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
[루트비히 판 베토벤 … 간염으로 떠날 자신의 운명은 몰랐네]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
올해 200주년… 기악곡에 합창 더한 역발상 돋보여
영화 ‘카핑 베토벤’은 베토벤이 ‘합창’ 교향곡을 작곡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여성 악보 필경사가 있었다는 상상력을 가미해서 만들었습니다. 배우 에드 해리스가 주인공 베토벤 역을 맡았지요. /미로비젼
루트비히 판 베토벤(1770~1827)의 교향곡 9번 ‘합창’은 헨델의 ‘메시아’와 함께 연말에 즐겨 연주되는 인기곡입니다. ‘모든 인간은 형제’라는 인류애와 화합 메시지가 담겨 있어서 경건하게 한 해를 돌아보는 송구영신(送舊迎新)의 세밑과도 잘 어울리지요. 하지만 올해는 한겨울이 아니라 한여름에 연주하는 ‘합창’도 있습니다. 경기필하모닉(지휘 김선욱)이 6월 21일 수원 경기아트센터에서 연주하는 ‘합창’ 교향곡입니다. 8월 19일 서울 대학로 ‘예술가의 집’에서는 ‘합창’을 포함해서 베토벤의 교향곡 전곡(9곡)을 피아노 두 대로 장장 7시간 동안 연주하는 이색 무대도 마련됩니다. 한국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합창’을 연중 공연하지요. 왜 한여름의 ‘합창’일까요.
초연 200주년을 맞이하다
올해가 베토벤의 ‘합창’ 초연 200주년이기 때문입니다. 이 교향곡은 1824년 5월 7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초연됐지요. 초연 석 달 전에 작곡을 마친 베토벤은 손수 지휘를 맡기로 하고 성악가와 악단까지 섭외하면서 의욕을 불태웠습니다. 하지만 청력을 잃어 사실상 지휘는 불가능한 상황이었지요.
이 때문에 초연 당일에는 후배 작곡가이자 지휘자인 미하엘 움라우프(1781~1842)가 지휘를 맡았습니다. 움라우프는 오페라 ‘피델리오’를 비롯해 베토벤의 많은 작품을 지휘한 인연이 있지요. 베토벤도 곁에서 악보를 보면서 중요한 대목에서는 지휘하는 동작을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마지막 악장이 끝났을 때 베토벤은 자기가 쓴 음악은 물론이고, 청중의 갈채도 들을 수 없었다고 하지요. 이 역사적 사실에 당시 베토벤의 악보를 옮겨 적는 여성 필경사가 있었다는 상상력을 가미해서 만든 영화가 ‘카핑 베토벤(Copying Beethoven)’입니다. 영화 제목의 ‘카핑’은 악보를 옮겨 적는다는 뜻입니다. 배우 에드 해리스가 영화에서 주인공 베토벤 역을 맡았지요.
역발상 작품
오늘날에도 ‘합창’이 여전히 의미 있고 사랑받는 건 과감한 역발상 작품이기 때문입니다. 이전까지 교향곡은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기악곡이었지요. 그런데 여기에 네 남녀 독창자와 혼성 합창단까지 사람 목소리를 대거 투입해서 기악곡과 성악곡의 경계를 무너뜨린 것이야말로 베토벤의 혁신입니다. 베토벤이 고전주의 음악 완성자인 동시에 낭만주의의 문을 열어젖힌 개혁가로 꼽히는 것도 이 때문이지요.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 직후 레너드 번스타인이 지휘한 ‘합창’ 교향곡의 실황 음반. /유니버설뮤직 코리아
‘합창’ 교향곡의 1~3악장에서는 이전 교향곡들과 마찬가지로 오케스트라만 연주합니다. 하지만 마지막 4악장에서 독창과 합창이 들어갑니다. “환희여, 아름다운 신들의 빛, 낙원의 딸들이여”로 시작하는 독일 시인이자 극작가 프리드리히 실러(1759~1805)의 ‘환희의 송가(An die Freude)’를 바탕으로 베토벤 자신이 쓴 가사를 덧붙여서 노랫말을 완성했지요.
‘합창’의 마지막 4악장이 흥미로운 건 일종의 드라마 같은 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도입부에서 오케스트라의 폭발적 굉음으로 출발한 뒤 마치 복습하는 것처럼 이전 1~3악장에서 나온 선율을 다시 차례대로 들려주지요. 하지만 이 선율을 부정하듯이 첼로와 더블베이스의 저음(低音)이 등장하면서 계속 궁금증을 자아낸 뒤 유명한 환희의 주제를 잠시 들려줍니다. 그 뒤 베이스 독창자가 “오 벗들이여, 이 소리가 아니오! 대신 더욱 즐겁고 기쁨에 찬 노래를 부릅시다”라고 노래합니다. 처음부터 곧바로 결론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영화와 드라마처럼 후반으로 미뤄서 극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구사한 셈이지요.
드디어 4악장 후반에 이르면 “모든 인간은 형제가 되노라”라는 가사를 반복해서 부르면서 가슴 벅찬 감동을 선사합니다. 미국 프린스턴대와 하버드대 교수를 지낸 음악학자 루이스 록우드는 “베토벤이 만든 선율이 전 세계에 알려지고 불리게 된 것은, 넓은 세상을 껴안고 수백 만의 의식으로 들어가는 음악의 힘을 보여주는 드문 예”라고 평가했지요.
현대사의 중요한 순간들에 연주되다
이런 매력 덕분에 ‘합창’은 20세기 현대사의 중요한 순간마다 빠지지 않는 곡이 됐습니다.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직후에는 지휘자 레너드 번스타인이 미국·소련·영국·프랑스·독일의 연합 오케스트라와 함께 ‘합창’을 연주해서 화합의 의미를 강조했지요. 당시 공연에는 ‘환희의 송가’ 대신에 ‘자유의 송가’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같은 해 체코에서 비폭력 평화 시위로 공산 독재를 무너뜨린 ‘벨벳 혁명’ 직후에도 체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합창’을 연주했습니다. 당시 연주회에서 꽃다발을 들고 무대로 올라간 사람이 훗날 체코 대통령이 된 극작가이자 민주화 운동가 바츨라프 하벨이었지요.
2021년 코로나 당시에는 국내 합창단들이 마스크를 쓴 채로 ‘합창’ 교향곡을 노래하기도 했어요. /서울시향
코로나 사태 당시인 2021년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서울시향 공연에서는 국립합창단과 안양시립합창단 등 102명이 마스크를 쓰고 ‘합창’을 노래해서 동병상련(同病相憐·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김)의 정을 자아냈지요. “수많은 인간이여 포옹하라! 이는 온 세상을 위한 입맞춤!”이라는 가사 역시 마스크를 쓴 채로 불러야 했습니다. 노래로는 얼마든지 입맞춤과 포옹을 표현할 수 있지만, 정작 일상에서는 행동으로 옮기기 쉽지 않았던 당시 상황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었지요. 이렇듯 고전음악은 시대와 환경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변화를 초월하는 보편적 감동이라는 힘도 지니고 있습니다. 그 힘을 보여주는 걸작이 바로 올해 초연 200주년을 맞은 베토벤의 ‘합창’입니다.
-김성현 기자, 조선일보(24-06-03)-
_____________
루트비히 판 베토벤 … 간염으로 떠날 자신의 운명은 몰랐네
루트비히 판 베토벤(1770~1827년)은 독일의 위대한 고전 음악 작곡가다. 당시 음악은 교회와 궁정을 벗어나 카페나 강당 같은 대중의 공간으로 나아갔다. 종교적 원리주의에서 과학 기반의 계몽주의로 전환되는 시대와 궤를 같이 한다. 이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 교향곡 5번 운명이다. 도입부는 뭔가 새로운 세상의 문을 두드리는 분위기다.
베토벤이 작곡하는 모습을 디지털 사진 작업 형태로 만든 작품. /게티이미지코리아
시작을 들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운명이지만, 작곡자 베토벤의 운명은 예상을 벗어난다. 납중독으로 세상을 뜬 줄만 알았던 그의 진짜 사인은 ‘B형 간염’이었던 것이다. 베토벤이 사망한 날, 곁에 있던 친구 작곡가 페르디난드 힐러는 베토벤의 머리카락을 잘라 보관했다. 그것이 사인을 밝히는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했다.
최근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와 영국 케임브리지대 등 공동 연구팀은 이 머리카락을 분석해 사인을 확인했다. 베토벤은 B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와 간 질환에 취약한 변이 유전자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상태에서 베토벤은 간경화로 숨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베토벤이 앓은 B형 간염은 우리나라 국민 100명 중 3명(2.5~3%)이 앓고 있다. 예방 백신이 나오기 전(8~10%)보다는 많이 줄었지만, 여전히 많은 이가 B형 간염으로 간부전, 간경화, 간암 등 중증 질환을 앓는다.
만성 B형 간염은 대부분 명확한 증상이 없이 조용히 진행돼 증상만으로는 진단할 수 없다. 정기적인 혈액 검사와 간 초음파 검사로 병의 진행 상황을 체크해야 한다. 안상훈 세브란스병원 간내과 교수는 “간 수치가 상승하거나 바이러스 활동이 있으면 간암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항바이러스제로 치료를 하는 데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며 “건강보험 적용 기준이 애매한 상황이더라도 적극적으로 치료받는 게 훗날 합병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베토벤은 자신이 간 질환에 취약한 바이러스와 유전자를 가진 줄도 모르고 무엇이 그리 괴로운 것인지, 말년에 과도한 음주를 하다 세상을 떴다. 그것도 운명이지 싶다.
-김철중 의학전문기자, 조선일보(23-09-07)-
=========================
'[세상돌아가는 이야기.. ] > [健康-疾患]'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은 다시 설 수 있다] [“비아그라, 치매 예방 효과” 27만명.. ] (1) | 2024.06.12 |
---|---|
[유전자 조작으로 피 빨아먹는 암컷 모기 줄여] (1) | 2024.06.08 |
[全身에 활력 주는 '황혼 스킨십'] [갱년기 성생활 돕는 솔루션.. ] (0) | 2024.05.31 |
[귀하신 몸 된 '오륙도'] [70세 정년] ['세계 최장수' 한국 여성] (0) | 2024.05.29 |
[땀] [등산과 땀, 운동할 때 물을 마셔야 하나, 말아야 하나?] (0) | 2024.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