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복 골퍼, 골프웨어 등산객]
[등산과 트레킹의 차이]
등산복 골퍼, 골프웨어 등산객
살아남기 위해, 남들보다 더 잘되기 위해 기를 쓰는 평일의 스위치를 주말 등산에서도 끄지 못한다..
"한국 사람들은 주말에 등산을 할(go mountaineering at weekends) 때도 누가 먼저 정상에 도달하는지(get to the summit) 경쟁하듯 기를 쓰고(exert themselves to the utmost) 올라간다. 그러곤 또 기를 쓰고 잽싸게 내려온다(quickly descend)."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이 최근 한국의 등산 문화에 대해 소개했다. 한반도의 약 75%는 산악지역이라(be mountainous) 스위스·네팔과 엇비슷한 수준이라면서(put it on a par with Switzerland and Nepal), 긴장한 등산객들(wound-up mountain hikers)이 스트레스를 등산로까지 가져간다고(bring stress to trails) 묘사했다. 사뭇 비아냥대는(be sarcastic)투다.
"한국에선 녹초가 되는 주중의 스트레스를 푸는 데(tackle the stresses of a grueling workweek) 등산만큼 인기 있는 것이 없는 듯하다. 주말만 되면 산으로 우르르 몰려간다(swarm into mountains). 한국인들은 선진 세계에서 가장 긴 주당 근무시간 동안 힘겹게 일하면서(toil through the longest working weeks in the developed world) 과도한 음주 등 여러 사회적 병폐를 낳았다(spawn a range of social ills such as excessive drinking).

그런 그들이 고단한 일의 탈출구로 찾은(seek an escape hatch of exhausting work) 것이 등산이다. 유명한 등산로는 일년 내내 머리부터 발끝까지 값비싼 등산 복장을 한 온갖 연령대의 등산객들로 붐빈다(be jam-packed year-round with hikers of all ages clad head-to-toe in pricey hiking gear).
한국인들은 한때 전쟁으로 피폐해져 빈곤에 찌든 나라를 세계에서 가장 번영한 국가 중 하나로 만들기 위해 수십년간 고생스럽게 일해왔다(toil for decades to turn their once war-torn and impoverished country into one of the world′s most prosperous). 그것이 몸에 배었다.
그래서인지 살아남기 위해, 남들보다 더 잘되기 위해 기를 쓰는 평일의 스위치를 주말 등산에서도 끄지(turn off) 못한다. 전력을 다해 사는 것처럼 등산도 전속력으로 한다(hike at full speed just as they live life to the full). 등산로에 밀려든 다른 등산객들의 뒤통수를 응시하며(stare at the backs of the heads of other climbers surging along trails) 정상을 향해 기어오른다(scramble up peaks).
기를 쓰고 정상까지 경주를 하고(race to the mountaintop), 기를 쓰고 또 내려온다. 잠시 속도를 늦추고 신선한 공기를 들이마시는(slow down and breathe in the fresh air) 여유를 스스로 허용하지 않는다. 한국인들은 등산 중에도 '빨리빨리' 앞서가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시달린다(be obsessed by going ahead)."
경제가 좋아지면 골프장에 등산복 입은 골퍼들이 늘어나고, 경기가 침체되면 산에 골프웨어 입은 등산객이 많아진다는 우스개가 있다. 늦어도 내년 봄에는 골프장에 등산복 차림 골퍼들이 득실댔으면 좋겠다.
-윤희영 조선뉴스프레스 부장대우, 조선일보(15-09-24)-
______________
등산과 트레킹의 차이
우리나라에서는 트레킹을 걷는 길, 등산을 산에 오르는 행위로 보지만 외국에서 산이든 길이든 상관없이 트레일로 걷는 행위를 트레일로 구분한다. 외국에서 배낭을 메고 트레킹을 하는 트래커들을 쉽게 만날 수 있다.
등산(Hiking)과 트레킹(Trekking)은 걷는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지만 개념상으로는 조금 차이가 있다. 트레킹은 정상에 오르는 것을 목적으로 두지 않고, 서두르지 않고 느긋하게 자연의 풍광을 즐기며 천천히 걷는 행위를 말한다. 천천히 걸으며 자연과 동화되고, 대자연의 아름다움과 신선함을 몸과 마음으로 직접 느낄 수 있다. 트레킹은 원래 소달구지를 타고 먼 길을 여행한다는 뜻으로 전문적인 등산기술이나 지식 없이도 즐길 수 있는 운동을 의미했다. 아프리카 원주민들이 달구지를 끌고 새로운 정착지로 이동하는 데에서 비롯된 용어로 오염이 안 된 자연을 찾아서 즐기며 천천히 걸어서 여행하는 것을 말한다.
등산은 자신의 체력과 고도와 싸워 더 이상 올라갈 수 없을 때까지 정상을 정복하는 행위가 우선이다. 정상에 올라서서 세상을 내려다보는 쾌감과 성취감을 맛보는 게 등산이다. 등산은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경사를 오르내리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근력과 근지구력 강화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맑은 공기와 아름다운 경치를 보며 걷기 때문에 신체적 효과뿐만 아니라 정신적, 심리적으로도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물론 트레킹도 유사한 효과를 거둘 수 있지만 등산과 가장 큰 차이점은 성취감과 정복감에서 조금 다를 수 있다.
등산은 전형적인 정상지향 행위다. 그 점이 트레킹과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등산과 트레킹은 걷는다는 공통점과 함께 또 다른 공통점은 유산소운동이다. 유산소운동은 숨이 차지 않으며,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할 수 있는 운동이다. 체내에 최대한 많은 양의 산소를 공급시킴으로써 심장과 폐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강한 혈관조직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다.
유산소운동은 걷기, 달리기, 자전거타기, 등산, 수영, 러닝머신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걷기는 유산소운동 중에 가장 안전하고 장소에 구애 받지 않으며 어디서나 손쉽게 할 수 있는 운동이다. 또한 비용이 거의 들지 않은 경제적인 운동이기도 하다. 걷기운동은 운동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이나 노인, 또는 비만환자들에게 적극 권장되는 운동이다.
-(14-10-16)-
=====================
'[산행] > [산-산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 [33] 모산재-감암산(甘闇山)(경남 합천) (0) | 2025.03.15 |
---|---|
[산..!] [32] 한라산(漢拏山)(제주) (0) | 2025.03.08 |
[산..!] [31] 달마봉(達磨峰)-울산바위(강원 속초) (0) | 2025.03.01 |
[속초] 설악산(雪嶽山)-울산바위 (0) | 2025.02.27 |
[설악산 울산바위] [천후산(天吼山), 울산바위의 사연] .... (4)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