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달걀의 난']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의 진실]
미국 '달걀의 난'
한국 군대에서는 ‘짬밥 수’를 따지지만 주한 미군에서 복무하는 ‘카투사(KATUSA)’는 ‘계란 수’를 얘기한다. “내가 먹은 계란이 몇 개인데…”라고 하는 식이다. 미군 아침 식사에는 스크램블·프라이 등 계란 요리가 빠지지 않는다. 매일 아침 보통 계란을 두 개씩 먹으니까 계란을 몇 개 먹었느냐를 따지면 복무 일수를 짐작할 수 있다.
▶2022년 5월 미 수송 상륙함 알링턴호가 그리스 북동부 알렉산드로폴리에 입항하자 사흘 만에 이 도시 계란이 동이 났다. 사흘간 체류한 장병 1500명이 하루 6000~7000개의 계란을 소비했기 때문이다. 함정 내 뻔한 식사가 지겨워진 장병들이 신선한 계란을 하루 4개 이상씩 먹어 치운 셈이다. 미국은 멕시코, 일본, 아르헨티나 등에 이어 세계 최대 계란 소비국 중 하나다. 국제 계란 위원회 자료를 보면 1인당 연간 287개(2020년 기준)를 소비하고 있다. 우리 국민의 연간 계란 소비량은 270개다.
▶그런 미국에서 계란 값이 치솟고 있다. 지난 2022년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 이후 1억6000만 마리 이상의 산란 닭을 살처분하면서 생긴 현상이다. 그래서 생기는 진풍경이 한둘이 아니라고 한다. 일부 지역에선 계란 12개들이가 10달러(약 1만4500원)를 넘어섰다. 에그플레이션(계란+인플레이션)이라고 부를 만한 수준이다. 그나마 공급이 부족해 영하 날씨에 아침 일찍 계란을 사기 위해 ‘오픈 런’을 해야 할 정도다. 지인이 미국에 사는 교포 친구와 전화에서 “뭐 필요한 것 없느냐”고 묻자 농담조로 “계란 한판 보내 달라”고 했다고 한다.
▶이 와중에 미 농림부 장관은 계란 값 대책으로 “뒷마당에서 닭을 키우는 방법도 있다”고 말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그가 언론 기고문에 “계란 값을 낮추기 위해 일반 가정에서 닭을 기를 수 있게 지원하겠다”고 쓴 것을 보면 실언도 아니다. 모든 것을 바이든 탓이라고 하는 트럼프 대통령은 5일 의회 연설에서 “바이든이 계란 값을 통제 불능으로 만들었다”고 했다. 당장 계란을 수입하는 것도 미국의 엄격한 안전기준과 미국 농가의 반발, 트럼프 자신이 부추긴 관세전쟁 등으로 쉽지 않은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미국 계란 가격과 공급이 정상으로 돌아오려면 최소 수개월이 걸릴 수 있다고 한다.
▶다행히 국내 계란 시장은 수급과 가격 모두 안정적이다. 대형 마트에 가면 언제라도 30개들이 계란 한 판을 7500원 안팎에 살 수 있다. 세계를 마치 장난감처럼 가지고 노는 트럼프가 계란 앞에서 쩔쩔매고 있다.
-김민철 논설위원, 조선일보(25-03-07)-
______________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경고 없애기로
"계란 프라이·새우 먹어도 혈중 콜레스테롤 안 높아져… 당뇨 환자는 섭취 피해야"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계란이 성인병의 주범이란 누명을 44년 만에 벗게 됐다. 미 보건부와 농림부는 올해 하반기에 '미국인 식생활 지침'을 개정해 콜레스테롤 하루 섭취량을 300㎎ 이하로 권장하는 조항을 삭제할 예정이라고 워싱턴포스트가 10일 보도했다.
미국심장협회는 1961년 '콜레스테롤이 심장 질환을 비롯한 성인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경고를 공식적으로 처음 제기했고, 미국 정부도 1980년 제정한 '미국인 식생활 지침'에 이 주장을 반영했다. 미국인 식생활 지침은 5년마다 개정되는데, 2010년 마지막 개정판에선 콜레스테롤을 하루 300㎎ 이하로 섭취하라는 구체적 기준까지 마련됐다.
계란은 콜레스테롤 경보가 발령된 이후 최대 피해자였다. 계란은 흰자엔 콜레스테롤이 거의 없지만, 노른자 1개당 200㎎의 콜레스테롤이 함유돼 있다. 100g당으로 환산할 경우 계란 노른자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1300㎎으로 콜레스테롤이 많은 것으로 알려진 버터(200㎎)나 소고기 곱창(190㎎), 명란젓(350㎎)보다 함량이 높다. 이 때문에 미국인 1인당 연간 계란 소비량은 1945년 421개에서 2012년엔 250개로 급감했다.
미 정부가 콜레스테롤에 대한 경보를 해제하기로 한 것은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 기구인 식생활지침자문위원회(DGAC)의 권고를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DGAC는 작년 12월 위원회를 열고 "음식을 통한 콜레스테롤 섭취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최종 결론을 내리고, 이를 미 정부에 통보했다고 워싱턴포스트는 전했다. 이 위원회는 "건강한 성인은 아침식사에서 계란 프라이나 새우·랍스터를 먹어도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아지거나 심장 질환 위험이 증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오히려 소고기와 우유·버터 등 동물성 기름에 많은 트랜스지방이나 포화지방이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위원회는 지적했다.
하지만 이번 결정에도 혈액 속에 나쁜 콜레스테롤(저밀도 콜레스테롤)이 많이 쌓이면 성인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의학적 판단이 뒤집히는 것은 아니다. 건강한 사람은 괜찮지만 당뇨병 등 특정 질환을 가진 환자의 경우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 섭취를 피해야 한다고 위원회는 권고했다.
-뉴욕=나지홍 특파원, 조선일보(15-02-12)-
______________
콜레스테롤의 진실
30대 초반 남자가 협심증으로 응급실에 왔다. 그는 젊었고, 말랐다. 운동도 열심히 했고 담배도 피우지 않았다. 바른 생활 '건전남'인데 심장병이 왔다. 발목 아킬레스건이 유난히 두껍고 넓은 것이 특이했다. 의료진은 가족성 콜레스테롤 혈증임을 직감했다. 피검사를 해보니 콜레스테롤치가 400(㎎/dL)에 가깝다. 정상은 200 이하다. 유전자 변이로 간에서 콜레스테롤이 무더기로 생성되는 병이다. 두툼한 아킬레스건은 넘치는 콜레스테롤이 쌓인 결과다.
▶달걀 한 개에 콜레스테롤이 200~240mg 있다. 하루 섭취 제한 권장량 300에 가깝다. 미국 예일대가 의사 3만8000명을 8년, 간호사 8만명을 14년 조사해 심장병 발생률과 달걀 소비량을 비교했다. 달걀과 심장병 발생은 큰 관련이 없었다. 포화지방이 많은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는 것이 더 큰 문제였다. 그럼에도 삼겹살은 실컷 먹고 나서 냉면의 달걀노른자 반쪽은 꼭 제쳐놓는 이가 많다.
▶며칠 전 미국 정부가 '식생활 지침'을 고쳐 콜레스테롤 하루 섭취량을 300㎎ 이하로 권장하던 조항을 뺐다. 달걀에 면죄부를 준 셈이다. 미국 식생활지침자문위원회는 음식을 통한 콜레스테롤 섭취는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결론을 내렸다. 몸속 콜레스테롤의 80%는 간에서 지방 알갱이를 원료로 만들어진다. 음식으로 많이 먹으면 간에서 생산량을 줄여 일정량을 유지하려 하기 때문에 이런 결론이 나왔다.
▶이 보도가 나간 뒤 병원 진료실에서 환자와 의사 사이에 승강이가 잦아졌다.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을 먹어도 된다는데 왜 콜레스테롤 떨어뜨리는 약물을 처방하느냐고 묻는 환자가 부쩍 늘어난 탓이다. '건강한 성인'은 콜레스테롤 함유 음식을 먹어도 괜찮다는 뜻이지, 콜레스테롤 혈중 수치가 높아도 괜찮다는 뜻은 전혀 아니다. 심장내과 전문의들은 비만으로 콜레스테롤치가 원래 높거나, 심장병·당뇨병 환자들은 여전히 콜레스테롤 함유량이 많은 음식을 자제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LDL 콜레스테롤이 30% 낮아지면 심장병 발생 위험이 30% 줄어든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처방되는 약은 그런 나쁜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는 스타틴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00만명 넘게 복용한다. 영국에서는 소용량 스타틴을 만들어 의사 처방 없이 수퍼에서 사먹을 수 있다. 비만 국가에서는 수돗물에 스타틴을 타자는 조크가 있다. 자기 콜레스테롤 수치를 아는 사람이 오래 산다는 연구도 있다.
-김철중 의학전문기자, 조선일보(15-02-25)-
======================
'[세상돌아가는 이야기.. ] > [健康-疾患]'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장 피자] [내 몸 곳곳을 파괴하는 숙취,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0) | 2025.03.30 |
---|---|
[한국의 잠 못 이루는 밤] .... ['2분 만에 잠들기'] .... (0) | 2025.03.16 |
[백신 강국 대한민국, 글로벌 보건 향상시킨 영웅이다] .... (1) | 2025.03.04 |
[癌으로 딸 떠나보내고… 과학자는 밥상을 뒤집었다] (0) | 2025.02.23 |
["얘야, 선물은 홍삼 대신 단백질을 다오"] .... [살충제 계란 소동] (1)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