 왔다가 이런 말을 남기고 갔다. 내후년이면 고희(古稀)인 재산 56억 홍콩달러(약 9600억원) 부자. 뭐 이런 위선적인 발언이 다 있나 싶었지만, 13년 전 그의 언론 인터뷰 내용을 보고 맥락이 이해됐다. 그는 2010년 인터뷰에서 “죽으면 전 재산의 99%를 내놓겠다. 기부 캠페인을 하는 워런 버핏 등을 본받아 사회 환원을 결심한 것”이라며 기부 서약을 했다. “내 재산은 내가 벌어들인 것일지라도 영원히 내 것은 아니기에 세상을 떠날 때 아무것도 가져갈 생각이 없다. 이승에서 먹을 것이 있고 살 집이 있는데 더 무엇을 바라겠는가. 생로병사는 매우 자연스러운 것. 평범하면 행복하다가 내 좌우명이다”라고 했다.
짙은 선글라스를 끼고 불타오르는 100달러 위조지폐로 담뱃불을 붙이는 ‘영웅본색’ 아저씨가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 정신을 실천한다는 사실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삼시세끼를 최고급 캐비아로 채워도 될 만한 재력가가 하루 흰 쌀밥 두 그릇에 족하다니…. 그의 이 발언은 당일 국내 거의 모든 매체가 옮겼는데, 댓글이 수백·수천개 달리는 등 반향이 컸다. 아시아라는 같은 ‘밥’ 문화권 인사의 ‘밥그릇’ 비유였기에 사람들 마음에 더 와닿았을 것이다. 이 뉴스가 나온 날 점심을 한 중국집에서 거하게 먹고 바지 벨트까지 풀었다가 왠지 모를 죄책감이 들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누구에게는 ‘흰 쌀밥 두 그릇’의 의미가 전혀 다르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한 번 더 놀랐다. “하루에 단 한 끼라도 제대로 먹고 싶다. 아니 난 굶어도 좋으니 우리 애새끼들에게만이라도 밥다운 밥을 주고 싶었다”는 탈북자들 얘기다. 고위급 탈북자들이야 북한에서 가끔 닭고기도 먹고 끼니 거를 걱정은 안 했겠지만, 극소수인 이들을 제외한 다수 탈북자는 북한에서 끼니 걱정이 다반사였다고 한다. 얼마 전 만난 탈북자는 “이밥(쌀밥)에 고깃국 먹게 해주겠다는 1960년대 초 김일성의 약속은 휴지 조각이 됐다”고 했다. 그는 “60년이 흘러 그의 손자가 집권하고 ‘이것만 완성하면 다 된다’고 했던 핵을 사실상 가졌는데도 그때보다 더 많은 아사자가 속출하는 건 애초 약속을 지킬 의사가 없었다는 것”이라고 했다.
한국·홍콩은 물론 베트남 등 거의 모든 밥 문화권에서 이제 ‘흰 쌀밥 두 그릇’은 청빈의 소재다. 하지만 21세기 북녘 땅에서 ‘이밥’은 반대로 60년간 이뤄지지 않은 꿈의 소재다. 지난 24일 목선을 타고 동해로 귀순한 북 주민도 굶주림에 시달렸다고 한다. 부디 이들이 지금은 이밥에 고깃국을 먹을 수 있기를. 그리고 끼니뿐만 아니라 마음도 풍요로워지기를.
-노석조 기자, 조선일보(23-11-02)-
______________
개망초 된장국, 찔레꽃 국수… 그가 지은 밥상은 자연의 칸타타
[김지수의 서정시대]
'방랑 식객'으로 불린 고(故) 임지호 셰프.
‘방랑 식객’ 임지호를 처음 만났을 때가 생각난다. 그가 운영하는 한식당 ‘산당’은 강화도 끝에 있었다. 나지막한 산, 바다와 갯벌, 갈대숲이 있는 그곳에서 임지호는 축지법 쓰듯 땅 위를 스치고 다녔다. 바람이 그의 몸을 들어 옮기듯 뻘 밭 위로 가뿐히 미끄러져 갔다. 정확한 포즈로 과녁 안에 들어왔다 나가는 그의 리드미컬한 움직임에, 사진기자는 감탄하며 셔터를 눌렀다. 그의 죽음도 그의 삶과 다르지 않았다. 초여름 어느 새벽, 잠자다 심장마비로 미끄러지듯 떠났다. 살아있을 때 그는 쉴 새 없이 움직였다. 늘 이동 중이었고 노동 중이었다. 그의 유작이 된 다큐멘터리 영화 ‘밥정’에서 내가 특이하게 본 것은 길 위의 노인을 따라 자석처럼 딸려 들어가던 임지호였다. 집으로 들어간 그는 담장 아래 낮은 풀과 이끼를 뜯어 개다리소반에 근사한 상을 차려냈다.
개망초 된장국, 괭이밥 떡, 찔레꽃 국수…. 산 중턱 평상에서 잣솔방울로 국물 낸 칼국수를 깨끗이 비운 지게꾼 노인이 임지호의 손을 잡고 말했다. “우리가 전생에 무슨 인연이 있어 당신이 밥을 해주고 가는가?” 노인도 아이도 빈자도 부자도 다 그의 밥을 좋아했다. 재벌 회장도, 여배우도 그의 밥상을 받고 눈물을 쏟았다. 자연의 성품과 인간의 슬픔을 헤아리는 임지호의 밥상은 그의 몸을 도구로 이끼, 풀, 돌, 꽃이 연주하는 화해의 칸타타처럼 보였다. 임지호와 나눈 대화 몇 토막이 기억난다.
―어떻게 모르는 이를 그렇게 스스럼없이 따라가나?
“그분들이 나의 스승이니까. 내 어리석음이 줄어들면 그게 행복이지 않은가. 그걸 비춰주는 거울이 오래된 사람들이다.”
―마치 자석에 끌려가듯, 그렇게….
“어른을 온전히 바라보면, 자연스레 끌려간다. 몸은 한 치의 오차가 없다. 입 구(口) 자를 봐라. 거대한 문이고 법이다. 어른 따라가면 “밥은 먹었냐” 묻는다. 밥상의 도리엔 빈틈이 없다.”
―나물을 무칠 때 손아귀에서 삭삭 바람 소리가 나서 신기했다.
“그게 손맛이다. 심장의 울림을 손의 에너지로 전달하는 게 음식이다.”
―갯벌에선 아이처럼 겅중겅중 뛰어다니던데.
”흙에서 나물을 뜯어낼 때도 머릿속에 다 그림과 질서가 있다. 질서를 알면, 푹푹 빠지는 뻘에서도 나는 다람쥐처럼 뛰어다닌다.”
그해 겨울 나는 강화 바닷가 갯벌을 거닐다 뻘에 빠져 진땀을 흘렸다. 진흙은 엄청난 악력으로 두 발을 잡아당겼다. 나는 장화를 벗어놓고 죽을힘을 다해 모래사장으로 튀었다. 여기저기 처참한 몰골로 처박힌 장화를 보며, 뻘밭을 달리던 임지호를 생각했다. 다람쥐 같은 빠른 발과 벌목꾼처럼 두꺼운 손으로 꽃과 풀과 이끼와 해초를 후드득 걷어내던…. 그의 정체성은 요리사라기보다, 생태 문명 최전선에 있는 ‘캐는 인간’이었다. 생각해보면 그가 해녀, 산지게꾼, 나물 뜯는 할머니를 스스럼없이 따라간 건 ‘캐는 인간’들 특유의 자력 때문이 아니었을까.
'방랑 식객'으로 불린 고(故) 임지호 셰프.
이어령 선생이 생애 마지막 프로젝트로 ‘캐는 인간’을 준비한다고 했을 때, 나는 무릎을 쳤다. ‘디지로그’로 21세기를 명명했던 이 지적 선지자가 왜 ‘선사시대 육체노동을 이어받은 ‘캐는 인간’을 코로나 인류의 미래'로 지명했을까. 나의 질문에 선생은 신나서 말했다.
“심마니와 해녀를 보게. 그들은 자연의 ‘엷은 막’에서 직접 생명을 캐낸다네. 절벽에서 산삼을, 심해에서 전복을 캐지. 350만년 전 채집 인류가 하던 일을, 오직 한국의 심마니와 해녀만 계속하고 있어. 그건 ‘캐는 인간’만의 특별한 율법 덕이라네. 심마니는 산삼을 발견하면 반드시 “심 봤다!” 소리를 질러서 동료 심마니를 불러 모아. 혼자 먹겠다고 슬쩍하면, 죽어. 아웃이지. 떼지어 올라가지만 발견은 혼자 해. 그게 바로 신채집 문명이야. 따로 일하면서 서로 지탱하는 것. 해녀도 혼자 일하잖아. 해녀는 제 눈앞에 전복이 보여도 숨이 모자라면 올라와야 해. 1초만 더 욕심부려도 물숨 마시고 죽어. 그게 바다의 룰이야. 산소통 메고 바다를 착취했으면 초토화됐겠지. 해녀는 자기 숨만큼만 머물다 오는 거야. 자기 몫의 숨값을 아는 것, 그게 ‘캐는 인간’의 지혜라네. 코로나로 만신창이가 된 인류가 이들의 룰을 배운다면 희망이 있네.”
나는 크게 고개를 주억거렸다. 자연과 밀착했던 ‘캐는 인간’만이 산과 바다의 공포를, 제 손으로 제 숨으로 느끼며 오래 살았다. 임지호는 65세에 죽었다. 짧은 생애였으나, 350만년 채집인의 본능을 마음껏 누렸다.
-김지수 조선비즈 문화전문기자, 조선일보(21-06-24)-
=============================
'[세상돌아가는 이야기.. ] > [隨想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회학 개론] ["내가 정말로 하고 싶은 것을 하고 사십시오.. ] (1) | 2023.11.12 |
---|---|
[성균관·카이스트·알토大… 명문대는 왜 ‘실패’에 몰두하나] (0) | 2023.11.05 |
[참전 영웅의 신발] [육영수 여사, 박정희 대통령과 결혼.. ?] (0) | 2023.10.21 |
[감사] (0) | 2023.10.16 |
[‘수도승’] [놓아야 비로소 얻는다!] (0) | 2023.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