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해목(雪害木)]
[침엽수의 원뿔 구조]
설해목(雪害木)
법정 스님은 수필 ‘설해목(雪害木)’에서 폭설이 내릴 때 “깊은 밤, 이 골짝 저 골짝에서 나무들이 꺾이는 메아리가 울려 올 때 잠을 이룰 수가 없다”고 했다. 117년 만의 ‘11월 폭설’로 전국적으로 아파트 주차장 출입구 지붕 등이 무너져 인명 피해까지 속출했지만 나무들도 큰 피해를 당했다. 서울 헌법재판소 안에 있는 명물 재동 백송도 길이 3~8m에 이르는 가지 5곳이 찢어지거나 부러졌다. 총리 공관 안에 있는 천연기념물 ‘서울 삼청동 측백나무’도 길이 4∼8m에 달하는 가지 6곳이 부러지거나 꺾였다.
▶이렇게 피해가 큰 것은 이번 눈이 물기를 머금어 무거운 ‘습설(濕雪)’이기 때문이다. 눈이 만들어지는 구름층의 기상에 따라 다양한 눈이 만들어진다. 상공 1.5㎞ 기온이 영하 10~20도로 비교적 높을 경우 함박눈으로 내린다. 이 눈은 습설이라 잘 뭉쳐져 눈사람을 만들거나 눈싸움하기에 좋다. 그러나 건조한 눈에 비해 3배나 더 무거워 건물이나 나무에는 치명적일 수 있다. 상공 기온이 영하 20도 이하로 차가울 때는 싸락눈이, 여기에 바람까지 강할 경우엔 가루눈이 내린다. 북유럽에서 내리는 눈이 이런 가루눈이다. 이 눈은 미세한 눈 조각의 상태로 내려 잘 뭉쳐지지 않는다.
▶스키장에선 인공눈과 자연눈을 함께 쓴다. 인공눈은 물을 압축공기와 함께 뿜어내면서 얼리는 방식으로 만든다. 인공눈은 얼음 알갱이 밀도가 높다. 물 10㎜가 자연눈으로 내리면 10㎝ 쌓이는데 인공눈은 절반인 5㎝에 불과하다. 인공눈은 알갱이 사이의 틈이 적기 때문에 스키가 눈에 빠지지 않고 잘 미끄러진다. 그래서 속도감 있는 스키를 즐기는 데는 자연눈보다 인공눈이 더 좋다고 한다.
▶우리나라 골프장에서 늦가을 소나무 전지 작업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웃자란 가지, 늘어진 가지를 솎아내 수형을 다듬는 목적도 있지만 태풍이나 폭설에 가지가 부러지거나 쓰러지는 일을 막기 위한 것이다. 겨울에 일본 3대 정원 중 하나인 겐로쿠엔 공원 등에선 ‘유키즈리’라는 독특한 장치를 볼 수 있다. 눈 무게로 고목 가지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뭇가지에 줄을 달아 우산대 모양으로 매어 둔 장치다. 우리나라도 도입해볼 만하다.
▶이번 폭설은 북쪽에서 내려온 찬 바람이 식지 않은 서해에서 수증기를 더 공급받아 만들어졌다. 기상청은 올겨울 조건이 맞으면 이번 같은 폭설이 다시 내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제 겨울이 시작이다. 올겨울엔 눈 예보가 나오면 긴장을 늦추지 말아야 할 것 같다.
-김민철 논설위원, 조선일보(24-11-30)-
______________
침엽수의 원뿔 구조
핀란드 수도 헬싱키에서 북쪽으로 900㎞ 떨어져 기차를 타고도 12시간을 꼬박 가야 도착하는 곳. 바로 산타의 도시 '로바니에미'입니다. 시 중심부에서 북쪽으로 8㎞ 떨어져 있는 산타 마을에는 산타 집무실이 있고 풍성한 흰 수염을 가진 '진짜 산타클로스'가 살고 있습니다.
산타 마을은 전나무와 가문비나무, 소나무 같은 침엽수에 둘러싸여 있어요. 침엽수는 원뿔처럼 한 점이 가장 높고 아래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데, 옆에서 봤을 때 빗면의 경사가 급해 곧게 세운 창(槍)처럼 보일 때도 있습니다. 높게 자란 침엽수에는 눈이 층층이 쌓여 눈꽃을 피우죠.
핀란드 로바니에미와 같은 북방 침엽수림 지역을 '타이가(taiga)'라고 부릅니다. 타이가는 본래 시베리아에 발달한 광활한 침엽수림을 가리키는 러시아어인데요, 현재는 비슷한 위도의 냉대 기후인 캐나다와 알래스카 전역, 북부 유럽까지 포함하는 지역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대됐습니다. 이 지역은 연중 몹시 춥고 긴 겨울로 유명합니다. 하루 평균 기온이 10도 이상인 여름이 불과 3개월도 안 되는 지역도 많고, 눈도 잘 녹지 않아 대부분 시기에 눈을 관찰할 수 있지요.
눈을 맞은 침엽수들이 빽빽하게 숲을 이루고 있어요. 침엽수는 원뿔 형태로 자라나 아래쪽 잎도 광합성을 하기 좋아요. /게티이미지뱅크
이렇게 춥고 눈이 많이 오는 험한 기후에서 침엽수들은 어떻게 숲을 이루었을까요? 비밀은 아주 오랜 시간 원뿔처럼 뾰족하게 진화한 나무 형태에 있습니다. 침엽수는 줄기 맨 위쪽 끝눈에서 생장호르몬인 옥신을 생산해 키를 키워요. 그런데 옥신은 줄기가 위로 잘 자라게 하는 대신 곁가지가 자라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옥신 농도가 줄기 맨 위쪽에서 높다 보니 위쪽 곁가지는 거의 자라지 못하고, 반대로 아래쪽 곁가지는 충분히 자랄 수 있게 되지요.
이런 원뿔 형태는 나무 옆면이 비스듬하게 발달해 바람이 불어와 나무에 부딪히는 각도를 완만하게 바꿔줍니다. 강한 바람이 불어와도 원뿔의 측면을 지나며 힘이 약해져 줄기가 덜 흔들립니다. 덕분에 타이가의 침엽수는 높게는 40m까지도 자랄 수 있어요.
원뿔 형태는 눈 무게를 분산해주고 광합성을 돕는 역할도 합니다. 위쪽 가지가 아래쪽 가지보다 짧아서 아래쪽 잎들도 광합성을 할 수 있지요. 또 같은 이유로 눈은 아래쪽 가지에 더 쌓이게 됩니다. 눈 무게가 아래쪽 더 큰 가지로 분산되면서 상대적으로 가느다란 위쪽 나뭇가지 부담이 줄어들죠. 만약 이 지역의 나무가 활엽수처럼 둥근 형태로 자란다면 위쪽에 눈이 많이 쌓여 나뭇가지가 쉽게 부러져 버릴 거예요.
이런 뾰족한 형태의 이점을 배워서일까요. 타이가 지역의 사람들은 옛날부터 집 지붕을 뾰족하게 만들곤 했어요. 산타 마을도 마찬가지랍니다. 뾰족한 전나무로 둘러싸인 산타의 집무실도, 어린이들의 편지에 답장을 부치는 우체국도 모두 뾰족하게 지어졌습니다.
-최새미 식물 칼럼니스트, 조선일보(19-12-06)-
=========================
'[산행] > [山野(草·木·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의 열매] [호랑가시나무] (0) | 2024.12.23 |
---|---|
[제주 활짝 핀 애기동백꽃] [겨울에 활짝 벌어져 피는 꽃… ] (1) | 2024.12.05 |
[사라지는 제주 야자수] [이팝나무의 흰 꽃을 보면서] .... (0) | 2024.11.20 |
[근육질 남자나무, 미끈한 여자나무] (0) | 2024.11.12 |
[아직도 이곳에 안 가보셨다고요?] [핑크뮬리] (0) | 2024.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