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전라도]

[백운산(白雲山)(전남 광양)] 풍수지리 명당의 교본..

뚝섬 2011. 3. 20. 02:17

[도솔봉에서 바라본 따리봉과 백운산 정상(상봉)]




도선(道詵)으로 부터의 풍수지리설은 고려-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역사흐름에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중요한 역사의 순간순간 그 사건의 원인제공(?)을 하였을 뿐더러,

지난 시절의 우리 선조와 아직도 현대인에게 자못 그 영향력이 큰 것 같다.

이에 대한 나름의 관심은 지대하지만 그 원론만 아는 정도라 이참에

그 이론의 근본이 되는 견본(?)을 실제로 보고 싶었다. 

 

[백운산 정상(상봉)(좌).. 억불봉에서 바라본 상봉과 도솔봉(우)]                                      

 

기대가 크면 실망이 크다고.. 봄 날씨로서는 평균이상이었지만,

나의 그러고 그런 바램은 봄날 특유의 깊은 운무로 허망하게 되어버렸다.

4시간 30여분의 오르락내리락의 산행은 별 특징없는 이른 봄날의 평범한 산행과 이제 막 개화한

매화꽃을 보며 긴 겨울이 가고 또 다시 새봄이 왔음을 느낀 것이 오늘 산행의 주요 실적(?)이다.

 

[매실꽃 축제가 시작된 날..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반야봉, 노고단, 왕증봉, 도솔봉, 만복대 등과 함께 소백산맥의 고봉으로 꼽히며, 전라남도에서 지리산 노고단 다음으로 높다(1218m).

섬진강을 사이에 두고 지리산과 남북으로 마주하고 있다. 진상면 수어저수지로 흐르는 성불계곡과

다압면 금천리로 흐르는 금천계곡, 도솔봉 남쪽 봉강면으로 흐르는 성불계곡, 옥룡면의 젖줄이며 광양읍 동천을 거쳐

광양만으로 흘러드는 동곡계곡 등의 백운산 4대 계곡을 품고 있다.

 

[쫓비산 갈미봉 부근에서 조망한 백운산, 억불봉에서 정상(상봉)으로 이어지는 마루금]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또한, 백운산은 풍수지리의 금과옥조 명당도(明堂圖)의 본을 이루는 산이다.

좌청룡, 우백호, 입수, 안산모두 이 산 모양새를 보고 체계화되었다.

국사(國師)제도도 없던 나말여초(羅末麗初)에 살았음에도 국사로 일컬어지는 도선(道詵)으로 인해서이다.

 

[억불봉(좌)과 도솔봉, 따리봉 그 앞으로 신선대(우)]                                                

                                         

지도를 펴고 600m 등고선을 따라 형광펜을 칠하면, 거기서 떠오르는 백운산은 바다로 날아가는

커다란 새다. 해발 700m 끝자락에서 좌우로 갈리는 도솔봉 남릉은 새의 머리, 오른쪽 줄기는 서쪽으로

불룩한 호()를 긋다 그대로 남류(南流), 광양 진산 내우산(內牛山)으로 뻗어가고 왼쪽 가지는

 동쪽 불룩 초승달 백계산(505m)을 이룬다.

 

[남해로 날아가는 큰새.. ]

 

꽃봉우리처럼 감싸인 가운데에는 암술대 모양의 입수(入首)가 있다.

도선이 머물렀던 옥룡사 터는 그 입수의 끝. 명당을 감싼 좌우 산줄기 양쪽에는 동천과 봉강천이 흐르고

두 내를 다시 억불봉 능선과 비봉산릉이 에워 싸고 있다.

도선으로 비롯된 명당풍수도의 오리지널이 이 산인 것이다.

 

[위로 부터 도솔봉-백운산(상봉)-억불봉.. 아래는 도선국사 마을과 옥룡사.. ]       

 

원래 백계산으로 불리웠다.

옥룡사 터 뒷산만이 아니라 광양, 순천, 구례의 세군에 걸치는 큰 산덩이가 백계산이었다.

도선의 행적을 적은 글에 나오는 옥룡사는 언제나 백계산 옥룡사로 표현되었다.

이 비범한 산은 전국 각지(정선, 원주, 의왕, 함양, 포천, 서울, 양평.. )에 있는 흔하디 흔한

백운산(白雲山-흰구름 뫼)이 아니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분홍색은 2010년 3월28일 쫓비산 산행등로-연두색은 기대하였던 백운산 산행등로(7~8 시간 소요될 것으로 예상.. )]                      

 

[3개의 산행등로.. 쫓비산-백운산-"다른 산행기에서... "의 등로] 

 

산행기록(11-03-19):

진틀(마을)(11:20)-신선대삼거리(12:10)-신선대(13:09)-백운산(상봉)(13:26)-매봉(15:05)-내회(마을)(15:55) [10.5km: 4시간35]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백운산이 있는 광양에서는 매화꽃 축제가 시작되는데.. 북쪽(정안휴게소)은 아직 요원하다..


 

 



 

-산행들머리, 진틀(마을).. 조금 늦은 시각-오전 11:20


 

 



 

 

 




 

 

-봄의 기운이 느껴진다..

 

 




 

 

 




 

 

-한재를 타고 넘어온 능선..

 

 




 

 




 

 

 

 




 

 

 

 

 




 

 

-초반 의외로 큰 너덜..

 




 

 

-신선대 삼거리.. 출발 후 50분 소요..

 




 

 

-신선대 방향으로..

 




 

 

-북적거리던 많은 산객은 상봉 정상쪽으로..

 

 




 

-오름 우측..

 

 




 

-많이 한적해졌다..




 

 

 

-지난 주에 이어 이번 주도 오름길에 벅벅거린다..

 

 




 

-깔딱능선에 올라서도 계속하여 오름길..

 

 




 

 




 

 

 

 

 




 

 

-시야가 트일라나.. ?

 

 




 

-없다..

 

 




 

-신선대..

 

 




 

-정상인..

 

 




 

-상봉..

 

 




 

-정상에 북적거리는 산객의 모습이 잡힌다..

 




 

 

 

 




 

 

-벅벅거리며..

 

 




 

-오르는 길..

 




 

 

-신선대 아래..




 

 

 

 

 




 

 

-상봉이 좀더 시원하게 잡히고..

 

 




 

 




 

 

 

-신선대로 오르는 길이.. ??

 

 

 




 

 




 

 

-상봉..

 

 




 

-시야가 트여 둘러본다.. 1-5, (좌에서 우로.. )

 

 




 

-2-5

 

 




 

-3-5

 

 

 




-4-5

 




 

 

-5-5, 신선대..

 

 




 

-신선대에 오르질 못하고 지나쳐 왔다..

 




 

 

-신선대 위가 무척 넓어 보인다..

 

 

 




 

 

 




 

 




 

 

 

-2시간 6분 만에 정상..

 

 

 




-그 넘의 인증샷 때문에 호젓하게 정상석을 촬영할 수가 없다..

 

 




 

-시야가 좋으면 이 방향으로 지리산, 덕유산이 보인다는데.. 오늘은 꽝..!

 

 




 

-정상에서의 조망.. 1-4, (좌에서 우로) 멀리 억불봉..

 




 

 

-2-4, 들머리, 진틀마을 방향..

 

 




 

-3-4, 도솔봉, 따리봉, 신선대로 이어지는 능선..

 

 

 




-4-4,, 올라온 신선대 방향.. 뒤로 따리봉..

 

 




 

-상봉 아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다른 산행기로 답답한 정상 조망의 아쉬움 해소.. ]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여튼 인증샷때문에 멋진 정상석 촬영은 포기..

 




 

 

-멀리 억불봉으로 이어진 능선을 바라보며..

 

 




 

-상봉에서 내려온다..

 




 

 

-매봉 방향으로..

 

 




 

-조촐한 간식..

 




 

 

-모처럼 앉아 쉬며 억불봉을 조망한다..

 




 

 

 

 




 

 

-매봉으로..

 




 

 

-한참을 가다 뒤돌아 본 상봉..

 




 

 

 

 




 

 

-역시나 뒤돌아 본 상봉..

 




 

 

-내회마을 이정표가 나왔지만..

 




 

 

-매봉으로 계속 직진..

 




 

 

-5~6개의 작은 오르내림..

 

 




 

 




 

 

 

-무척 지루하다..

 

 




 

-시야가 없다보니 지루함이 더하다..

 

 

 




-얼룩배기(?) 나무..

 

 

 




-아직도..?

 




 

 

-마지막 오름..??

 

 




 

-매봉 정상.. 상봉에서 1시간 40분 걸렸다.. 무척 지루했다..

 




 

 

-매봉에서 내회마을로 내려가는 길..

 

 




 

-단 한번의 시야.. 진행 우측 능선.. 1-2

 




 

 

-2-2, 이어진 좌측..

 

 




 

-큰 길이 나오고..

 




 

 

 




 

 

 

-내림길 전면 능선..

 




 

 

-Short Cut(지름길)..

 




 

 

 




 

 

 

 




 

 

 

 




 

 

 

-10.5km.. 4시간 35분 소요..

 




 

 

-땀에 찌든 얼굴을 닦으니 얼마나 시원한지.. !!

 

 




 

-귀경전.. 매화꽃 축제장소로.. 버스 창가로 내다보는 섬진강..






-백운산-쫓비산 주변..

 

 

 




-다리 건너는 하동..

 

 




 

-작년 이맘때 쯤.. 쫓비산 등산할 때..

 

 




 

-그 때는 만발하였었다..

 




 

 

 

 




 

 

-다음 주면 만개할 듯..

 

 




 

 

 




 

 

 




 

 

 




 

 

 

 

 




 

 

 

 




 

 

 

 




 

 

 

 




 

 

 

-앞에.. 섬진강 너머 형제봉(?)..

 




 

 

 

 




 

 

 




 

 

 

 




 

 

 




 

 

 

 

-절 강아지..?

 




 

 

 

 




 

 

-쫓비산 능선..

 

 




 

 




 

 

 

-섬진강..

 




 

 

 

 

 




 

-홍매화..

 




 

 

 

 




 

 




 

 

 

 




 

 

 

 

-이래저래 늦은시간.. 6시 20분경 매실농원을 출발하여 귀경길.. 다행히 고속도로가 전혀 막히지 않아 10경 쯤 복정역 도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산행 당일 시야가 좋지 않아 무척 아쉬운 백운산의 여러 봉우리들.. "다른 산행기에서.. "로 해소하여 본다(고마운 마음으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