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돌아가는 이야기.. ]/[隨想錄]

[도전할 때 오는 행복] [힘든 시간도 우리의 인생]

뚝섬 2023. 3. 20. 09:54

[도전할 때 오는 행복] 

[힘든 시간도 우리의 인생]

 

 

 

도전할 때 오는 행복

 

“행복은 삶의 순간에 깊게 몰입할 때 찾아오는 것이다.”

 

―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플로’ 중에서

1990년대 초 미국 시카고대 유학 시절, 심리학과 칙센트미하이 교수의 ‘플로(Flow)’라는 개념을 처음 접하게 되었다. 플로는 ‘시간의 흐름이나 공간, 더 나아가 자신에 대한 생각마저 잊어버리는 완벽한 심리적 몰입 상태’를 말한다. 개념은 생소했지만 ‘무아지경’ ‘삼매경’을 떠올리면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는 행복한 삶을 만드는 원동력을 ‘몰입’에서 찾았고, ‘플로’는 미국 사회 각계각층에서 관심과 찬사를 받은 최고의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한국 사회는 행복한가? 2022년 유엔 세계행복보고서에 나타난 한국의 행복 순위는 59위다.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행복 수준이 경제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몇 년 전부터 MZ세대를 중심으로 유행하는 파이어(FIRE)족이나 욜로(YOLO)족은 일상에서 작은 행복을 스스로 찾아보고자 하는 새로운 흐름이다. 파이어족은 은퇴자금을 마련한 뒤 조기 퇴직하여 행복한 삶을 살겠다는 것이고, 욜로족은 한 번뿐인 인생이니 현재의 행복을 위해 여행, 취미, 여가, 외식 등에 집중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은 일과 직장을 중시했던 기성세대와 달리 일을 경제적 수단으로 여기는 경향이다.

그러나 행복은 단순한 기쁨이나 즐거움과는 다른 것이다. 휴식과 취미 생활만으로는 진정한 행복을 느낄 수 없다. 칙센트미하이 교수의 연구 결과를 봐도, 사람들이 몰입에 잘 빠지는 순간은 휴식이나 여가 시간이 아니라 일하는 순간이었다. 사람들은 일에 대한 몰입을 통해 진정한 행복을 느낀다. 몰입하는 능력은 곧 ‘마음의 힘’이고, 역경을 즐거운 도전으로 바꾸는 ‘마음의 힘’이야말로 행복한 삶을 위한 핵심 요건이다.

최고의 행복은 ‘도전적이지만 가치 있는 일을 이루기 위해 몸과 마음을 최대한도로 진력하여 몰입 상태에 빠질 때’ 오는 것이다.


-채선희 중앙대 교육학과 객원교수, 동아일보(23-03-20)-

______________

 

 

힘든 시간도 우리의 인생

 

러시아 유학 1년 차,
제 인생에서 가장 힘들었던 시절이었어요.

그때 제가
"선생님, 저는 왜 이렇게 힘든가요?"

선생님은 대답 대신 러시아 시집을 건네주었습니다.
그 시집의 내용 중에서,

"당신의 인생이 왜 힘들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라는 구절을 읽고 저는 깜짝 놀랐어요.
그런 얘기를 들어본 적이 없어요.
'행복=힘들지 않은 인생'

 

이라는 생각이 언제부터 있었죠.

그런데 다시 생각해 봤어요.
힘들 때와 힘들지 않을 때가 얼마나 있었지?’

즐거울 때보다 힘들 때가 더 많은 것 같더라구요.
힘들면 우리 인생이 아닌가요?

즐거울 때보다 힘들 때가 더 많은 것이 바로 인생인데,
그 힘든 시간들을 사랑하지 않으면,
나는 내 인생을 사랑하지 않는다는 뜻이 되더라구요.

-김주희 옮김 / 배우 박신양(TVN 스타특강 SHOW)-
________________

 

아무리 쓴 약도...
내 것으로 받아드리면 보약이 됩니다               

 

-인생의 가장 힘든 시간! 이겨내기 위한 것!- 

______________

 

 

승자는 모든 문제에서 답을, 패자는 모든 답에서 문제를 찾아낸다.


승자는 언제나 계획을 갖고 있지만
패자는 언제나 변명을 갖고 있다.
승자는 모든 문제에서 답을 찾아내지만
패자는 모든 답에서 문제를 찾아낸다.
승자는어렵겠지만 가능하다고 말하지만
패자는가능하지만 너무 어렵다고 말한다.

-경전 디아스포라

___________________

 


사소한 차이가 성공과 실패를 가릅니다.
승자는 넘어지면 일어나 앞을 보고
패자는 넘어지면 일어나 뒤를 봅니다.
승자는 패자보다 열심히 일하지만 시간의 여유가 있고
패자는 승자보다 게으르지만 늘 바쁘다고 말한다

(출처 : 행복한 경영이야기)
_____________________

 

 

사막에서 살아가려면
물을 밖에서 구하려 해서는 안 될 것이다.

낙타처럼 혹은 선인장처럼
자신의 몸 속에 수분을 저장해 두어야 한다.

자신의 갈증을 자신의 체액으로 적셔 주는
외로운 그 작업에 익숙해져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막에서 자라는 생물들은
외부로부터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으며
아무런 보상도 받으려 하지 않는다.

이 단절이 오히려 그들의 내면을 풍요롭게 한다.

-이어령 교수/우물을 파는 사람(나성훈 옮김)-

____________________ 

 

 

아침에 눈을 떴을 때

 

아침에 눈을 떴을 때,

'아 오늘도 살아있구나'하고 살아있다는 것에 만족하고,

두 다리가 있어 걸을 수 있다는 것에 만족하고,

두 손이 있어서 뭔가 만질 수 있다는 것에 만족하고,

이처럼 자신의 일상 속에 주어진 조건들에 만족한다면

인생은 행복해집니다.

   

부모님이 계시는 것에 만족 하면

바로 그 부모님께 감사한 마음이 들고,

두 눈이 있어서 사물을 볼 수 있는 것에 만족하면

두 눈이 있는 것에 감사한 마음이 듭니다.

이처럼 매사에 감사할 줄 아는 마음이 곧 행복입니다.

 

-법륜스님의 '희망편지'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