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609

[忠州] 고구려비(高句麗碑)

충주 고구려비(忠州 高句麗碑):충주 고구려비 또는 중원 고구려비는 한반도에서 발견된 유일한 고구려비로 5세기 고구려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비의 높이는 2.03 m, 폭은 55 cm, 두께는 33 cm이고,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용전리 입석마을에 소재한다. 1981년 3월 18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205호로 지정되었다. 2006년에는 충주시 차원에서 국원 고구려비(國原 高句麗碑)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UNESCO World Heritage Site)에 등재를 구상하였다. 2019년 충주 고구려비가 장수왕시기에 건립된 것이 아니라 광개토태왕이 건립했다는 가설이 나왔다. 새로 판독한 문자에 의하면 '영락7년세재정유(永樂七年歲在丁酉)'라고 써있었으며 영락(永樂)은 광개토태왕이 즉위하고 붕어..

[여행]/[국내] 2024.11.18

[김밥·라면 다음은 튀김 축제인가] [반짝했다 꺼질라 가슴 철렁… ] ....

[김밥·라면 다음은 튀김 축제인가] [반짝했다 꺼질라 가슴 철렁… 전국이 출렁인다] [손혜원은 나오시마에서 무엇을 봤나]   김밥·라면 다음은 튀김 축제인가 전국의 지방 축제 연 1170건지역 소멸 시대 고육지책 이지만먹거리만 잘 팔면 성공 축제인가지역 공동체 결속이 더 중요하다 일본 후라노 헤소 마쓰리(Hokkai Heso Matsuri·배꼽 축제). /일본 후라노 관광청 페이스북 삿포로에서의 1년은 제법 흥미로운 시간이었다. 워킹홀리데이를 떠나며 단지 더운 게 싫다는 이유로 일본 열도 최북단 홋카이도에 있는 삿포로를 택한 것이었지만, 그 1년 동안 홋카이도의 매력에 푹 빠져들지 않을 수 없었다. 관광과 농업이 주요 산업인 홋카이도에서는 크고 작은 축제가 끊이지 않는다. 대자연의 은혜로 먹고사는 홋카이..

[여행]/[국내] 2024.11.13

[충주호(忠州湖)]

-충주호 댐..-월악산..                충주호(忠州湖): 충북 충주시·제천시·단양군에 걸쳐 있는 인공호수. 면적 67.5㎢, 높이 97.5m, 길이 464m, 저수량 27억 5000t으로, 1985년 충주시 종민동·동량면 사이의 계곡을 막아서 만든 충주댐으로 인해 조성되었다. 육지 속의 바다로 불릴 만큼 소양호(29억t) 다음으로 담수량이 큰 호수이다. 주변 경관이 뛰어나고, 풍부한 수량과 넓은 수면, 심한 굴곡과 경사도로 인해 붕어·잉어·향어·백연·떡붕어·송어 등의 어종이 풍부해 사철 낚시꾼으로 붐빈다. 주변에 월악산국립공원·청풍문화재단지·단양팔경·고수동굴·구인사· 수안보온천·노동동굴·충주호리조트 등 관광명소가 많다. 충주댐나루터에서 신단양(장회)나루까지 52km에 걸쳐 쾌속 관광선과 유..

[여행]/[국내] 2024.11.11

[문경] 하늘재(오가는 길.. )

-수리봉-성주봉-운달산-단산..                하늘재:문경시와 충주시를 잇는 고개. 고구려와 백제의 영토 분쟁 역사가 전해오는 오랜 역사의 옛길로, '하늘재'는 계립령 중 미륵리 절터에서 문경으로 넘어가는 고개의 이름이다.________________  -성주봉-운달산-단산..                        -수리봉(598m)-성주봉(911m)..    -성주봉-운달산(1097m)..    -단산(956m)..    -탄항산-(하늘재)-포암산..    -포암산(961m)..    -탄항산(857m)..    -포암산(베바위)..    -여우목고개 방향..              -대미산(1115m)..    -신주봉(830m)-국사봉(727m)-운달산..               ..

[여행]/[국내] 2024.11.04

[괴산∙음성] 문광저수지-봉학골삼색길의 가을..

문광저수지2km의 은행나무길이 둘러싸고 있는 저수지로 전형적인 작은 농촌마을인 양곡리에 위치하여 농업용수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과 방문객의 산책과 명상을 함께 할 수 있는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1978년 5월에 준공하였고 준계곡형의 저수지로 주변에 숲이 우거져 있고 고목이 많아 전경이 아름답다. 저수지 입구에는 가로수길이 설치되어 있고 가을이면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를 감상할 수 있다._______________  [문광저수지]                                                                                                      __________________    [봉학골삼색길]                   ..

[여행]/[국내] 2024.11.02

[안동] [시간을 이겨낸 간고등어…35년 손맛으로 펄떡대다] ....

[시간을 이겨낸 간고등어…35년 손맛으로 펄떡대다 ][육즙을 움켜쥐듯 머금은 생갈비, 그 단단한 위안] [나무의 시간(용계리 은행나무)]   ---[김도언의 너희가 노포를 아느냐]--- 시간을 이겨낸 간고등어…35년 손맛으로 펄떡대다  경북 안동시 성전식당의 된장찌개 간고등어구이 백반. 김도언 소설가 제공 안동으로 맛기행을 가면서 내심 간고등어 백반을 첫손에 꼽았다. 안동은 찜닭과 한우갈비도 유명하지만 가장 서민적이면서도 보편적인 음식으로 한국인들의 허기를 달래준, 감히 ‘국민 솔 푸드’라고 해도 부족함이 없는 안동 간고등어를 안 먹어 본다는 것은 그 원천을 소유한 고장에 대한 예의가 아닐 테니까.언젠가 이 연재 코너에 썼지만, 나는 인생이란 별것 아니라 먹어본 음식의 가짓수가 늘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여행]/[국내] 2024.10.27

[문경] 문희농원...

문희농원:오팜스라는 이름으로 운영되었던 문희농원(문경시 가은읍 대야로 893-41)은 속리산국립공원 자락에 위치한다. 봉천사급으로 넓은 개미취 군락이 있고, 입장료없이 공간을 개방해줘 여러 꽃들과 더불어 고즈녁한 공간을 여유롭게 둘러볼 수 있다.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   [2024 괴산(청천면) 구절초 축제]                                                      ..

[여행]/[국내] 2024.10.26

[서울] 서울.. 그곳..

덕수궁(德壽宮):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조선시대 고종의 거처로 이용된 궁궐. 사적. 개설 덕수궁은 처음 월산대군의 집터였던 것을 임진왜란 이후 선조의 임시거처로 사용되어 정릉동 행궁으로 불리다가 광해군 때에 경운궁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1907년 순종에게 양위한 고종이 이곳에 머무르게 되면서 고종의 장수를 빈다는 의미에서 덕수궁(德壽宮)이라 다시 바꾸었다. 1897년(광무 1)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에서 이곳으로 거처를 옮긴 이후부터 중화전을 비롯하여 정관헌, 돈덕전, 즉조당, 석어당, 경효전, 준명전, 흠문각, 함녕전, 석조전 등 많은 건물들을 지속적으로 세워졌다. 이곳은 고종의 재위 말년의 약 10년간 정치적 혼란의 주무대가 되었던 장소로, 궁내에 서양식 건물이 여럿 지어진 것이 주목된다. 1963년 ..

[여행]/[국내] 2024.10.20