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곡]
[외국인 눈엔 신기한 한국 노래방]
['미스터트롯'에 뜨거운 대한민국]
인생곡

1950년대 후반 상경한 아버지는 나훈아 노래 ‘고향역’을 좋아했다. “가사에 내 삶이 들어 있어서”라 했으니 아버지의 ‘인생곡’이었다. 언제부턴가 필자도 그 노래를 좋아했다. ‘달려라 고향 열차~’ 하고 흥얼거리다가 반세기 전 서울행을 결심하던 아버지 마음을 상상해 본 적도 있다. 아버지의 인생곡이 아버지와 나를 연결해 줬다.
▶13일 대단원의 막을 내린 ‘미스터트롯3’은 ‘톱7’의 인생곡 무대로 펼쳐졌다. 그들이 들려준 노래와 저마다의 인생 이야기가 가수와 시청자를 연결해 줬다. R&B에서 트로트로 전향한 천록담은 트로트 가수가 되기 전에 굴곡진 삶을 살았다. 암 수술 후 다시 일어나 희망을 노래하고 싶은 마음을 인생곡 ‘공’에 담았다. ‘살다 보면 알게 돼 알면 이미 늦어도/ 그런대로 살 만한 세상이라는 것을~’ 하는 가사가 듣는 이의 가슴으로 들어왔다.
▶미스터트롯3 최종회의 평균 시청률은 19.1%였다. 김용빈과 할머니 사연이 소개되자 이날 순간 최고 시청률인 19.6%로 뛰었다. 할머니와 손자가 나눈 애틋한 정이 깊은 공감을 자아낸 덕분이었다. 지난해 6월 별세한 할머니의 소원은 “손자가 미스터트롯 나오는 걸 보는 일”이었다. 소원을 못 이루고 떠나면서 “죽어서도 너를 돕겠다”고 약속했다. 김용빈은 마지막 무대에 오를 때 떨리지 않았다고 했다. 할머니가 곁에 있어줄 걸 알았기 때문이다.
▶김용빈이 ‘감사’를 인생곡으로 택한 것은 그래서였다. 할머니에 대한 고마움을 담고 싶었다. ‘구부러진 가지 끝에서 새싹이 피어나듯이/ 가슴에 묻힌 슬픔 이제는 감사 되어/ 내 노래가 되었네~.’ 미스터트롯 3수 끝에 톱7에 오른 추혁진의 어머니가 무대 위 아들을 보며 지은 표정도 화제가 됐다. 웃는 건지 우는 건지 모를 얼굴에 사랑과 기대와 응원을 다 담은 ‘엄마의 얼굴’이었다.
▶미스트롯과 미스터트롯이 각각 시즌 3까지 달려오는 동안 트로트는 한국인의 기쁨과 슬픔을 함께하는 장르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 코로나가 기승을 부리던 시절, 트로트가 없었다면 우리는 더 힘들었을 것이라는 데 많은 이가 동의한다. 그 사이 음악 산업으로도 크게 성장했다. 미스트롯이 첫선을 보인 2019년 이전 1%대에 불과했던 음악 스트리밍 내 트로트의 비율이 3년 만에 12%를 넘어섰다. 2023년 한 카드사가 트로트 콘서트 입장권의 결제액을 조사해 보니 전년보다 134% 늘었다는 통계도 있다. 다음엔 또 누가 어떤 가슴 뭉클한 사연과 인생곡을 들고 우리 앞에 설까.
-김태훈 논설위원, 조선일보(25-03-15)-
______________
외국인 눈엔 신기한 한국 노래방

K드라마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면서(gain popularity around the globe) 화면에 나오는 양념 치킨(seasoned spicy chicken), 치맥(치킨과 맥주), 떡볶이, 순대, 라면, 삼겹살(pork belly)도 관심 대상이 되고 있다(become the objects of attention). 외국인 시청자 눈에 낯설면서도 신기한(be unfamiliar and novel from the viewpoint of foreign audience) 것 중 또 하나는 노래방이다. 미국의 음악 전문지 ‘롤링스톤’이 최근 ‘Noraebang: A Musical Mainstay of Korean Culture’라는 제목으로 소개하기도 했다. 간추린 내용은 이렇다.
“많은 K드라마에서(in a slew of K-dramas) 볼 수 있는 ‘노래방’은 ‘song’과 ‘room’을 조합해 만든 합성어(compound word made by combining them)다. 한국 대중문화의 중요한 구성 요소(crucial component of its popular culture)로, 전국 방방곡곡(every nook and cranny of the country) 어디에든 있다.
한국에서 노래 부르기는 사회생활의 중요한 일부다. 거의 모든 모임에서(at almost every gathering) 자기 자신이 노래를 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노래를 부르게 한다. 술이 곁들여진 유흥의 마지막 종착지(last destination of intoxicating entertainment)는 늘 노래방이 된다. 거의 의무적인 경로(compulsory round)다. 좋아하든 싫어하든(whether they like or hate it) 함께 뭉쳐 노래 부르는(have to join in and sing) 것이 사회생활의 기본 예의(basic eqituette for social life)다.
한데 어울려 떼창하는 것을 관계를 돈독히 하는 방법으로 여긴다(consider group singing as a way to strengthen their relationships). 한국인들은 함께 행동함으로써 무리의 유대감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는데(have a tendency to bond as a group), 노래방이 그런 장소가 됐다. 그런 집단주의(collectivism)가 노래방 확산을 촉진했다(facilitate its proliferation).
많은 사람은 세상살이에 소외감, 불안감, 압박감을 느껴(feel alienated, anxious, and pressured) 필연적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할 방도를 찾게 된다(inevitably find a way to relieve their stress). 그런 점에서 노래방은 기분 좋게 곡조에 빠져 감정을 큰 소리로 표출할 수 있는 이상적인 배경(ideal backdrop to feel good, submerge in melodies, and express their feelings aloud)이 돼 주고 있다.
하지만 한국 노래방에선 명심해야(keep in mind) 할 불문율(unwritten law)이 있다. 다른 사람 애창곡을 불러서는(sing someone else’s favorite song) 안 된다. 노래 중간에 끼어들어서도(intervene) 안 된다. 또 하나, 잘하지 못하더라도 누구에게나 노래할 기회를 줘야 하며, 끝까지 들어줘야(hear it out) 한다.”
-윤희영 에디터, 조선일보(23-01-05)-
_______________
'미스터트롯'에 뜨거운 대한민국
영상 떴다하면 수백만 클릭, 1020~6070 남녀 모두 사로잡아
정치·경제 상황보며 쌓인 울분, 특유의 가락·가사 만나 폭발
부모·자녀간 대화까지 생성… 대중이 먼저 트로트에 손내밀었다
바야흐로 트로트 전성시대다. 그간 방송에서 얼굴 보기 힘들었던 트로트 가수들이 지금은 TV 채널을 틀기만 하면 나온다. TV에 나왔던들 누군지 잘 몰랐던 그들이 노래 경연에 '떴다' 하면 유튜브 수백만 클릭은 기본이다. 지난해 TV 조선 '미스트롯'으로 스타덤에 오른 송가인에 신인가수 유산슬(유재석)이 가세하면서 2030 팬심도 불붙었다. 방점은 지난 1월 2일 12.5% 시청률로 시작한 TV조선 '미스터트롯'. 지난 13일(7회) 전국 시청률 28.1%(닐슨코리아 유료방송가구 전국 기준)로 또 한 번 종편 최고 시청률을 경신했고, 지난 1월 17일부터 시작된 '대국민 응원투표'는 지금까지 누적 투표수만 약 2000만표를 넘기며 어마어마한 화력을 과시했다. 반짝이 재킷 대신 슈트 차림의 훤칠한 '트롯맨'이 아이돌 못지않은 인기를 누리고, '트롯돌' 'K트롯'을 기대하는 목소리도 높다.
그간 트로트는 EDM(일렉트로닉 댄스 뮤직)·팝·힙합 등과 결합해 장르적 외연을 확대해왔지만, 지금 같은 대중의 호응은 갑작스러워 보이기도 한다. 트로트의 재발견을 넘어 트로트의 재개발 수준이다. 최근 몇 년 사이 국내를 관통했던 뉴트로(새로운 복고) 현상으로 해석하기엔 무언가 부족해 보인다. 대체 무엇이 우리 사회를 트로트라는 거대한 태풍의 눈 속으로 빠져들게 한 것일까.
◇울분(embitterment), 한(恨)의 트로트와 만나다
사실 트로트는 항상 우리 곁에 있었다. 일제 강점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이 풍진(風塵) 세상'을 꿋꿋이 살아내는 우리의 어깨를 다독여준 정서적 동반자였다. 1921년 탄생해 트로트 전사(前史)이자 현재까지 발견된 것 중 상업적 음반에 수록된 최초의 유행가인 '희망가'가 최근 '미스터 트롯' 무대에서 전국을 눈물바다로 만든 것도 트로트의 생명력에서 기인한다.

청량한 가사, 구성진 가락에 빠져 '반복 재생'-TV조선 '내일은 미스터트롯' 본선 3차 기부금 팀미션에서 장민호·노지훈·김경민·김중연 등 4명이 모여 만든 '트롯 신사단'팀이 무대를 펼치고 있다(위 왼쪽). 위 오른쪽은 김호중이 에이스 대결에서 열연을 펼치는 모습. 유튜브에 공개된 참가자들의 '클립' 영상도 화제다. 임영웅(아래 왼쪽)이 예선전에서 부른 '바램' 영상은 조회 수 426만회를 기록했다. 영탁이 본선 2차전 데스매치에서 부른 '막걸리 한잔'과 이찬원이 부른 '울긴 왜 울어'도 각각 조회 수 326만회, 42만회(20일 기준)를 기록하며 인기를 끌었다. /TV조선·유튜브 캡처
하지만 '트로트 신드롬'이라 불릴 만큼 대중을 사로잡으며 사회적 진폭을 확대하는 건 굉장히 오랜만이다. 2000년대 들어 대중가요계에 10대 아이돌이 득세하면서 트로트는 점차 설 자리를 잃어갔다. 고속도로 메들리나 인기였을까. 그랬던 트로트가 중장년층은 물론 2030세대에도 통했다. 트로트에 서린 특유의 '한(恨)'이 2030세대의 폐부를 강타한 것이다. 요즘의 2030은 어떤가. 젊은 층이 사회에 나가면서 겪는 좌절감과 무력감은 최근 들어 사회 병리학적 현상으로 언급될 만큼이나 증폭됐다. 무너진 계층 사다리에 붕어, 개구리, 가재로 살면서 이전 세대보다 더 나아질 거라는 희망이 사라진 그들에게 '공정사회'에 대한 기대감은 역시, 처참히 무너졌다.
억울한 약자들이 갖는 답답한 서글픔, 바로 한(恨)이 최근 국내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울분(鬱憤)'과 맥을 같이한다는 것이 학계의 설명이다. 독일 마이클 린든 정신의학과 교수가 학계 최초로 정립한 '외상후울분장애(Post 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에서 등장한 '울분(Embitterment)'은 사회에서 배제되고 무시되면서 무기력해진 패배감과, 억눌린 한(恨) 등을 말한다. 특히 지난 2018년부터 서울대 행복연구센터가 '한국 사회의 울분'(연구 책임자 유명순 보건대학원 교수)에 대해 연구 조사를 시작한 이후 '울분'은 최근 우리 사회를 가장 적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키워드로 꼽힌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의 14.7%가 일상생활에서 장애를 일으킬 정도의 중증도 이상의 울분을 느끼며 산다. 만성적 울분까지 포함하면 54.6%에 달한다. 국민 절반 이상이 울분에 시달리는 '울분 사회'인 것이다. 사회 지도층의 특권으로 확인한 불공정성, 각종 갑질이 울분에 불을 지폈고, 특히 젊은 층·저소득층·1인 가구일수록 울분이 강했다.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권력의 남용에 대한 울분 인식이 더욱 강한 것이 확인되기도 했다.
때로는 울분이 내면의 목소리를 외부로 향하게 하는 힘이 되기도 한다. 국내 정치나 경제 상황을 보며 꾹꾹 눌러 담아뒀던 감정은 대중이 거리로 나가게 한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지금 같은 트로트의 확산도 이 지점에 있다. 그간의 울분이 한(恨)의 정서를 담은 트로트를 만나면서 폭발적 감정을 촉발하고 일부 해소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등에 짊어진 삶의 무게에 아파하고, 내 시간도 없이 평생 바쁘게 앞길만 보고 걸었던(바램)' 가사를 되뇌며 중년은 중년대로, 젊은 층은 젊은 층대로 공허하고 허탈한 현재에 눈물 흘린다. '막걸리 한잔'이나 '울긴 왜 울어'로 답답했던 속이 뻥 뚫리는 정서적 청량함을 조금이나마 맛보는 것이다. 지난해 트로트 선율을 담은 오페라 '1945'를 작곡한 서울대 최우정 음대 교수는 "전통적으로 한(恨)을 노래했던 민요나 판소리 등의 요소가 담긴 트로트는 시대적·인간 관계성에 대한 슬픈 정서를 담고 있고, 일제시대부터 1960~70년대, 최근 우울한 시대적 분위기에 대중이 역으로 트로트에 손을 내미는 것 같다"며 "트로트는 지극한 '한의 정서'를 풀어내면서 '흥(興)의 신명'이 결합해, 서럽고 억울한 기억에 공명하며 위안을 준다"고 말했다.
피폐하고 고단한 시절 트로트가 삶을 위로한 건 1970년대를 강타한 나훈아·남진 신드롬에서도 읽을 수 있다. 1960~1980년대 당시 여성 노동운동을 다룬 연구기록서인 김원의 '여공 1970, 그녀들의 反역사'(2005)는 이 둘이 근대화로 촉발된 이촌향도(離村向都) 때문에 도시로 몰려든 어린 노동자들의 고향에 대한 절절한 애수를 품어주는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증언한다. 그들의 트로트 속에선 떠나온 고향집 마을 어귀까지 버선발로 작별 인사를 건네는 어머니가 몰래 눈물을 훔치고, 언제 돌아올지 모르는 자식을 위해 소담스러운 밥 한 공기를 아랫목에 따뜻하게 덥혀 놓는 그 시절 어머니를 되살린다.
◇'젊은 트롯맨'의 인생 드라마, 1020과 5070을 담소화락(談笑和樂)으로
트로트는 부모에서 자녀로, 서민들의 입에서 입으로 대물림되며 삶과 가장 가까운 음악 장르로 분류된다. 1세대 작가 반야월 선생이 '흘러간 가요'가 아닌 '흘러온 가요'라고 표현한 것도 바로 그러한 이유다. 친숙하지만, 어쩐지 촌스러워 비주류에 머물렀던 트로트가 대중문화 중심에 오른 건, 주류로 끌어올릴 만한 '판'이 열린 덕분도 있다. 중장년 콘텐츠에 10~20대가 열광하는 오디션을 결합시킨 TV조선 '미스트롯' '미스터트롯'은 트로트를 소비하는 방식도 새롭게 했다.
미스트롯이 탄생시킨 '新5070세대'는 응원하는 가수를 위해 아이돌 전유물이었던 굿즈(공식 팬 상품)를 구매하거나 차트 상위권에 올리기 위한 스밍(스트리밍)을 배우고, 유튜브 영상을 소셜미디어로 공유하는 등 적극적인 수용자로 변신했다. 반대로 '미스터트롯'에 접어들어선 아이돌에 둘러싸여 음악은 파일로만 존재한다고만 믿는 스트리밍 세대가 부모 세상인 줄 알았던 '트롯맨'에 빠지곤 한다. 없던 가족 간의 대화가 생성되고 각자의 '픽(pick)'을 서로 설득시키기도 한다. '트로트 엑스'(2014)와 '팬텀싱어'(2016) 등의 음악감독을 맡았던 권태은 작곡가 겸 음악감독은 "노래방이 아닌 TV를 통해 트로트를 제대로, 집중해서 듣는 것이 요즘이 처음인 1020세대가 상당할 것"이라면서 "신선한 콘텐츠인 데다 트로트 가사는 애절하면서도 해학을 접목할 수 있는 변칙적 포용성이 가장 크기 때문에 젊은이들의 새로운 놀이 문화를 만들어냈다"고 말했다. 트로트가 가진 '흥'의 힘이다.
['미스터트롯'에 담긴 서사]
도전자 인생 오롯이… 단합·우정·양보 등 잃어버린 가치 찾아줘
'미스터트롯' 자체가 지닌 화력도 트로트 붐을 일으키기 충분하다. 이전에 못 보던 진행 방식 덕분이기도 하다. '3분 드라마'라는 트로트의 속성을 최대한 활용해 '인간 극장'급 서사를 집어넣고, 관중보다 더 즐기는 듯한 반응을 서슴지 않는 심사위원의 시선 역시 따뜻하다.
트로트의 한과 흥은 도전자 인생에도 고스란히 담겨 있다. 홀어머니 밑에서 자라 과거 겨울 비수기 때 군고구마를 팔았다는 임영웅(29)은 "고구마 장수는 버킷리스트였다. 하지만 어른들 기억에 비해선 비쌌고, 요즘 세대는 군고구마에 대한 추억이 없어 결국 적자였다"고 쿨하게 웃거나, 어린 시절 부모의 이혼으로 잠시 방황했다는 김호중은 성악으로 새 삶을 찾고, 중학교 때 부모님을 잃은 노지훈은 원하던 가정을 빨리 꾸려 안정된 모습을 보이는 등 굴곡진 인생에 대한 극복과 숙성의 미학을 희로애락 가득한 트로트에 다시 투영해낸다.
주로 혼자 부르는 트로트에 팀 경연을 도입해, 개인주의·경쟁·성과주의가 득세하는 요즘 시대에 찾기 어려운 단합·우정·동지애 등도 보여준다. 팬들이 먼저 알아채는 건 출연자들이 보여준 양보의 미덕. 최근 '트롯에이드' 등에선 팀원의 역량을 최대로 발휘하게 우선권을 주며, 밟고 일어나기보다는 상대 소리를 들으며 완벽한 하모니를 일군다. 그간 우리가 잃어버렸던 가치와 인성이 매회 두 시간 반쯤 진행하는 '트롯맨 극장'에서 영화처럼 구현된다. 오늘의 트롯맨이 보여주는 도전기는 편 가르기, 혐오, 갈등 등이 난무하는 뉴스를 잊게 하는 정서적 탈출구이자 '울분 사회'에 상처 입은 응어리를 어루만져주는 치유제인 셈이다.
-최보윤 문화부 기자, 조선일보(20-02-21)-
=======================
'[세상돌아가는 이야기.. ] > [餘暇-City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사] [미세 먼지 언제까지 중국 탓만 할 건가] .... ['북서풍의 장난'] (0) | 2025.03.21 |
---|---|
[남편이 아내에게 건네는 "미안해" 한마디의 효과] (0) | 2025.03.20 |
[10년 전 빗물 새던 그 식당, 미쉐린 3스타로 떠올랐다] .... (1) | 2025.03.09 |
[진토닉.. 향신료와 함께 '인도의 동쪽'을 마셨다] (0) | 2025.03.09 |
[삼겹살 먹는 '3·3데이'] [삼겹살 같은 고지방 부위 편애… ] ....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