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전라도]

[지리산(智異山)-종주] 또 다시 종주에 나서다.. (1-2)

뚝섬 2008. 12. 4. 15:34

[정상에의 오름은 항상 어렵다.. 지리산 천왕봉도 쉽지 않았다.. !]




8월 초, 금년 2월 제대한 안수와 지리산 종주에 나섰다. 

75년 여름에 1차 종주를 한 후, 33년 만이다

원거리에 장시간 소요되는 종주등반이라 이런저런 추억과 이야기꺼리가 많이 있지만,

 

(1) 첫날은 날씨가 좋았지만, 2일째는 날씨의 축복을 받지 못하고 비바람-운무 속에 등산을 하여 시원한 조망을 보지 못한 점,

(2) 연하천과 장터목 산장에 인터넷 예약을 하였으나 일정을 2일 당기는 바람에, 결국 장비없이 비박한 점  등등...

 

하지만, 부자지간에 의미있는 지리산 종주를 무사히 마친 것이 무척 자랑스럽고두고두고 기억에 남을 것으로 생각한다.

_________________

 

우리나라 국립공원 제1호인 지리산은 경남 함양, 하동, 산청과 전남 구례, 전북 남원등 3 5市∙郡, 16개의 걸쳐 동서로 45 km장대한 능선을 이루고 있으며 그 둘레는 8백여리에 달한다.  또한 1400m가 넘는 산만도 20 여개가 된다.  옛부터 백두, 금강, 묘향과 더불어 한국의 4대 명산의 하나로 숭배되어온 산으로 1967년 우리나라 최초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지리산의 산세는 넓고 깊이가 있으며 웅장하여, 어머니의 품으로 가장 많이 비유되는 산이다.

 

             [삼신봉에서 조망한 지리산 주능선.. 천왕봉(1915m)-제석봉-연하봉-삼신봉-촛대봉(도드라진 삼각형 모습)-영신봉-세석평전까지.. ]

                                                             

지리산은 진시황제의 전설에 의해 삼신산의 하나로 불리었고 방장산, 또는 두류산이라는 이름을 지니고 있었다. 이 두류산의 동쪽에는 주봉인 천왕봉을 비롯하여 중봉, 하봉, 써리봉, 제석봉, 연하봉, 삼신봉, 촛대봉, 연신봉,덕평봉 등의 영봉이 솟아  주릉을 이루고 있다이 주릉에서 사방으로 뻗어내린 남부능선과 써리봉능선 등 여러 지릉 사이로 대성골, 거림골, 장당골, 국골, 칠선계곡, 중산리계곡, 대원사계곡, 백무동계곡, 한신계곡 등 숱한 계곡이 들어앉아 지리산 자락에 부채살 주름을 잡고 있다.

 

                                                       [노고단-반야봉-삼도봉... 세석대피소 직전까지의 구간.. ]

 

"금강산은 빼어나되 웅장하지 못하고, 지리산은 웅장하되 빼어나지 못하고"라는 서산대사의 비유가 있듯 지리산은 날카롭고 빼어남은 부족하나 웅장하고 두리뭉실한 기운이 돋보인다.  천왕봉(1915m)을 주봉으로 반야봉(1732m), 노고단(1507m)이 대표적이며, 천왕봉에서 노고단을 잇는 100리 능선에는 15백 미터가 넘는 고봉이 10, 1천 미터가 넘는 봉우리가 20여 개나 있을 정도로 높고 크다.  평평한 고원지대도 많이 발달해 야생화나 철쭉 등이 장관을 이룬다.

 

                                                                                [형제봉-촛대봉 구간]

 

하동의 쌍계사, 중산리의 법계사, 마천의 벽송사와 실상사, 그리고 유평의 대원사 등이 신라 때부터의 고찰로써 지리산 그 자체를 하나의 대가람으로 승격시키고 있다.  또한 지리산은 생명의 산으로서도 크게 자리한다.  주릉선에서 15개의 지릉과 15개의 계곡이 뻗어 남북으로 각각 흐르는 큰 강과 연결된다.  그 하나는 만수천, 임천, 엄천강, 경호강, 남강, 낙동강으로 이어지는 생명의 물줄기이며, 또 하나는 남원, 구례, 하동 땅을 적시며 흐르는 섬진강이다.

  

                                                     [노고단에서 천왕봉까지의 지리산 주능선의 연봉 들....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81():

화엄사(차량이동)-성삼재(14:20)-노고단(15:00-16:00)-임걸령(17:20)-노루목(18:20)-삼도봉(19:20)-화개재-토끼봉-연하천(22:00) [07:40]

 

82():

연하천(06:00)-형제봉-칠선봉-벽소령(08:00-08:50)-영신봉-세석대피소(12:30)-촛대봉-연하봉-장터목(15:20)-천왕봉(16:30)-법계사

-중산리(19:30) [13:30]              [총: 21시간 10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지리산 전도

 

 

 

 -서울역.. 떠난다..

 

 

 

 -구례에 '구'를 붙인것은 역이 있는 곳이 구례가 아니라 순천이기 때문.. 즉, 구례입구.. )

 

 

 

 

 

 

 

 -이 다리를 건너야..

 

 

 

 -구례.. 멀리 노고단..

 

 

 

 -화엄사 각황전(2박3일의 템플스테이 일정인데, 1박하고 자퇴.. )

 

 

 

 

 

 

 

 -단청을 하지않은 원목..

 

 

 

 -화엄사입구 주차장에서 바라본 노고단..

 

 

 

 -14:20 성삼재에서.. 노고단 쪽..

 

 

 

 -15:00 노고단대피소

 

 

 

 -반야봉과 멀리 천왕봉(구름에.. )

 

 

 

 -노고단 정상..

 

 

 

 -신고합니다...!(안oo입니다!!)

 

 

 

 -노고단..

 

 

 

 -노고단 정상.. 해발 1507m

 

 

 

 -구례방향..

 

 

 

 -반야봉(1732m)과 천왕봉(1915m)은 여전히 구름에..

 

 

 

 -천왕봉.. 당겨봐도..

 

 

 

 

 

 

 

 

 

 

 

 -고요한 반야봉..

 

 

 

 -16:00, 1시간여 노고단을 오르내리고, 천왕봉으로.. 25.5km?? ... !!!

 

 

 

 -뒤 돌아본 노고단..

 

 

 

 

 

 

 

 

 

 

 

 -갈림길.. 옛날에 우측길이 피아골 하산 길인지 잘못알고...

 

 

 

 -계속 내려가서, 고생 많이 했었다.  그때의 인연으로 누구누구는 결혼으로...

 

 

 

 

 

 

 

 -임걸령..

 

 

 

 

 

 

 

 -18:20 노루목, 노고단에서 2시간 20분 소요.. 계단은 반야봉으로 가는 길..

 

 

 

 -노고단 방향.. 노루목에서 비박을 하려하였으나 영~ 마땅치않아 연하천까지 강행하기로..

 

 

 

 -19:20 삼도봉.. 노루목에서 1시간 걸렸다.. 아직 시야가 확보되는 상태..

 

 

 

 -화개재(어두워졌다...)

 

 

 

 

 

 

 

 -뱀사골방향인데 어두워서... 랜턴에 의한 야간 산행.. 둘이서 묵묵히 연하천대피소까지..

밤늦게 도착한 연하천대피소에는.. ??.. !!  

 

 

 -연하천대피소의 이른 아침(05:30). 어제 밤 3~4시간의 야간산행 끝에 22:00에 도착했었다..

 

 

 

 

-아침 취사를 할 상황이 아닌듯하여, 벽소령대피소까지 가보기로..  06:00 연하천 출발.. !

 

 

 

 

 

 

 

 

 

 

 

 

 

 

 

 

 

 

 

 -형제봉

 

 

 

 - ... !

 

 

 

 

 

 

 

 -08:00 벽소령대피소.. 연하천대피소에서 2시간..

 

 

 

 

 

 

 

 

 

 

 

 -50여분 간의 늦은 아침식사 후.. 08:50 출발!

 

 

 

 

 

 

 

 -깊은 안개.. 도대체 뭐가...


-- 2-2로 계속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2-2로 계속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