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609

[금산] 대둔산(大芚山)

대둔산(大芚山)(전북 완주): 노령산맥 줄기가 김제의 만경평야를 향하다 금산지역에서 독립된 산군을 이루며 절경을 이룬 곳이 대둔산(마천대 879m). 호남의 소금강이라 불리는 이 산은 정상인 마천대를 비롯하여 사방으로 뻗은 여러 산줄기가 어우러져 칠성봉, 장군봉 등 멋진 암봉을 이루고, 삼선 바위, 용문골(장군봉, 칠성봉), 금강통문(동심암, 금강암, 약수터, 삼선암, 왕관암, 마천대) 등 사방으로 기암괴석과 수목이 한데 어우러져 산세가 수려하다. 마천대에서 북쪽 능선을 따라 낙조대에 이르는 구간은 특히 장관으로 이 낙조대에서 바라보는 일출, 일몰 광경이 일품이다. 1977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관광객을 위해 케이블카, 금강 구름다리 등이 설치되어 새로운 명물이 되었다.______________    ..

[여행]/[국내] 2025.01.25

[강경] 젓갈왕국 [강릉] 곰치국 [삼척] 섭국

[강경] 젓갈왕국 [강릉] 곰치국 [삼척] 섭국   밥 한 술에 젓갈 한 젓가락… ‘젓갈왕국 도읍’서 만난 백반정식 [김도언의 너희가 노포를 아느냐] 충남 논산시 강경읍 ‘만나식당’의 젓갈백반정식.  충남 강경에 왔다. 목적은 아주 강경하고 명백한 단 한 가지. 젓갈백반정식을 맛보기 위해서다. 한국 사람들은 입맛이 없을 때 흰밥을 물에 말아 짭조름한 젓갈을 올려 먹곤 한다. 그런데 참 신기하게도 딱히 영양소랄 것도 없을 그 단출한 조합이 잃었던 입맛을 돌아오게 하고 원기를 불어넣어 준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농경을 기반으로 하되 바다를 끼고 있어 어업을 병행하는 나라는 젓갈 형태의 음식이 있다. 농경을 통해 쌀이나 밀 같은 작물을 수확해 주식으로 삼을 경우 영양학적으로 인간에겐 필연적으로 나트륨에 대한 결..

[여행]/[국내] 2025.01.05

[문경∙예천] 대승사(大乘寺)-석송령(石松靈)

-대승사 윤필암 -석송령                 대승사(大乘寺):대한불교 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 사불산 산마루에는 사면(四面)석불상이 있는데 (삼국유사) 권3 (사불산조)에 587년(신라 진평왕 9) 커다란 비단 보자기에 싸인 사면석불이 공덕봉(功德峰) 중턱에 떨어졌는데, 사면에 불상이 새겨진 4불암이었다. 왕이 소문을 듣고 그곳에 와서 예배하고 절을 짓게 하고 ‘대승사’라고 사액(賜額)하였다. 망명비구(亡名比丘)에게 사면석불의 공양을 올리게 하였고, 망명비구가 죽고 난 뒤 무덤에서 1쌍의 연꽃이 피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 뒤 산 이름을 사불산 또는 역덕산(亦德山)이라 하였다. 1644년(인조 22)과 1722년(경종 2)에 의현(義玄), 종수(鍾守) 등이 중수하였고, ..

[여행]/[국내] 2025.01.01

[원주] 치악산 참숯가마

[원주] 치악산 참숯가마 참숯:참나무 따위를 구워서 만든 숯.                                                                                                                                ____________________   "강원도 한복판에 웬 숯가마?" 혈세 130억짜리 유령 건물 강원 영월군 상동읍 내덕리 일대에 130억원 이상을 들여 조성한 숯가마 중심 힐링 센터 ‘수피움’. 서울 도심에서 자동차를 타고 3시간을 넘게 달려야 도착하는 강원도 영월군. 이런 외곽지역인 영월군에서도 인적이 드문 선바위 산자락 일대에 웬 숯가마가 30기나 설치된 건물이 방치돼있다. 영월군이 약 130억원을 들여 국내..

[여행]/[국내] 2024.12.25

[동해선.. 강릉~부산 기차 여행]

동해선.. 강릉~부산 기차 여행 동해의 비경 품고 달리는 '낭만 철도' 동해선이 온다동해선 개통으로 뜨는강릉~부산 기차 여행 1월 1일 개통을 앞둔 동해선의 안인~정동진 구간을 KTX가 달리고 있다. 동해선엔 'ITX-마음' 등이 우선 투입 예정이다. 1년 뒤 'KTX-이음'이 투입되면 강릉부터 부산까지 3시간 이내 주파가 가능해진다./코레일 한반도의 등줄기를 잇는 동해선 열차가 개통 초읽기에 들어갔다. 동해중부선 삼척~포항(166.3㎞) 개통으로 강릉~부전(부산)을 잇는 동해선 전 구간이 연결되면 동해의 거대한 축을 잇는 철도망이 드디어 완성된다. 개통 일자가 당초 12월 31일에서 1월 1일(개통식 12월 31일)로 미뤄졌지만, 오래 기다려온 만큼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1년 후 시속 260km의 ..

[여행]/[국내] 2024.12.22

[驪州] 영릉(英陵)∙신륵사(神勒寺)

-영릉(여주시 세종대왕면, 구 능서면) -신륵사(여주시 북내면)                   영릉(英陵):세종대왕릉. 조선 세종과 그 비 소헌 왕후의 능. 당시의 경기도 광주, 현재의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에 있던 것을 예종 1년(1469)에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으로 옮겼다. 근처에 있는 영릉(寧陵)과 함께 우리나라 사적으로, 사적 정식 명칭은 ‘여주 영릉과 영릉’이다 신륵사(神勒寺):신라 진평왕(眞平王)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였다고 하나 확실한 근거는 없다. 고려 말인 1376년(우왕 2) 나옹(懶翁) 혜근(惠勤)이 머물렀던 곳으로 유명한데, 200여 칸에 달하는 대찰이었다고 하며, 1472년(조선 성종 3)에는 영릉 원찰(英陵願刹)로 삼아 보은사(報恩寺)라고 불렀다. 신륵사로 부르게 된 유래는..

[여행]/[국내] 2024.12.15

[대한민국의 특별한 순간]

대한민국의 특별한 순간 대한민국 관광공모전 사진 전시회, 오는 15일까지 대한민국 관광공모전(사진부문) 디지털카메라 부문 '대상' 수상작 김태현 작가의 '흔적'. /한국관광공사 “와…여기가 한국이라고?” 지난 2일 서울역 3층 대합실에서 열리고 있는 2024 대한민국 관광공모전 사진 전시회 ‘특별한 순간(Amazing Moment)’을 찾은 한 관람객의 탄성이 이어졌다. 열차 시간이 남아서인지 한참을 머물다 간 한 관람객은 “생각보다 우리나라에 가볼 곳이 너무 많은 듯 하다. 한 자리에서 이런 풍경을 봐서 고맙고 뿌듯하다”고 했다. 지난 2일 서울역 3층 대합실에서 열리고 있는 2024 대한민국 관광공모전 사진 전시회 '특별한 순간(Amazing Moment)'. /남강호 기자 이번 전시회에서는 2024..

[여행]/[국내] 2024.12.08

[은행나무의 전설] [원주] 벼랑길 도는 ‘원주율’ 363m…

[은행나무의 전설] [원주]  벼랑길 도는 ‘원주율’ 363m… 아찔한 가을에 간담 서늘    은행나무의 전설 [권재륜의 오감도(五感圖)]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군중이 이 나무의 규모를 강조할 수 있는 배경이자 소품(?)처럼 보인다. /권재륜 사진작가 은행나무에는 전설이 많다. 강제규 감독의 영화 ‘은행나무 침대’(1996)처럼 1000년 전 궁중 악사와 공주의 환생 이야기로 거듭나기도 한다. 양평 용문사에 가면 1100~1500살로 추정되는 아파트 15층 높이(42m),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되고 키 큰 은행나무를 만날 수 있다. 기나긴 세월을 불타지 않고 꺾이지 않고 병들지 않고 살아남았다. 이 나무는 통일신라, 고려, 조선, 대한민국까지 역사를 지켜본 셈이다. 의상대사, 마의태자의 전설도 깃들어 ..

[여행]/[국내] 2024.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