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돌아가는 이야기.. ]/[業務-經營] 478

[박영선 “삼성 잡는 저승사자? 나는 지금 반도체에 미쳐있다”]

박영선 “삼성 잡는 저승사자? 나는 지금 반도체에 미쳐있다” [김윤덕이 만난 사람] ‘반도체 주권국가’ 펴낸 박영선 박영선 前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 회장, 최태원 SK 회장을 "디지털로 세상을 바꾼 선장들"이라고 말하며, "세 사람의 어깨에 대한민국의 경제와 미래가 걸려 있다"고 했다. 정치판을 떠난 박영선은 편안해 보였다. 책은 매일 새벽 4시에 일어나 집필했다고 했다. “반도체 인재 양성이 급한데 모두 의대로 몰려가 걱정”이라고 했다. /이태경 기자 왕년에 배구 선수였다는 말이 있을 만큼 박영선은 키가 컸다. ‘저격수’의 맹렬했던 기운은 느껴지지 않았다. 서울시장 낙선 후 하버드대 케네디스쿨에서 반도체를 파고들었다고 했다. ‘반도체 주권국가’(나남)라는 제목의..

[삼성물산, 메르데카 118 완공] [부르즈 칼리파]

[삼성물산, 메르데카 118 완공] [부르즈 칼리파] 삼성물산, 메르데카 118 완공 콘크리트 한번에 510m 쏘아올렸다...삼성의 679m빌딩 기술 세계 1위 빌딩 이어 2위도 ‘메이드 바이 코리아’ 지난 10일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 중심부에 우뚝 솟은 초고층 빌딩 ‘메르데카 118′ 앞. 말레이시아 압둘라 국왕 부부 등 최고위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빌딩 개관식이 열렸다. 이 빌딩은 지상 118층에 꼭대기 첨탑을 포함한 높이가 679m. 아랍에미리트에 있는 ‘부르즈 할리파(828m)’에 이어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건물이 완공된 것이다.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에 위치한 메르데카 118/삼성물산 로이터연합뉴스 이 빌딩의 시공사는 국내 건설업체인 삼성물산. 앞서 세계 최고층 빌딩 1위인..

[전기차 원조는 에디슨인데... 대세는 그의 라이벌 ‘테슬라’] ....

[전기차 원조는 에디슨인데...대세는 그의 라이벌 ‘테슬라’라네] [테슬라의 ‘교류’와 에디슨의 ‘직류’, 탄소중립 시대 ‘전력 반도체’로 만났다] 전기차 원조는 에디슨인데...대세는 그의 라이벌 ‘테슬라’라네 “인류를 인류답게” 전기차 원조 에디슨 1913년 토머스 에디슨이 만든 전기차. 미국 디트로이트 자동차 회사가 외형을 만들고 에디슨이 만든 축전지를 달았다. /위키피디아 발명가 토머스 에디슨에게 최강 라이벌은 니콜라 테슬라였다. 그 에디슨이 만든 ‘세계 최초’ 가운데 전기차가 있다. 세 대를 만들었는데 한 대는 대한민국에 있다. 지금 전기차 시장을 주름잡는 사람은 일론 머스크다. 머스크가 만든 전기차 이름은 ‘테슬라’다. 그 테슬라가 맞는다. 꼬리를 무는 전기 전쟁. 인류를 바꾼 전기 1776년 ..

[‘글로벌 사우스’를 챙길 때다] [‘탈중국’ 수혜 누리는 인도] ....

[‘글로벌 사우스’를 챙길 때다] [“2031년까지 연 7% 경제성장”… ‘탈중국’ 수혜 누리는 인도] [그들의 목소리가 커진다, 인구·자원 무장한 '글로벌 사우스'] [중국보다 10살 젊다...인도, 10년뒤 세계 경제 넘버2 넘보는 이유] ‘글로벌 사우스’를 챙길 때다 [朝鮮칼럼] 인도 등 亞·阿·남미의 130여 국 북반구 선진국 맞서 협력·연대 도덕주의보다 현실주의 입각.. 美中 택일 없이 선택적 협력 한국이 글로벌 중추 국가 되려면 지역별 맹주와 협력틀 만들어야 성공스토리·상생길 공유할 때 그들도 한국 G7 공감해 줄 것 지난 1월 화상 회의 형식으로 열린 '글로벌 사우스의 목소리' 정상회의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발언하고 있다. /인도 외교부 대한민국이 2024년 ‘글로벌 중추 국가’ 실..

[美中 갈등이 만든 ‘칩 워’...K반도체가 새해 넘어야 할 변수들] ....

[美中 갈등이 만든 ‘칩 워’...K반도체가 새해 넘어야 할 변수들] [박정희가 공들인 전자도시 구미, K반도체의 또 다른 승부처] 美中 갈등이 만든 ‘칩 워’...K반도체가 새해 넘어야 할 변수들 지난 12월 12일(현지시간) 네덜란드를 국빈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왼쪽 다섯째)이 현지 반도체장비 생산기업인 ASML의 클린룸을 시찰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 크리스토프 푸케 ASML 최고사업책임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피터 베닝크 ASML 회장, 윤 대통령, 빌럼 알렉산더르 네덜란드 국왕, 제프리 반 리우웬 국제통상개발협력 장관, 최태원 SK그룹 회장. photo 뉴시스 지난 한 해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은 반도체 업황 회복이 가시화되고 있다..

[日 ‘AI 반도체’ 군침.. 韓, 특혜 논란속 지원 헛바퀴] ....

[日 ‘AI 반도체’ 군침… 韓, 특혜 논란속 지원 헛바퀴] [日-TSMC의 ‘밀월’] [‘10년 내 日 반도체 韓 재추월’… 이런 날 올 수도] [“반도체는 국가 존망의 열쇠, 일본엔 마지막 기회”] 日 ‘AI 반도체’ 군침… 韓, 특혜 논란속 지원 헛바퀴 [일본 반도체의 역습] 한국의 반도체 지원 지지부진 日, TSMC-마이크론 공장 유치… 기술 협력 통해 경쟁력 강화 나서 美정부 지원 업은 인텔도 맹추격 한국 ‘K칩스법’ 실질 효과 미미… 일부선 “최저한세 폐지 등 필요” “일본 기업도 인공지능(AI)이 만들어 낸 반도체 성장 시장에서 뒤처져선 안 된다.” 일본 경제주간지 닛케이비즈니스는 10월 특집호에서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 급부상을 조망하며 이같이 강조했다. 미래 ‘반도체 패권’을 잡기 위해..

[“삼성·TSMC 잡겠다” 인텔, 전쟁 중인 이스라엘에 32조원 투자]

“삼성·TSMC 잡겠다” 인텔, 전쟁 중인 이스라엘에 32조원 투자 파운드리 라인, 2028년 완공 목표 ‘반도체 파운드리 부활’을 노리는 미국 인텔이 전쟁 중인 이스라엘에 250억달러(약 32조5000억원)를 투자해 신규 생산 라인을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26일(현지 시각) 확정했다. 지난 6월 처음 알려진 이 투자 계획은 전쟁 발발로 실행 여부가 불확실했다.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스라엘 정부는 인텔이 이스라엘 중부 키르얏 갓 지역에 신규 파운드리 생산 라인인 ‘팹38′을 건설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이스라엘에 짓는 인텔의 세 번째 파운드리 라인으로, 2028년 완공이 목표이다. IT 전문지 톰스하드웨어는 “신규 공장에는 인텔의 포스트 18A 미세 공정을 도입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美, 中 범용반도체도 견제… 정교한 통상외교로 국익 지키라]

[美, 中 범용반도체도 견제… 정교한 통상외교로 국익 지키라] [美 반도체 규정, 韓 요구 일부만 수용… 피해 줄일 방안 찾아야] 美, 中 범용반도체도 견제… 정교한 통상외교로 국익 지키라 미국 정부가 중국산 저가 범용 반도체를 자국 기업들이 얼마나 수입해 사용하고 있는지 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미국 기술, 장비를 이용한 첨단 반도체의 대중 수출을 차단한 데 이어 저가 물량 공세를 펴는 중국산 반도체 수입까지 통제함으로써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꺾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미국 상무부는 내년 1월 중 자동차, 항공우주, 방위산업 분야 100곳 이상 자국 기업의 범용 반도체 수급 실태를 파악할 예정이다. 조사를 벌이는 이유는 미국의 반도체 공급망을 강화하는 동시에 중국이 제기하는 국가안보 위험을 줄이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