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도·간벌·인공강우]
[산불은 바뀌는데 우리는 그대로다]
임도·간벌·인공강우
2022년 3월 울진 산불 때 응봉산 권역은 산림 면적의 19%가 탔다. 반면 인근 소광리 지역의 피해는 6%에 그쳤다. 두 곳의 피해 규모를 가른 것은 임도(林道·임산도로)였다. 소광리는 임도가 있어 소방차가 올라가 불을 잡았지만, 응봉산 임도는 너무 짧았다. 임도가 있으면 물 3t을 실은 소방차에서 호스를 2km까지 뽑아 산불과 직접 싸울 수 있다. 소방 헬기가 뜰 수 없는 야간에도 진화가 가능하다. 임도 유무에 따라 산불 진화 효율은 5배 차이가 난다고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 임도는 일본의 6분의 1, 독일의 13분의 1이다. 환경 단체 등은 산림 훼손, 야생동물 서식지 파괴, 산사태를 우려해 산에 길을 내는 데 반대하고 있다.
▶민둥산이던 한국 산은 녹화 사업 성공으로 울창해졌다. 그런데 숲이 지나치게 빽빽하면 작은 나무와 낙엽 등이 산불의 연료로 쌓인다. 불씨가 빽빽한 나무들 윗부분으로 더 잘 옮겨붙기 시작하면 빠르게 번진다. 나무 간격 유지를 위해 솎아 베는 것이 간벌(間伐)이다. 잡목이 줄어 소방 활동도 쉬워진다. 반면 간벌을 하면 바람이 잘 통해 산불이 더 확산할 수 있고 작은 동물의 서식지를 망칠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
▶베이징 근무 때 밤 하늘에서 대포 소리가 나면 다음 날 아침에 보슬비가 내리곤 했다. 중국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인공강우’로 대기를 깨끗하게 만들었다. 2018년 네이멍구 산불 때도 인공강우를 했는데 “수천 명이 화재 진압에 나선 효과”라고 했다. 인공강우는 일반 구름에 수분을 빨아들이는 화학물질을 뿌려 비구름으로 바꾸는 것이 핵심이다. 1946년 미국이 처음 성공한 기술이다. 우리 기상청도 2018년 기상 항공기를 도입해 관련 실험을 하고 있다.
▶인공강우 기술이 아무리 발달해도 없는 구름을 만들 수는 없다. 그런데 ‘괴물 산불’이 휩쓴 경상권은 건조 특보가 이어질 정도로 구름이 없고 대기가 메말랐다. 강풍이 불면 산불 지역에 빗방울을 정확히 떨구기도 어렵다. 인공강우로 산불을 끄기는 어려운 조건이었다. 현재 기상청 목표는 매년 건조기에 인공강우로 숲을 적셔 놓아 대형 산불을 예방하는 것이다.
▶최악 산불 사태에 네티즌들은 “세차만 하면 비 온다는 분들 모이자” “이불 빨래하면 비 온다는 분들도”라는 글을 올렸다. 기후변화로 한반도 여름엔 강수량이 늘어 나무와 풀이 더 무성하게 자라고 겨울과 이른 봄엔 마른 장작으로 변한다는 우려가 크다. 임도, 간벌, 인공강우 등 뭐든지 검토해야 할 시점이다.
-안용현 논설위원, 조선일보(25-03-29)-
______________
산불은 바뀌는데 우리는 그대로다
21일 경남 산청을 시작으로 영남권 곳곳을 휩쓴 대형 산불은 4만 ha 넘는 산야를 잿더미로 만들었다. 무엇보다 안타까운 건 30명 가까운 인명이 희생됐다는 점이다. 1987년 산림청이 산불 피해를 공식 집계한 이래 최악의 피해다.
100세 할머니가 불붙은 집에서 빠져나오지 못해 유명을 달리했고, 80대 노인 3명은 대피 차량이 불티로 폭발하면서 함께 산화하고 말았다. “엄마 얼마나 뜨거웠을까” 오열하는 유족 인터뷰를 보며 가슴이 먹먹해 한동안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았다. 더욱 속상했던 건 이 참화(慘火)가 고작 라이터를 켠 성묘객, 예초기 불티를 방치한 작업자 등 기본 안전 수칙을 지키지 않은 사람들의 실수에서 비롯됐다는 점이다.
산불은 변하고 있다. 앞으로 더 자주, 더 크게 일어날 것이다. 기후변화로 한반도의 봄이 고온·건조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산불도 강한 바람, 건조한 공기, 높은 기온 등 3중 악조건 탓에 더 크게 번졌다. 가장 많은 사망자를 낸 경북 의성 산불의 경우 안동을 거쳐 영덕으로 확산하는 데 고작 한나절밖에 안 걸렸다. 빠르게 번지는 불은 당연히 끄기 어렵다. 앞으로 산불은 이전과 달리 많은 사상자를 낼 수 있다.
그런데 우리 모습은 달라진 게 없다. 2024년 산불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산불의 원인은 입산자 실화(失火)가 31%, 논밭두렁이나 쓰레기 소각 24%, 담뱃불 실화 7%, 성묘객 실화 3%다. 10년간 최소 65%의 산불은 사람의 부주의로 난 셈이다.
여전히 몰지각한 불법행위도 쉽게 목격된다. 산 인근에서 농산부산물과 쓰레기를 소각하는 모습이 대표적이다. 엄연히 불법인데 농민들 사이에선 단속원들 퇴근 이후 소각하면 단속을 피할 수 있다는 팁까지 돈다고 한다. 담배꽁초를 아무렇게나 버리는 사람도 여전하다. 화기 사용이 금지된 산에서 야영하며 불 피운 영상을 자랑처럼 소셜미디어에 공유하는 유튜버도 있다.
어릴 때부터 어린이집과 학교에서 산불 예방 교육을 통해 잘못된 행동과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명확히 가르쳐야 한다. 어린이 불장난으로 인한 산불의 경우 꾸준한 계도 덕에 횟수가 1990년대 연평균 14건에서 2020년대 1건 미만으로 뚝 떨어졌다. 요행을 바라는 잘못된 인식을 없애기 위해 단속도 강화해야 한다. 인력이 부족하다면 폐쇄회로(CC)TV, 드론, 신고 포상제 등을 적극 고려해 볼 수 있다.
처벌 수위 역시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현재 산림 및 그 인접 지역에서 불을 피우다 적발되면 1차 위반 시 30만 원, 2차 40만 원을 내고, 3차 이상 적발돼도 50만 원만 내면 된다. 산불을 내도 3년 이하 징역, 3000만 원 이하 벌금이 끝이다. 방화면 7년에서 15년 이하 징역형을 받지만 지난해 산불로 징역형을 받은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고 한다.
역대 세 번째 규모인 2022년 경북 울진·강원 삼척 산불은 차를 타고 가던 운전자가 버린 담배꽁초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됐다. 결국 범인을 잡지 못했지만 부디 당사자는 자신이 버린 작은 불씨가 수많은 삶의 터전을 잿더미로 만들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길 바란다. 산불을 초래하는 모든 행위는 범죄다. 그저 작은 불씨란 없다. 부디 이번 산불로 얻은 교훈이 변화의 불씨가 되길 기원한다.
-이미지 사회부 차장, 동아일보(25-03-29)-
=======================
'[산행] > [산-산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철 산불 막으려 세종대왕도 “寒食 땐 불 사용 금지”] .... (0) | 2025.04.03 |
---|---|
[압도적 능력 군 수송기 대형 산불 진압 투입 검토를] .... (1) | 2025.04.01 |
[산..!] [35] 주작산(朱雀山)-덕룡산(德龍山)(전남 강진) (0) | 2025.03.29 |
[초대형 재난 된 산불, 대응 체계 전면 변화를] [어른 불장난] .... (0) | 2025.03.28 |
[북한산(北漢山)] .... [노고산(老姑山)(경기 양주)] (1)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