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사절’ 팔찌]
[숙취 없고 간에 해롭지 않은 술]
‘술 사절’ 팔찌
개강 맞은 대학가에 ‘술 팔찌’가 등장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알코올 귀요미 팔찌’ ‘술 강권 금지 팔찌’라고 불리는 이 실리콘 팔찌는 몇 년 전 서울의 한 대학 총학생회가 자신의 주량을 색깔로 표시하는 팔찌를 만들어서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때 나눠주면서 확산됐다.
▶신입생 주량을 세 단계로 나눠 술을 못 마시거나 마시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노란색 팔찌를, 얼굴이 살짝 붉어질 때까지만 마시겠다면 분홍색을, 끝까지 마실 수 있다면 검정색 팔찌를 고르게 했다. 또 다른 종류로는 겉면에 ‘술만 받아요’라고 쓰고, 안쪽 면에 ‘마음만 받아요’라고 써서 필요한 대로 뒤집어 사용할 수 있게 한 양면 팔찌도 있다.
▶팔찌나 브로치 같은 작은 액세서리도 때로는 사회적 소통 수단이나 강력한 언어가 될 수 있다. 미국 최초의 여성 국무 장관 매들린 올브라이트는 여성들의 옷 장신구인 브로치를 외교적 상징으로 활용한 ‘브로치 외교’로 유명했다. 이라크 언론이 그를 “사악한 뱀 같다”고 비난하자 유엔 회의장에 뱀 모양 브로치를 하고 나왔다. 열 마디 반박보다 강한 분노의 메시지였다. 러시아 외교 장관을 만날 때는 미사일 모양 작은 브로치를 달고 나갔다. 러시아 장관이 “미사일 모양 브로치냐” 물으니 올브라이트는 이렇게 답했다고 한다. “맞아요. 요격 미사일이죠. 우리는 이렇게 작게 만들 수 있으니 허튼 생각 마세요.”
▶1990년대 초 미국의 화장품 그룹 에스티 로더 가문의 에벌린 로더 여사가 유방암을 겪고 나서 핑크 리본을 만들고 유방암 캠페인을 시작했다. 여성의 가슴이라는 단어를 입 밖에 꺼내는 것이 금기시되던 때였다. 유방암에 대한 인식 개선과 조기 진단의 중요성을 알리는 이 캠페인을 계기로 핑크 리본은 유방암 퇴치의 상징이 됐다. 에이즈 퇴치를 위한 빨간 리본, 동성애자 인권 보호를 위한 무지개색 리본 등도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액세서리다. 국내에서는 세월호 희생자를 위한 노란 리본,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를 위한 후원 팔찌 등으로 이런 액세서리 문화가 젊은 층에 확산됐다.
▶술 팔찌 얘기가 나오자 기성세대는 “그냥 말로 하지, 번거롭게 팔찌까지 만드느냐”는 반응이다. 하지만 ‘의식 팔찌’ ‘기부 팔찌’ 등으로 자신의 의사를 드러내는 것이 젊은 세대에게는 익숙한 세태다. 음주 회식 문화가 달라졌다고는 하나 여전히 젊은 세대에게는 부담스럽고 거북한 경우도 많다. 아직 낯선 자리여서 대놓고 거부 의사를 밝히기 곤란할 때도 있다. 술 팔찌는 이런 음주 문화에 대한 신세대식 저항 화법인 셈이다.
-강경희 논설위원, 조선일보(23-09-06)-
______________
숙취 없고 간에 해롭지 않은 술
아무리 취해도 숙취가 없고(be high as a kite without hangover) 간에 전혀 유해하지도(be toxic to the liver) 않은 술은 없을까.
그런 술이 5년 내에 시판될(come into the market) 전망이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런던 임피리얼칼리지의 신경정신약리학 연구소장 데이비드 너트 교수가 '숙취 없는 술' 인조 합성 알코올(synthetic alcohol)을 개발해 출시 준비에 들어갔다.
너트 교수는 오랜 연구를 통해 술 취하는 기분은 나게 하면서(make you feel tipsy) 숙취는 유발하지(cause hangovers) 않는 알코올 대체 분자(alcohol replacement molecule), 이른바 '알코신스(alcosynth)'를 합성해냈다. 이 성분은 일반 주류와 달리 간 기능을 해치지 않아 간경화(liver cirrhosis)나 간암(liver cancer)을 일으키지 않으며, 정신을 잃도록 만취해(be zonked out into unconsciousness) 실수를 저지르는 것도 방지해준다.
너트 교수는 '알코신스'를 주성분으로 한 이 인조 알코올의 상품명을 가칭 '알카렐(Alcarelle)'로 정했다. 이 합성 알코올은 일반 술과 똑같은 취기를 일으키지만, 술자리를 마치고 45분이 지나면 술기운이 사라져(wear off) 음주로 인한 낭패를 보지 않게 한다. 아무리 많이 마셔도 인사불성이 되지(fall into a dead faint) 않고 간에 어떤 부담도 주지 않는다.
너트 교수는 1983년 박사 과정 때부터 술이 영향을 미치는 두뇌 속 수용체를 자극하는 방법을 알아내기 위해(in a bid to figure out how to stimulate receptors in the brain) 연구를 계속해왔다. 그 결과, 두통·구역질 등 불쾌한 부작용 없이 취기만 느끼게 하는(induce tipsiness without any nasty side effects such as headache or nausea) 수용체를 찾아냈다. 감마아미노 낙산(酪酸), 글루타민산염, 세로토닌, 도파민 등에 영향을 줘 취기·숙취를 유발하는 수용체들을 구분해냈다.
너트 교수가 개발한 알카렐은 임상 실험을 거쳐 5년 내에 시판될 것으로 예상된다. 알코신스의 유효 성분을 어떤 종류의 술에든 넣어만 주고(put its active ingredient into any kind of alcoholic drink) 술 맛이나 알코올 도수는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
너트 교수는 획기적 상품(groundbreaking product)인 알카렐의 출시에 필요한 2000만파운드(약 300억원) 투자 유치 작업을 벌이고 있다(attempt to raise £20million from investors to bring Alcarelle to market). 정신과 의사(psychiatrist)이기도 한 그는 정부의 약물 오용 자문위원회 위원장으로 위촉됐으나 2009년 '알코올이 헤로인이나 코카인보다 사회적으로 더 유해하다(be more detrimental to society)'는 주장을 펼치다가 경질됐다(be sacked).
술로 인한 간 질환(alcohol-related liver disease)은 흡연·고혈압(high blood pressure)과 함께 가장 흔한 사망 원인(the most common causes of death) 중 하나다.
-윤희영 편집국 에디터, 조선일보(19-04-04)-
==========================
'[세상돌아가는 이야기.. ] > [國內-이런저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세 기부왕’의 못 이룬 노벨상 꿈] [노벨 과학상 1호.. ] (0) | 2023.09.15 |
---|---|
[한국이 관광지로 인기 얻는 이유] [ .. ‘한국’이 확 다가왔다] (2) | 2023.09.07 |
[짐만 걸머졌던 (이승만) 대통령 양자 이인수] (1) | 2023.09.04 |
[서양인도 절레절레 고개 흔드는 ‘팁 문화’ 한국이 왜 배우나] .... (0) | 2023.08.30 |
[“꾸준히 하면 언젠가 뜻깊은 날이 온다”] (0) | 202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