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치동 뺨치게 공부하는 중국 변방 학생들]
[중국 30대 젊은 혁신의 힘, 한국은 의대 광풍]
[“올해 N수생 20만 명”… 겉도는 교육개혁에 느는 건 입시 낭인뿐]
대치동 뺨치게 공부하는 중국 변방 학생들
연변 초등2, 아침 6시40분 등교
영재 아닌 학생도 죽어라 공부
최근 中 성취에 이런 경쟁 있었나
우리도 이공계 인재 특단 대책을
조선족 가이드는 자신의 초등학교 2학년 아들이 아침 6시 40분 등교해 오후 5시 20분 하교한다고 했다. 며칠 전 백두산에 다녀오는 길에 들은 얘기다. 등교 후 1시간은 독서 시간이고 7시 40분부터 수업을 시작해 오후 4시에 끝나지만 1시간 20분 동안 방과 후 수업을 한다고 했다. 방과 후 수업은 우리로 치면 국·영·수 문제 풀이를 하거나 다음 학년 진도를 나간다고 했다.
중국은 명문고에 진학해야 명문대에 진학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초등학교부터 명문고 진학 경쟁이 시작된다. 조선족 학생들 목표는 중국 명문대 진학에 유리한 연변1중, 연길시2중 등 좋은 고급 중학교에 입학하는 것이다. 이 학교에서 1년에 2~3명 정도가 베이징대나 칭화대에 입학한다고 한다.
원하는 고교에 진학해도 더 치열한 경쟁이 기다리고 있다. 이 가이드는 고1인 조카는 평일보다 주말을 싫어한다고 했다. 주말엔 아침 7시부터 저녁까지 학원 뺑뺑이를 돌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부모들은 한 달 수입의 3분의 2, 우리 돈 100만원 정도를 쓴다고 했다. 중국에선 대입 시험인 ‘가오카오(高考)’를 운명을 바꿀 수 있는 유일한 기회로 보기 때문에 그야말로 ‘목숨 걸고’ 공부한다는 것이다. 이 정도면 우리 대치동보다 더했으면 더했지 덜하지는 않을 것 같았다. 다른 민족, 중국 전체 분위기가 비슷하다고 했다.
조선족 가이드와 얘기하며 여러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에서도 대치동에서나 기숙형 학원 형태로 이루어지는 교육 방식이지만 바람직한 형태라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무한 시간 투입과 경쟁은 과거 교육 방식임이 분명하다. 중국에서도 새벽부터 심야까지 이어지는 공부 스트레스에 시달리다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학생들이 적지 않지만 전체주의 사회 특성상 별 문제 제기 없이 지나간다고 한다.
세계를 놀라게 한 중국의 딥시크 창업자 량원펑이 토종 인재로, 조기 발굴을 통해 영재 교육을 받은 인재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초등학교 때부터 영재를 선발하고 그 학생들에게 최고의 과학자를 붙여 집중 교육을 시켜 ‘이공계 천재’로 만드는 것이 중국의 천재 발굴·육성 시스템이다. 천재들만 치열하게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변방의 학생들도 어려서부터 엄청난 경쟁 구도에서 시간과 돈을 투입해 공부한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중국은 최근 이공계 분야에서 상당한 성취를 했다. 글로벌 과학 연구 역량을 평가하는 ‘네이처 인덱스’ 순위에서 중국과학원(CAS)이 1위를 차지하는 등 중국 대학과 연구 기관이 상위 10위 안에 8곳이 들어간 것이 대표적이다. 중국은 국가별 순위에서도 2년 연속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를 기록했다. 한국의 대학과 연구 기관은 세계 50위 안에 한 곳도 들지 못했다. 중국은 인공지능뿐 아니라 전기차, 로봇, 드론, 배터리 등에서도 세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중국의 이런 ‘기술 굴기’의 저변에 상당 기간 지속돼온 치열한 경쟁과 학습이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 교육이 중국 방식을 따라 할 수는 없는 일이다. 인해전술 식으로 경쟁하고 죽기 살기로 공부하는 것이 통할 수 있는 시대도 아니다. 중국 축구가 한국 축구를 당하지 못하는 것은 연습 시간에서 뒤지기 때문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무섭게 공부시키는 중국을 보며 우리도 전략적 대응이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학생 인권을 존중하면서도 창의성을 높이는 교육 방식이 없지 않을 것이다. 특히 이공계 인재만이라도 양성 시스템에 대한 특단의 대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그렇지 않으면 정말 속수무책으로 중국에 당할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김민철 논설위원, 조선일보(25-06-25)-
______________
중국 30대 젊은 혁신의 힘, 한국은 의대 광풍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고성능 인공지능(AI) 모델 개발을 주도한 뤄푸리. 30세로 중국에서 공부한 토종 청년 인재다. /웨이보
저비용·초고성능 인공지능(AI) 모델을 선보여 충격을 준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개발 주역은 30세 여성 공학자 뤄푸리였다. 뤄푸리는 쓰촨성 시골 마을 출신으로, 해외 유학 경험 없이 베이징대학 등에서 공부한 순수 국내파다. 세계적 자연어 처리 학술대회에서 논문 8편을 발표해 전문가들을 놀라게 한 그는 질문에 따른 맞춤 데이터 개발 방식인 ‘전문가 혼합’ 기법을 통해 미국 오픈AI와 맞먹는 고성능 모델을 개발했다. IT 대기업에서 1000만위안(20억원)의 연봉을 제안받으며 중국 2030의 우상으로 떠올랐다.
중국 첨단 기술 분야엔 뤄푸리 같은 청년 인재가 넘친다. ‘로봇개’와 ‘칼군무 휴머노이드’로 유명한 ‘유니트리’의 창업자 왕싱싱은 35세, ‘즈위안 로봇’을 이끄는 펑즈후이는 32세, 중국 AI의 영웅으로 불리는 ‘문샷AI’의 양즈린은 32세다. AI·로봇 분야 대표 기업 창업자 대부분이 중국에서 공부한 국내파다. ‘주링허우(九零後·1990년 이후 출생자)’라 불리는 2030세대가 첨단 산업 혁신의 주도자로 떠오른 것이다.
중국 정부는 2017년 ‘차세대 AI 발전 계획’을 발표하는 등 첨단 기술 육성 정책으로 청년들에게 폭넓은 기회와 보상을 제공했다. 그 결과 매년 과학·기술 분야 박사가 8만명, 공학 엔니지어가 150만명씩 배출되고 있다. 기업들도 각종 인재 육성, 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토종 인재들을 발굴·유치했다. 기술 관료 우대 정책으로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의 절반이 ‘테크노크라트’로 채워졌다. 제2, 제3의 뤄푸리와 딥시크가 계속 나올 수밖에 없다.
한국에선 인재가 모두 의대로만 쏠린다. 반도체 학과는 등록금 면제와 취업을 보장해도 정원 채우기조차 어렵다. 우수한 이공계 인력은 한국을 떠나고 있다. 반도체법, AI 기본법 등은 국회에 발목 잡혀 있다. 우수한 인재가 의사·변호사로만 몰리는 나라에 어떤 미래가 있겠나. 청년들이 과학기술 분야에 뛰어들어 혁신을 주도하고 충분한 보상이 주어지는 시스템을 만들지 못하면 글로벌 기술 전쟁에서 패자로 전락할 것이다.
-조선일보(25-02-03)-
______________
○’AI 천재’ 량원펑 성공 계기로 中서 “열심히 공부하자” 열풍. 한국도 ‘열공’은 맞는데 목적지가 다른 듯?
-팔면봉, 조선일보(25-02-03)-
______________
“올해 N수생 20만 명”… 겉도는 교육개혁에 느는 건 입시 낭인뿐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도전하는 ‘N수생’ 규모가 25년 만에 20만 명을 돌파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종로학원이 올해 고3이 되는 학생 수와 연도별 재수생 증감 추이를 토대로 추산한 결과, 올해 N수생이 2001년도 이후 최대 규모인 20만2762명까지 늘어나 전체 응시생의 34.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의대 증원이 급증한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의대 정원 감축 가능성까지 제기되는데도 N수생 증가세가 꺾일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취업난이 심화하는 가운데 정규직과 비정규직,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갈수록 커지자 재수 삼수를 해서라도 취업에 유리한 대학 졸업장을 따려는 청년들이 증가한 탓이다. 수능 성적만으로 갈 수 있는 상위권 대학 정시 모집은 ‘N수생들의 리그’가 된 지 오래다. 지난해 서울의 주요 8개 대학 정시 합격자 10명 중 7명이 N수생이었다. 수능이 단순 문제풀이식이어서 사교육을 받을수록 유리한 데다 올해 도입되는 고교학점제로 2년 후엔 일부 과목이 조정되는 점도 N수를 부추기는 요인이다.
요즘 재수 종합반 학원비는 월 300만∼400만 원이다. N수생이 늘수록 사교육비 부담이 커져 부모의 재력이 대학 진학과 취업을 좌우하게 된다. 사회 진출과 결혼 및 출산도 그만큼 늦어질 수밖에 없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국 청년들이 좋은 대학을 나와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황금 티켓 증후군’을 앓고 있다며 그 원인으로 노동시장 이중구조, 교육과 입시 제도의 취약성을 지목했다. 이 문제를 해결할 노동개혁과 교육개혁은 표류하고, 느닷없는 의대 증원까지 더해져 ‘입시 낭인’만 늘려 놓았으니 미래가 암담할 따름이다.
-동아일보(25-02-03)-
=====================
'[세상돌아가는 이야기.. ] > [時事-萬物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계인 침공' 이미 시작됐다] [쓰나미 같은 트럼프 요구.. ] .... (8) | 2025.06.26 |
---|---|
[김정은의 '중간계선' 선언, NLL 무력화 신호탄인가] [NLL 논란] .... (11) | 2025.06.25 |
[보수도 박찬욱, 봉준호를 갖고 싶다면] ['매머드 특검'에 민생.. ] (5) | 2025.06.25 |
[최대 권력 집권당이 왜 이렇게 거칠고 사나운가] .... (0) | 2025.06.25 |
[펜타곤 피자 지수] [‘셰셰발언’ 벗어날 100일 보낸 뒤 트럼프 만나라] (2) | 202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