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돌아가는 이야기.. ]/[業務-經營] 478

[日 키옥시아·美웨스턴디지털 합병 재추진] [바닥 다진 반도체.. ]

[삼성 제치고 낸드 1위로?… 日키옥시아·美웨스턴디지털 합병 재추진] [바닥 다진 반도체… 9월 수출 99억달러 ‘1년새 최대’] 삼성 제치고 낸드 1위로?… 日키옥시아·美웨스턴디지털 합병 재추진 키옥시아, 은행에 18조 대출 요청 심사 문턱 높아 합병 불발될 수도 일본 키옥시아 낸드플래시 메모리 시장이 회복 기조에 접어들 기미를 보이는 가운데 세계 2위 업체인 일본 키옥시아와 4위 미국 웨스턴디지털의 합병이 다시 추진되고 있다. 두 회사가 실제로 합병할 경우 삼성전자를 제치고 낸드 시장 점유율 1위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2일 일본 재팬타임스와 미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키옥시아는 최근 미쓰이스미토모은행 등 일본 은행 3곳에 최대 2조엔(약 18조원)의 대출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키옥시아의 ..

[반도체 혁명 실리콘밸리의 아버지.. 카이스트의 초석을 놓다]

[반도체 혁명 이끈 실리콘밸리의 아버지… 카이스트의 초석을 놓다] [노이만, 쇼클리... 컴퓨터와 반도체 진화의 역사] [권오현-삼성전자 부회장] 반도체 혁명 이끈 실리콘밸리의 아버지… 카이스트의 초석을 놓다 [민태기의 사이언스토리] 스탠퍼드 공대 터먼 교수, 제자들에게 창업 유도하고 첨단 기업 유치 트랜지스터 발명한 쇼클리의 ‘반도체 연구소’도… 실리콘밸리 탄생 1970년 한국 방문 ‘터먼 보고서’ 작성, KAIST 전신 ‘한국 과학원’ 출범 지난 12일 애플은 최초로 3나노미터(nanometer) 공정이 적용된 아이폰을 발표했다. 반도체에 작은 미세 구조가 필요한 이유는 더 많은 트랜지스터를 넣기 위해서이고, 트랜지스터가 많아질수록 성능은 좋아진다. 애플은 3나노미터 공정으로 칩(chip) 하나에 무..

[AI 반도체 90% 장악한 엔비디아, 누가 독주 막을까]

[“엔비디아보다 1% 싸도 대박” AI 반도체 국내 기업들, 가성비로 싸운다] [AI 반도체 90% 장악한 엔비디아, 누가 독주 막을까] “엔비디아보다 1% 싸도 대박” AI 반도체 국내 기업들, 가성비로 싸운다 [한국 경제의 ‘뉴 엔진’] 국내 기업 경쟁력 지난달 4일 경기 성남시 판교에 있는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사피온 연구소. 연구소 한편엔 사피온의 AI 반도체 X220과 타사 그래픽처리장치(GPU) 성능을 동시에 비교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장비가 놓여있었다. AI가 사진 수백~수천 장 안에 있는 사물을 구별해 내는 작업에서 사피온 X220으로 구동한 AI는 타사 GPU를 기반으로 한 것보다 전력이 52% 적게 들고, 속도는 1.6배 빨랐다.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작업하는 속도에서도 사피온..

[LG 디스플레이 단 삼성 TV… 中 맹추격에 ‘적과의 동침’]

LG 디스플레이 단 삼성 TV… 中 맹추격에 ‘적과의 동침’ OLED 지키려 라이벌 손 잡았다 ‘적(敵)과 동침을 택했다.’ 삼성전자가 지난 14일 83인치 4K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를 국내에 출시하자 시장에서 나온 반응이다. 삼성이 처음으로 자회사 삼성디스플레이가 아닌 LG디스플레이의 OLED 패널을 가져다 생산한 제품이기 때문이다. 글로벌 TV 시장 1, 2위인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서로 디스플레이 기술 규격이 다르기 때문에 자체 계열사에서 생산한 패널로 TV 완제품을 만들어 왔다. 패널 기술이 TV 화질을 결정하는 핵심 경쟁력이기 때문에 함부로 타사 제품을 가져다 쓸 수도 없었다. 하지만 이번엔 이례적으로 라이벌 기업의 패널을 적용한 것이다. 업계에선 이를 두고 “글로벌 TV 시장이 정체..

[틈새 노린 中, 틀어막는 美] [“한국-대만 반도체 협력 강화해야]

[틈새 노린 中, 틀어막는 美] [“우리가 급소 쥐어… 中 아무것도 못 해”] [“한국-대만 반도체 협력 강화해야 中-北 위협도 대처 가능”] 틈새 노린 中, 틀어막는 美 中 “핵심 장비 독자개발”… 美는 구형 반도체까지 제재 확대 미국과 중국의 반도체 전쟁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미국의 강력한 수출 통제 정책에도 불구하고, 중국 반도체 기업이 자체 기술로 핵심 장비 개발에 성공했다. 미국은 유럽연합(EU)과 함께 구형 반도체까지 제재 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 지난 3일(현지 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국영 반도체 기업 상하이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MEE)는 연말까지 100% 중국 기술로 개발한 28나노(nm·1나노는 10억분의 1m) 심자외선(DUV) 노광 장비 ‘S..

[참치 회사는 어떻게 이차전지 시장을 뚫었나] [닌텐도의 성공.. ]

[참치 회사는 어떻게 이차전지 시장을 뚫었나] [닌텐도의 성공 비밀] 참치 회사는 어떻게 이차전지 시장을 뚫었나 참치 넣으려 캔 제조업 시작… 그 기술로 배터리 캔 시장 진입 완전히 새로운 영역 뚫기보다 잘하는 기술 확장해 ‘혁신의 사슬’ 1960년대 태평양을 누비던 청년 선장 김재철의 배를 일본 원양어선들이 뒤쫓았다. 원양어선에 어군 탐지기도 변변찮았던 시절 김 선장은 참치 배에서 소화 덜 된 생선을 꺼내 원주민들에게 보여준 뒤 그 생선이 많은 해역을 물어서 그 길목을 지키다 참치 떼를 쓸어 담고 있었는데, 일본 어선들은 그 비법을 몰랐던 것이다. 이렇게 시작됐던 참치잡이 회사의 혁신은 지금도 이어진다. 반도체, 양자역학, 이차전지 정도 돼야 혁신 기업이라 불릴 것 같은 시대에 오늘은 참치 회사의 60..

[팹리스, 韓 150:中 3800인 까닭] [대만 TSMC는 초호황인데.. ]

[팹리스, 韓 150:中 3800인 까닭] [대만 TSMC는 초호황인데 침체 시작된 한국 반도체] [“타도 TSMC” 삼성전자, 혹한기 이겨낼 M&A 밑그림 나왔다] 팹리스, 韓 150:中 3800인 까닭 “엔비디아는 실리콘밸리 데니스(미국의 저렴한 레스토랑 체인)에서 탄생했습니다. 4시간 동안 커피 10잔을 시켜놓고 작업을 하다 보니 나중엔 식당 뒤편의 방으로 쫓겨났죠(젠슨 황 엔비디아 창업자).” 인공지능(AI) 반도체로 쓰이는 GPU(그래픽처리장치)를 만드는 미국의 엔비디아는 지금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팹리스’다. 챗GPT와 같은 AI의 90%가 엔비디아 반도체로 구동된다. 생산은 대만 TSMC에 맡기고 공장 없이(fab less·팹리스) 반도체 설계에만 집중하는데도, 기업가치(시가총액)가 1조..

[반도체 ‘2나노 전쟁’… 삼성-TSMC 생존게임] ....

[반도체 ‘2나노 전쟁’… 삼성-TSMC 생존게임] [삼성 “2025년 최첨단 2나노 양산”… 반도체 총력전 선두에 서야] 반도체 ‘2나노 전쟁’… 삼성-TSMC 생존게임 삼성 “2025년 모바일용부터 양산” 구체적 생산 로드맵 처음으로 밝혀 대만 TSMC도 2025년 양산 목표 美인텔-日라피더스도 뛰어들어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2나노 전쟁’이 본격화됐다.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 등에 필수적인 첨단 반도체 생산을 위해 한국 대만 미국 일본 등 반도체 강국이 모두 뛰어든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27일(현지 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3’에서 2나노 공정 양산 계획을 구체화했다.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고객사와 파트너사 등 700여 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